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39378 |
0 |
2014-05
5239378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4826 |
25 |
2015-12
1764826
1 백메가
|
263 |
dell h310 질문입니다 (7) |
오늘부터 |
2020-06 |
9094 |
0 |
2020-06
9094
1 오늘부터
|
262 |
하드 8개로 RAID6 를 구성해보았습니다. (6) |
일화 |
2019-04 |
9021 |
0 |
2019-04
9021
1 일화
|
261 |
LSI 1064E 컨트롤러 최대 지원 용량이 얼마일까요? (6) |
BJ후늬 |
2018-10 |
8970 |
0 |
2018-10
8970
1 BJ후늬
|
260 |
레이드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덧 질문) (5) |
김현종 |
2019-11 |
8953 |
0 |
2019-11
8953
1 김현종
|
259 |
Lsi 9361 16i / 12Gb/s 새로 나올 레이드 자료 입니다. (1) |
은서아빠 |
2016-06 |
8901 |
2 |
2016-06
8901
1 은서아빠
|
258 |
DL360P GEN8 에서 레이드 넘어 가지 않을때 문의 드립니다. (2) |
머재긴 |
2022-04 |
8884 |
0 |
2022-04
8884
1 머재긴
|
257 |
HP410 레이드카드에 쓰는 512M FBWC 가 HP420 이나 420i 에 사용할 수 있나요? (1) |
자울자울 |
2018-04 |
8865 |
0 |
2018-04
8865
1 자울자울
|
256 |
[급 질문] 데이터 서버 에러, 도움이 필요합니다~ (14) |
jack2019 |
2024-09 |
8851 |
0 |
2024-09
8851
1 jack2019
|
255 |
Raid Controller와 SSD (22) |
미나리나물 |
2020-03 |
8844 |
0 |
2020-03
8844
1 미나리나물
|
254 |
2.5 sata ssd 4개 레이드 질문해봅니다. (6) |
까르 |
2019-03 |
8821 |
0 |
2019-03
8821
1 까르
|
253 |
DAS RAID 질문입니다 (2) |
2B연필 |
2021-02 |
8816 |
0 |
2021-02
8816
1 2B연필
|
252 |
hp smary array p800 배터리 교체 관련 (4) |
chotws |
2018-12 |
8767 |
0 |
2018-12
8767
1 chotws
|
251 |
areca 1231ML-12 (256M) 를 1880ix-12 (1GB)로 바꾼후의 변화 (8) |
Jasper |
2019-05 |
8746 |
0 |
2019-05
8746
1 Jasper
|
250 |
bbu 정보 확인시 상태 불러오기 실패로 뜹니다. (4) |
perls |
2022-03 |
8730 |
0 |
2022-03
8730
1 perls
|
249 |
Areca 1280ML의 Pass Through와 NCQ 기능 좋네요. |
통통9 |
2018-10 |
8720 |
0 |
2018-10
8720
1 통통9
|
248 |
[질문] smart array p840 이니셜라이즈 다 끝난거 맞나요? (2) |
조스바 |
2016-06 |
8713 |
1 |
2016-06
8713
1 조스바
|
247 |
RAID5에 LVM으로 묶어서 사용중에 새 하드를 추가하려고 합니다 (6) |
mscern |
2018-11 |
8687 |
0 |
2018-11
8687
1 mscern
|
246 |
5베이 하드의 레이드~ (10) |
신현준 |
2016-05 |
8682 |
1 |
2016-05
8682
1 신현준
|
245 |
raid 된 디스크를 보관하고.. (4) |
AI입니다 |
2024-10 |
8617 |
0 |
2024-10
8617
1 AI입니다
|
244 |
24베이 sata 4tb 하드로 레이드 구성을 할려고 합니다.. (6) |
송승화 |
2018-12 |
8611 |
0 |
2018-12
8611
1 송승화
|
하드웨어 레이드 방식으로 바꾸시면
현재 않되는것이 해결되실것입니다.
1번. 온라인 확장은 일부 하드웨어 레이드에서만 지원 가능
2. 디스크 전체 교체는 데이타 이전의 개념이라 레이드 혹은 sata 포트가 두배로 필요
3. 패스
4. 2번과 동일 방식
저라면 3번에 한표 던지나
기존 데이타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라는 것이라면
한 pc에서의 용량 증설보다는
다른 한대를 더 추가할듯 합니다.
1대가 용량이 커지면 커질수록 고장날 확률과
2대가 각각 다른 데이타를 가지고 있을때 두대가 동시에 고장날 확률을 따져보시면 됩니다.
레이드는 일종의 이중화 입니다.
it의 이중화는 끝이 없으므로 아무리 돈이 많아도 적당선에서 타협을 봐야 합니다.
RAID 컨트롤러는 PERC H710 사용합니다. 그럼 윈도우 7,8 에서도 RAID-5 설정이 가능하네요?
위 질문은 기업을 위주로 한 것이고요.
개인이 직접 운영하는 서버라면 비용이 만만치가 않습니다.
그래서 저의 질문은 하나씩 추가하여 용량을 확장하는 방식이 어떤것이 효율적인지 질문을 드린것입니다.
왜, 이전에 레이드 5로 구성을 하다가 용량이 부족하여 하드디스크 한개를 추가하는데 그렇게 비용을 드리면서 늘리게 되는지입니다. 첫째, 방식처럼 개발을 한다면 좋은데 ㅠㅠ
6은 4개 이상 입니다.
델 쪽은 잘 모르다보니 디스크가 몇개까지 장착 가능한지 모르겠네요.
이는 스펙시트 보면 나올것이고요.
이때 문제가 생깁니다.
처음엔 온라인 확장 해주면 되죠..
4개를 5개나 6개로...
최대 확장 가능수에 도달하게 되면?
또는 베이가 모자라게 되면?
이러한 이유로 벤더에선 혹은 기업에선 das. nas. san등을 구입하게 되죠.
하지만 개인은.....뾰족한 방법이......
근데 말씀하신것중 이상한것은....
디스크 한개를 추개하는데 왜그렇게 비용을 많이 들이면서라는 부분은 이해가 않가요.
장착 포트(디스크) 여유만 있다면 디스크 한개 가격 밖엔 들어가는것말곤 없는데요???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Dell PowerEdge T420
RAID 컨트롤러는 PERC H710
드라이브 베이는 3.5인치 핫플러그 방식 8개 입니다.
SSD 는 OS를 설치하고요.
나머지 500GB 3개 있습니다.
500GB * 3 레이드 5로 묶고 사용하다가 용량이 부족하면 500GB 한개씩 단계적으로 용량을 확장하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확장을 하려면 기존 자료보존이 안되고 백업을 하고 다시 레이드 구성을 해야 한다고 해서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디스크 3개를 사용하다가 용량이 부족하면 1개 추가를 해서 바로 적용이 되게하면 보다 쉬운데 백업을 했다가 복원을 했다가 한다면 시간도 오래걸리고, 그 많은 자료를 백업하려면 추가 스토리지가 있어야 백업을 하는데 스토리지가 없는 사람은 또 스토리지를 구매를 해야 하니 비용이 추가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Ctrl+R 레이드 유틸리티가 아닌 윈도우에서도 구성이 가능하게 되는것 같은데 그것은 어떻게 적용을 하나요?
h710 스펙자료입니다.
지원하는OS가 서버만이군요.
따라서 윈도우즈7,8 지원하지 않습니다.
T420은 디스크가 8개까지 들어가네요.
원하시는 확장은 많이 힘들어보입니다.
델로만 생각하시는 것으로 보이니 델리셀러나 델코리아에 기술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EXPAND기능이 요즘 있기는 한데 느리고 데이터를 날려먹을수 있기에
그것을 사용하니보다 다른곳에 백업하고 하드를 추가해서 다시 묶어서 데이터를 리스토어하는것이
시간도 더 적게 걸리고 데이터도 날려먹을 확률이 적습니다.
확장성 하면 바로 ZFS 죠...
어떤용도로 쓰실려는지는 모르지만요... 만약 NAS 비슷한 file server 일경우 그냥 solaris 나 FreeBSD로 가고 ZFS를 쓰시면 아주 탄탄합니다...
RAID 가 비효율적이라고 하셨는데... 사실 미러가 최악이죠... 하지만 요즘엔 하드값이 무지하게 싸기때문에 (엤날엔 비쌌었기때문에 raid5같은걸 썼죠...) 미러로 많이 갑니다... 안전과 퍼포먼스를 "위하여"
그리고 그냥 컴퓨터를 절대로 안끄고 계속 online 인상태로 하드싸이즈를 그냥 늘리기도 하실 계획이 있으시다면... 바로 ZFS 입니다~ 하드웨어 레이드를 안쓰시고... 그냥 콘트롤러들로.. 묶으면 되죠...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에도 zfs를 많이 씁니다...
다만 출근시간에만 사용하고 퇴근하면 일반 데스크탑으로도 사용하려고 생각합니다.(멀티부팅)
ZFS가 무엇인지요?
추가적인 비용이 있나요?
현재로서는 추가적인 비용은 부담이 됩니다.
이번달만 4백만원 됩니다. ㅠㅠ
파일,웹서버 vs 일반데스크탑... 거기에 시간에 따른 용도 변경....
차라리 전용 NAS와 데스크탑으로 분리하시는게 어떠실지요.
경험상 컴퓨터(서버)는 만능이기 힘듭니다. 용도에 맞는 구성을 하되, 분산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 물론 가상화로 통합도 필요하나, 실무에서는 아직은 제한적인 도입이 될듯합니다.
예산이라는 가장 큰 변수가 포함되겠지만, 중요한것은 가용성과 데이터의 보존이 아닐까 싶습니다.
일반 데스크탑의 목적이라면 성능과 편리성이겠지만요, 서버의 기본은 안정성이라고 배웠습니다. ^^
요즘은 안정성을 바탕으로 추가 기능들을 많이 요구하지만, 기본은 안정성!!!!!!입니다.
추가적인 비용을 드리지않고 할수있는 방법은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