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44056 |
0 |
2014-05
5244056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69469 |
25 |
2015-12
1769469
1 백메가
|
383 |
해킨토시에 사용할 DAS(영상편집용) 문의 드립니다. (1) |
회상2 |
2016-10 |
13527 |
0 |
2016-10
13527
1 회상2
|
382 |
백업 배터리 케이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8) |
ApertureSci… |
2020-07 |
5911 |
0 |
2020-07
5911
1 ApertureSci…
|
381 |
SSD레이드/SSD/하드 속도 비교 (4) |
수석연구원 |
2012-01 |
22406 |
0 |
2012-01
22406
1 수석연구원
|
380 |
list disk에서 보여지는 Disk nr이 무엇인가요? (4) |
fprrmsl |
2019-12 |
5840 |
0 |
2019-12
5840
1 fprrmsl
|
379 |
DAS RAID 질문입니다 (2) |
2B연필 |
2021-02 |
8821 |
0 |
2021-02
8821
1 2B연필
|
378 |
아레카 카드 VMWARE 드라이버 (4) |
박문형 |
2021-05 |
3749 |
0 |
2021-05
3749
1 박문형
|
377 |
LSI 9341 VS 9440 성능 관련 문의 (5) |
니뿡키키 |
2022-11 |
43590 |
0 |
2022-11
43590
1 니뿡키키
|
376 |
아답텍 MSM 서비스 항상 켜두어야만 하는지요? (2) |
rocksprts |
2014-08 |
42175 |
0 |
2014-08
42175
1 rocksprts
|
375 |
최근 판매되는 8채널 레이드 컨트롤러 추천 부탁 드립니다 (8) |
이갑부 |
2015-07 |
38043 |
0 |
2015-07
38043
1 이갑부
|
374 |
Z9NA-D6 보드에 ASUS PIKE 1078 raid 컨트롤러 디스크 용량 인식 문제 (2) |
booker |
2015-10 |
16981 |
0 |
2015-10
16981
1 booker
|
373 |
m.2 nvme ssd와 raid hdd 혼용 사용 질문 (uefi 관련) (2) |
우싸 |
2016-01 |
17028 |
0 |
2016-01
17028
1 우싸
|
372 |
파일 서버 구성시 Raid 문의 드립니다. (10) |
유혹낚시꾼 |
2016-11 |
19309 |
0 |
2016-11
19309
1 유혹낚시꾼
|
371 |
서버 SSD 레이드10을 HDD 레이드 10으로 교체하려고 합니다. (11) |
원투넥스트 |
2017-05 |
11431 |
0 |
2017-05
11431
1 원투넥스트
|
370 |
P410 rebuild 시키는 법?? (6) |
이권일 |
2013-11 |
96674 |
0 |
2013-11
96674
1 이권일
|
369 |
아답텍6405 모니터링 (3) |
듀로탄 |
2014-03 |
15836 |
0 |
2014-03
15836
1 듀로탄
|
368 |
보드교체or 윈도우 재설치 때 raid 보존 여부 명확하게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 (2) |
우싸 |
2016-01 |
17281 |
0 |
2016-01
17281
1 우싸
|
367 |
디스크 하나 바꾸니 속도가 오르네요 (3) |
디지유 |
2020-07 |
6199 |
0 |
2020-07
6199
1 디지유
|
366 |
디스크 교체 질문. (1) |
숫총각 |
2015-10 |
14929 |
0 |
2015-10
14929
1 숫총각
|
365 |
NVME 레이드 컨트롤러 문의 드립니다. (12) |
집에가자 |
2021-02 |
11654 |
0 |
2021-02
11654
1 집에가자
|
364 |
하드웨어 raid 와 소프트웨어 raid ? (10) |
새로운차원 |
2021-10 |
7274 |
0 |
2021-10
7274
1 새로운차원
|
아니면 서버에는 OS만 설치하고...서비스 관련 파일들은 스토리지로 빼서 2개의 서버가 같은 곳을 바라보게하고...스토리지를 2중화(HA 방식으로) 처리하기도 하구요.
이중화 하는 방법은 일단 여러가지가 있긴 합니다만.............디스크를 빼서 옮기는 경우는 잘 없기는 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디스크를 한개만 옮기지 말고 2개를 다 옮겨보세요.
디스크를 두개를 옮겼는데요...
디스크 두개가 뜨는데.. 위 상태랑 똑같네요 .. ㅜㅜ
이상한건.. 반대로 하면.. 정상적으로 되니... 이게 더 미치겠네요... 둘 다 안되면 먼가 문제가 있구나 하겠는데..
물론. 기존과 동일한 위치만 가능합니다.
물론 동일한 위치를 했는데요..
임포트하면 정상적으로 되어야 하는데. 위 메세지를 토해내고 .. 무소식입니다 .
구글을 검색해면.. 저런경우가 꽤 있는거 같은데.. 해결방안이 없네요.. ㅠㅠ
오늘도 삽질을 ㅠㅠ 해야겠네요
The MegaRAID Utility may display a “Failed to Import Foreign Configuration” error. There are two ways the error may occur: In a server system, if the HDDs are offline and the system is power cycled, the RAID configuration will be removed. If the user selects for the HDDs to come back online, they can import the original RAID configuration. If the user chooses to import an individual RAID configuration (for example, “Configuration 1” or “Configuration 2”), the import will fail.
If a user changes the RAID card in the system by removing the old card and inserting a new one, they may choose to import the original array. However, if the new card does not support features that the original configuration used, the import will fail, such as importing a volume that has caching enabled on a controller that does not support caching.
The user should always choose “All Configurations” to import the array and choose the individual configurations only for preview purposes. The user also must make sure if they insert a new RAID card that it supports all the features used in the old card.
그리고 import하실때 꼭 All Configuration을 선택해야한다 하구요.
import문제로 글올리신분이 계신데 컨트롤러의 펌업을 하니 해결됬다고 하시는군요. 한번 시도해보는것도 나쁘지않을거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