MikroTik ÀåºñÀÇ RAW ÇÊÅÍ

¹Ú°Ç   
   Á¶È¸ 9782   Ãßõ 1    

 ROS 6.36의 Changelog를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습니다.

*) firewall – added pre-connection tracking filter – “raw” table, that allow to protect connection-tracking from unnecessary traffic;

사실 리눅스에서 본래 지원해오던 부분입니다만, MikroTik에서는 이제야 적용을 시켜주네요.


Firewall에서 가장 많은 프로세서 리소스를 사용하는 부분은 Connection tracking인데, Raw table의 경우, Connection tracking 데이터를 수집하기 전 단계에서 해당 패킷을 처리하므로, 프로세서의 부하가 상당히 경감됩니다.. 다만, 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chain은 prerouting 그리고 output으로 제한되어 있지요.(Filter, NAT table등은 Connection tracking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부하가 높을수밖에 없음)

본 테스트에서는 RB750과 HyenaeF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Filter table과 Raw table에서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합니다.

 

RB750에 추가

/ip firewall raw
add action=drop chain=prerouting disabled=yes dst-port=80 log=no log-prefix="" protocol=tcp
/ip firewall filter
add action=drop chain=input disabled=no dst-port=80 log=no log-prefix="" protocol=tcp

HyenaeFE 설정(Network Interface를 바꾸고, Destination Pattern에서 두번째 %를 RB750의 IP로 바꿉니다. 첫번째 %는 무작위 MAC 주소, 두번째는 무작위 IP, @다음 숫자는 포트번호)


RB750의 준비가 되면 Execute 클릭.

 

첫번째, Filter rule로 80포트로의 Input Drop 할때 프로세서 점유율 73%.


Filter의 Rule을 Disable, Raw의 Rule을 Enable하고 다시 시작(RAW 필터 사용)할 때 프로세서 점유율 27%



프로세서 점유율이 상당히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Á¦¸ñPage 87/103
2022-06   5416   ¾ÈöÇö
2016-06   17578   yeongmin
2016-12   15772   »õÃÑ
2020-07   7760   MikroTikÀÌÁø
2019-01   6212   MikroTikÀÌÁø
2017-11   10995   ±è±¤ÁØ
2017-05   7622   NGC
2017-03   6049   sunmask
2016-06   10349   °­Çѳð
2017-03   7412   ¸¶³ª¸¶
2017-05   6366   ½º¸°
2016-03   13667   dntjfk
2016-11   10869   º´µû°³´Ô
2015-01   7863   f100mania
2017-07   17792   Å«°õÇϿ콺
2016-08   9783   ¹Ú°Ç
2016-12   8377   Sakura24
2022-08   9456   °õ»ïÃÌ
2017-03   7906   ´À³¦
2019-01   4195   ȸ¿ø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