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저장소 공간(storage spaces)의 dual parity와 raid 6

   조회 22297   추천 0    


Windows 저장소 공간에서 parity라고 부르는 것은 raid 5와 비슷한 것입니다.

parity를 사용하려면 HDD가 최소 3개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공간은 hdd 갯수에서 하나를 뺀 만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aid 5도 똑같죠.


parity나 raid 5에서는 디스크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계속 돌아가죠. 새 디스크를 넣으면 리빌드 해 줍니다. 그러나 리빌드 하기 전에 하드디스크 하나가 더 고장난다면 방법이 없죠. raid 6는 두개가 고장나더라도 상관 없습니다.


raid 6를 사용하려면 하드디스크가 최소 4개가 있어야 합니다. 공간은 hdd 갯수에서 2개를 뺀 만큼. hdd 4개를 raid 6로 묶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겁니다. 4개라면 raid 10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


저장소 공간의 dual parity도 raid 6와 마찬가지일 것 같죠?

근데 아닙니다. dual parity를 사용하기 위한 최소 hdd 갯수는 7개입니다. 그리고 7개를 dual parity를 사용하여 묶으면 공간은 4개분 밖에 안나옵니다.

dual paity는 raid 6와 비슷한 것일텐데 왜 hdd 5개나 6개로는 할 수 없다는 거냐? 그리고 하드디스크 하나 분량의 공간은 어디로 도망간 것이냐?

dual parity가 아니라 triple parity인 것이냐?


이게 참 궁금했습니다. 저와 같은 의문을 가졌던 다른 사람들도 있었고요.

결론적으로 parity는 raid 5와 비슷한 것이지만 dual parity는 raid 6와는 많이 다른 것입니다.

dual parity는 LRC Erasure Coding이라는 것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자료] LRC Erasure Coding in Windows Storage Spaces

http://goo.gl/ZVnvqP


이걸 보면 LRC Erasure Coding이라는 것은 대략 raid 50 + global parity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장점으로는 rebuild시 부담이 raid 5나 raid 6에 비해 훨씬 적다는 것입니다. raid 60에 비해서는 공간 낭비가 훨씬 적다는 점도 있습니다.


의문이 다 풀린 것은 아닙니다.

dual parity 최소 구성이 디스크 7개인데, parity로 사용되는 것 제외하고 4개 분의 공간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데...

(3개 raid 5) + (3개 raid 5) +  global paity

이렇게 2way로 되는 것인지? 이렇다면 7개 묶으면 사용 공간이 4개분 남는다는 것이 이해가 가는데 정말 그런지?

그러면 8개로 dual parity는 구성할 수 없는가? global parity 하나 빼면 7개가 남으니 2 way로는 안되는 것 아닌가? 만일 1way로 한다면 3개 분 공간을 쓸 필요가 없지 않은가? 1way가 된다면 hdd 5개로 local parity 하나 global parity 하나 하여 3개 분량 공간을 사용할 수 있지 않은가?(raid 6처럼)


자세한 것은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dual parity는 LRC Erasure Coding이라는 것을 사용하여 hdd 최소 7개가 있어야 구성할 수 있다는 것. 3개 공간이 parity 용도로 사용되어 4개 분 공간 밖에 남지 않는다는 것. 


* 링크된 pdf 파일에 parity용 hdd가 따로 있는 것처럼 그려져 있지만 설명하기 위해 그렇게 한 것이고, raid 5나 raid 6처럼 parity가 여러 디스크에 분산되어 있을 것 같습니다. global parity란 것도 실제로는 분산되어 있을 것 같은데, 실상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나우마크 2016-03
패리티 연산을 하게되면 쓰기 속도가 매우 느려지지 않습니까.
RAID 5 / 6 에 이야기되는 화이트홀 현상도 없다고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RAID 1이 보편적으로 제일 무난하고,
속도가 필요하다면 RAID 10 을 쓰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캔위드 2016-03
저도 그렇게 생각했는데요
막상 패리티를 사용해 보니 못쓸 정도는 아니더군요.

현재 웬디 그린 6개
4T 4T 3T 3T 2T 2T 를 패리티 모드로 사용중입니다.
평균 150MB/S 나와요.

물론 심플모드(RAID 0)으로 하면 300MB/S 나옵니다.

저도 다른사람들한테 추천은 1이나 10으로 하긴 하는데
막상 저는 중요하지 않은 데이터에는 raid 5를 쓰고
중요한 부분에 한정해서 1이나 10으로 쓰게 되네요... ㅎㅎ
          
나우마크 2016-03
이건 개인의 선택이라 뭐라 이야기하기 어렵습니다.

아답텍 5 / 7 쓰는데
RAID 5 다 깨고
RAID 1로 죄다 바꿨습니다.
               
RAID5는 쓸 이유가 없는 세상이 벌써 몇년전에 왔습니다...
RAID를 그다지 선호하지 않는 1인입니다 ㅎㅎ
                    
나우마크 2016-03
동감합니다.

1을 거는 이유는
작은 파일들을 많은 데이터라 그렇습니다.

간혹, 하드 배드로 파일 한두개가 깨지는 것을 레이드 1일 경우는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아 백업은 다시 레이드 1로 이중화 해서 백업하고 있습니다.
                         
미러는 해야죠... 퍼포먼스향상도있고... 그나마 최고로 안전하고...

그리고 세계는 클러스터링으로 가고 있죠... HA
나우마크 2016-03
맞습니다.

미러는 기본인데 하드가 2개 필요하니 개인사용자들은 잘 하지 않는 경향이 있더랍니다.

메인에 미러 하나
백업 서버에 미러 하나 를 기본으로

가장 중요한 데이터는
싱글로 하나 더 백업해 놓습니다.
     
alias신현준 2016-03
*비밀글입니다
          
씨스템에는 미러 백업은 그냥정도면 만족이죠 저는...

하지만 정말 씨스템을 만들라고 하면... 가격에 제약없이... 미러씨스템 두개로 fail over를 선호 합니다...
               
나우마크 2016-03
백업 문제는 항상 비용 문제 아니겠습니까...

미러 두조에 싱글 백업은 단 하나만 하고 있습니다.


제목Page 28/56
2014-05   5236130   정은준1
2015-12   1762080   백메가
2019-08   4741   거니스트
2022-02   5720   Mark
2014-02   45202   명성호
2021-04   3250   DIMA
2023-02   32844   마운1
2010-11   15764   빡시다
2013-10   22686   화란
2016-03   17570   둘째형님
2010-11   17005   박종용
2013-10   22056   명성호
2014-07   57310   테돌아이
2019-04   4829   방어진과메기
2014-10   23779   motion
2015-05   51374   멀루하지
2015-09   36614   체이스
2018-11   6857   kimkh
2018-04   10916   isahsi
2022-02   6094   KeonWooPARK
03-12   1113   박문형
2013-02   19408   회원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