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5와 raidz의 안정정 질문입니다.

   조회 51332   추천 0    

http://www.reddit.com/r/freenas/comments/1ubebu/stop_using_raidz_seriously_just_stop_it/

https://en.wikipedia.org/wiki/Data_corruption#SILENT

Silent data corruption이란건 하드를 사용하면 어쩔수 없이 데이터가 오염되는데 대부분의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가 오염된지 모르고 그냥 넘어가지만 zfs는 오염 되어도 자동으로 고쳐주거나 scrub으로 고칠수 있다고 들었거든요.

그러던중 웹서핑중 우연히 레딧 포스트를 봤는데 리빌딩할때 완전히 복구될 확률이 낮더라구요.
2테라 하드 4개 사용중일때 완벽히 복구될 확률이 50%밖에 안되다니..

영어가 짧아서 제대로 해석을 못했는데..
리빌딩시 raid5는 상당히 높은 확률로 데이터가 깨지게되고 그걸 감지하지 못해서 잘 된것처럼 보일뿐이고
raidz는 체크섬이 있어서 어떤 파일이 깨진지 알수가 있어서 백업으로부터 복구 할수있다는것 같은데 제대로 본것인가요?

그렇다면 raid01,raid6,raidz2등은 리빌딩시에 완벽히 복구가 되나요?
송우찬 2014-09
http://linux.krauss.kr/doku.php/raid_%EC%8B%A0%EB%A2%B0%EC%84%B1_%EA%B3%A0%EC%B0%B0

위의 자료 처럼 레이드5는 신뢰성이 생각보다 굉장히 떨어지니 최소한 raid6이나 raidz2 를 사용하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zfs의 Silent data corruption 이 리빌딩 시 에러를 복구해주는지 어쩐지는 잘 모르겠네요 레딧 포스트에도 해당 내용은 없고...
나우마크 2014-09
우선 어떤 하드웨어 혹은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RAID 5 의 경우는이런 부분도 중요합니다.

또 가정용 개인 백업인지,
부하가 많이 걸리는 어레이인지도 중요합니다.

아답텍 5 / 7 시리즈를 5년 이상 개인적으로 운용한 경험으로는,
단 한번도 어레이가 깨진적이 없습니다.

가끔 Smart 정보의 하드디스크 정보 체크 - 에러 수치나, 특히 리로케이트 횟수 등
아답텍 매니저 프로그램에서의 애러 수치 - Aborted cmd 수치 등

을 미리미리 확인하면서, 숫자가 올라가면 미리 교체해주거나 하는 수를 썼으며,
결정적으로 가정용으로 부하가 많이 걸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덧붙여 RAID 5 의 신뢰성도 구성하는 디스크의 갯수에따라 달라집니다.

8개로 5를 구성하는 것과 3개로 5를 구성하는 것은 당연히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5는 디스크 4개까지
5개 이상부터는 6을 써야한다고 봅니다.
박문형 2014-09
요즘 하드웨어 레이드는 신뢰성이 그리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레이드는 항상 날라간다는 생각을 하고 쓰는 장비여야 합니다.

논스탑으로 사용시 1-2년 정도 사용후 데이터 다 백업하고 펌웨어 업데이트후
처음부터 다시 묶고 사용해야 합니다.

그래야 안에 알지 못할 배드 섹터등을 최소한으로 장비 할 수 있습니다.
유지헌 2014-09
당장은 무리겠지만 나중에 raidz2로 바꿔야겠네요..
윤덕경 2014-09
상기 얘기는  파일시스템과 RAID레벨(로우레벨) 이야기의 구분없는 이야기입니다.
의미를 둘려면, 그 구분을 한후가 의미가 있습니다.

RAID5 - 패리티를 통해 볼륨 레벨에서 체크를 합니다.
          다만, RAID5의 약점인 화이트홀 현상이 있을수 있습니다.
            디스크가 이상이 있을때, 패리티가 써졌는지 알수 없을 경우입니다. LSI나 Adaptec 등의 인텔리전트 RAID들은  이것을 리포트합니다. 방법만 다를뿐입니다. 그리고, 복구할 수 있는 경우는 이 패리티를 사용해 전역또는 부분적 복구를 시도합니다.

파일시스템(RAID Like)  - RAID와 비스므레한 기능을 가진 파일시스템도 비슷한 기능이 있습니다.
                                    체크섬이든 별도의 데이터든 가지고 비교를 합니다. 그리고 복구를 시도합니다.

                                    일반 파일시스템도 그와 비스므레한것이 있습니다. 대부분 수동 복구를 시도합니다.

중요한 것은  이 이슈는 로우레벨(RAID 5)과 하이레벨(파일시스템)의 구분이 명확치 않으므로
 별로 의미가 없는 이야기가 와전되고 있는 것입니다.

안전성이 100%인 것은 그 무엇이든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중화가 있고,  관리자의 능력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슈는 좀더 명확하게 이야기되어야합니다.  기본적인 구분없이 뭉뜨그려서 얘기하면,
잘못된 정보가 전달될수 있습니다.


제목Page 5/56
2014-05   5242261   정은준1
2015-12   1767524   백메가
2014-11   55404   뮹총�
2015-02   54838   신은왜
2023-07   54276   서버하수
2015-05   53587   justin1
2014-07   53212   크롱크롱
2014-07   53205   가로체
2022-10   53181   MoMoRing
2015-03   53110   아마데우쓰
2014-07   53087   Rhett
2015-06   53004   Sunrise
2015-05   52862   태지여
2014-08   52394   짱아와별이
2013-11   51936  
2014-11   51632   양동민
2015-05   51593   멀루하지
2023-06   51520   네온7
2013-11   51395   행아범
2015-05   51389   멀루하지
2014-09   51333   병따개님
2015-01   51328   천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