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 아래글, 2

Aniny   
   조회 20504   추천 2    


이번엔 인텔530입니다.
4개를 묶어서 512GB를 만들었습니다.

첫번째로 default테스트입니다.
압축이 전혀 되지않는 데이타들의 테스트인데 인텔530에게 있어서는 사실,, 0 fill도 마찬가지지만 실생활과 거의 무관한 테스트 되겠습니다.
어느정도인지 그냥한번 해봤어요.


싱글의 속도로 계산해보면 정말 처참할정돕니다.




이번엔 실제로 이 어레이를 c드라이브로 사용한다 가정하고 벤치를 해보죠.
46%(Application)에 해당하는 압축률을 가진 데이타블럭으로 벤치를 돌려봅니다.

평점이 6203.49가 나왔습니다.
가격적인 부분에서 이미 앞섰던 인텔530이 좀더 실제에 가깝게 세팅하고 돌려보니 840pro 두개묶음을 능가하고 있습니다.
근데 전 개인적으로 부팅드라이브의 압축률이 46%보다 더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35%정도는 나오지 않을까요,.. -_-;;;

암튼,, 그래서 이번엔 25%로 해서 돌려봤습니다.

6885.12 로 상당히 높은 점수가 나오는군요.
4개 레이드의 엄청난(?) 순차읽기속도가 영향을 많이준거같기도 합니다



결론 : 

어플리케이션용 46%에서,
삼성 어레이 - 6099.95점
인텔 어레이 - 6203.49점

만약 그냥단순히 벤치어플들의 기본값대로 테스트했다면 
인텔 어레이의 경우 5660.54의 평점이 되어 삼성 어레이와 비교해서 떨어지게되어 비교메리트가 없어지게 됩니다.
참... 손 많이가게 하는군요... 인텔..........




이 벤치는 저의 개인적인 용도에 맞게끔 세팅하고 돌린 결과입니다.
모든 사용자들에게 같지는 않겠죠.. 
그래도 적어도 부팅드라이브로 사용하는경우, 이 벤치의 결과로 본다면 성능면으로나 가격면으로나 인텔530구성이 삼성840pro와 비교해서 떨어질게 없다라는 거죠..


결론2 : 인텔버전 샌드포스 컨트롤러의 성능에 욕을 할수만은 없다란 얘기.....
인텔은 저가에 고성능을 내기위해 캐시램을 빼고 샌드포스를 선택했던거같습니다. 데이타압축 알고리즘..  그래서 가성비를 같이 비교하면 인텔530의 승리가 된다는...


크리스탈벤치로는 100%와 0 fill밖에 검사할수없으니 Anvil툴쪽이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줄수있을거같네요.
나우마크 2014-12
이게 730 480g 제품이 200불 가격이라면
굳이 530 이 제품을 쓸 필요가 있을까요?

그리고 결국 인텔도 샌드포스를 버리고,
마벨 커스텀으로 회귀했고,

Dater Center 용 DC S
엔드유저용 730 

으로 내놓았습니다.
     
Aniki 2014-12
제생각엔 730 480GB하고 비교해도 여전히 충분히 메리트 있어보입니다만;;;;

730 480GB같은경우라면,,,
싱글드라이브 가격이 250$정도이니 같은 가격에 530 120기가는 3개를 구입할수있고 $10이 남는군요.

sata3 120GB 3개를 레이드0으로 묶은것 VS. 730 480G싱글 드라이브

선택은 각자 다르겠죠.장단점도 있겠구요.
에드온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면 또 얘기가 달라지겠지만,,

싱글드라이브의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단순히 빠른속도가 필요한경우에 레이드카드에 연결한 sata3 ssd x3 레이드와의 성능비교는 좀 힘들지않나 싶습니다...

샌드포스 컨트롤러가 좋다나쁘다를 얘기하자는게 아니라 가성비를 생각해보면 인텔의 선택이 욕먹을만한 짓이라고할순 없다, 이런 얘기를 하고싶습니다.
솔직히 저도 샌드포스컨트롤러를 사용하는 ssd를 다시 구입할 생각은 없습니다만 주변에 저렴하게 레이드를 구성한다거나 또는 괜찮은 가격에 싱글드라이브를 찾는경우 충분히 추천할만 한거같습니다.

840pro 256GB는 싱글 그자체로도 여기저기 쓸데가 참 많습니다만 120G는 요즘에 싱글로 쓰기엔 이미좀 작은감이 있어서 530x4레이드를 부팅드라이브로 써보려고 해요.
뭐또 재미있는 벤치가 있으면 올려보겠습니다...
          
나우마크 2014-12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가진 관점이 다소 달라 그런 것 같습니다.

확실히 아직 RAID CARD 로 SSD RAID 는 부족하다.
RAID 는 인텔 ICH 로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ICH 대역폭 문제가 있으니
3개 이상 거는 것에 대해 좀 회의적이라 봅니다.

아 추천은 제가 모두 드렸습니다.
               
Aniki 2014-12
ㅋ 감사합니다 ^^
덕분에 저도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무압축 데이터이고...용량보다 IOPS 가 필요한 경우라면...괜찮은 선택이 될 수도 있겠네요.
싼 맛에...^^

테스트하시느라 고생많으셨습니다.
     
Aniki 2014-12
감사합니다.. ㅋ


,, 우선은 인텔물건치곤 가성비가 꽤 좋고...
무압축 데이타일 필요도 없습니다.
압축효율이 46%정도만 되도 성능은 기본이상으로 충분히 나온다는 얘기이니,,
윈도우에서 다루는 웬만한 화일들은 46%보다 더 압축이 잘 되는편이니까요

그리고 인텔에서 제시한 530의 스펙은 너무 이상적이라,,그야말로 압축이 너무너무 잘되는 무압축데이타를 전송할때의 속도라서 참고가 안될거같습니다.
그렇다고 일반 벤치툴로 압축이 전혀안되는 랜덤데이타로 벤치하는것도 정확하지 않을거같고,
인텔530을 벤치마크할땐 Anvil툴로 25%~46%사이로 맞추고 돌리는게 아마도 실제 스펙이라고 봐야할거같습니다.


제목Page 38/56
2015-12   1767541   백메가
2014-05   5242276   정은준1
2015-01   31636   Aniny
2015-01   15390   윤덕경
2015-01   35030   black
2014-12   30766   리베이트
2014-12   27269   박청명
2014-12   20505   Aniny
2014-12   19982   한성호
2014-12   16473   Aniny
2014-12   16188   박청명
2014-12   21000   Aniny
2014-12   15338   Aniny
2014-12   21808   JCnetwork
2014-12   40738   Jade
2014-12   38238   북쪽하늘
2014-12   50561   카운티
2014-12   40520   김장우
2014-12   48456   포스셔니
2014-12   48669   카운터77
2014-12   46170   리베이트
2014-12   60427   강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