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4655 |
25 |
2015-12
1784655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9875 |
0 |
2014-05
5259875
1 정은준1
|
663 |
HDD 2 EA RAID 1+0?? (5) |
소주알랍 |
2017-07 |
10124 |
1 |
2017-07
10124
1 소주알랍
|
662 |
Adaptec 72405 펌웨어 업그레이드 후 알람음 (4) |
jack2019 |
2017-07 |
10458 |
2 |
2017-07
10458
1 jack2019
|
661 |
Btrfs 완성도 현황 (8) |
황재광 |
2017-07 |
12150 |
2 |
2017-07
12150
1 황재광
|
660 |
Btrfs RAID 5/6의 상태에 대한 자세한 설명 (5) |
황재광 |
2017-07 |
10640 |
3 |
2017-07
10640
1 황재광
|
659 |
서버의 RAID에 STAT SSD에서 SAS HDD 전환? (6) |
느낌 |
2017-06 |
10965 |
1 |
2017-06
10965
1 느낌
|
658 |
레이드 설정 문의드립니다 왕초보 ^ ^ (2) |
회상2 |
2017-06 |
12564 |
1 |
2017-06
12564
1 회상2
|
657 |
Areca Raid 카드에서 Rebuilding 진행율이 한참동안 0%가 떠서 질문드립니다. (3) |
팬교 |
2017-05 |
11108 |
0 |
2017-05
11108
1 팬교
|
656 |
서버 SSD 레이드10을 HDD 레이드 10으로 교체하려고 합니다. (11) |
원투넥스트 |
2017-05 |
11476 |
0 |
2017-05
11476
1 원투넥스트
|
655 |
HP서버 기존구성 RAID1에 HDD 추가방법 (5) |
산토끼 |
2017-05 |
18043 |
1 |
2017-05
18043
1 산토끼
|
654 |
RAID 구성에 걸리는 시간이 궁금합니다. (5) |
nas봉 |
2017-05 |
16288 |
0 |
2017-05
16288
1 nas봉
|
653 |
Dell 레이드 관련 로그 문의 드립니다. (2) |
전산직딩 |
2017-05 |
10336 |
0 |
2017-05
10336
1 전산직딩
|
652 |
HP P410 1GB+FBWC 레이드컨트롤러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1) |
분출수 |
2017-05 |
10012 |
0 |
2017-05
10012
1 분출수
|
651 |
아답텍 5시리즈 8088 외부 포트 활용법 (4) |
나리스마 |
2017-05 |
9474 |
0 |
2017-05
9474
1 나리스마
|
650 |
이슬람 26베이 같은 경우 RAID를 하나로 묶을 수 있나요? (3) |
김현우1 |
2017-05 |
7678 |
0 |
2017-05
7678
1 김현우1
|
649 |
RAID Card 의 캐시 성능에 대하여 |
한효석 |
2017-05 |
8053 |
0 |
2017-05
8053
1 한효석
|
648 |
메인보드 내장 인텔 레이드 문의드립니다. (12) |
BOOKMAN |
2017-05 |
10408 |
0 |
2017-05
10408
1 BOOKMAN
|
647 |
RAID 구성에 대해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7) |
OFDM |
2017-04 |
14403 |
1 |
2017-04
14403
1 OFDM
|
646 |
pc 교체시 raid 0 문제 없나요? (7) |
조용히살고… |
2017-04 |
12892 |
0 |
2017-04
12892
1 조용히살고…
|
645 |
읽기가 이상한데 케이블 탓일까요? (2) |
쑨 |
2017-04 |
13022 |
0 |
2017-04
13022
1 쑨
|
644 |
레이드 문의 드립니다. (24) |
su0782k |
2017-03 |
16233 |
0 |
2017-03
16233
1 su0782k
|
레이드카드를 사용하면 디스크용량및 속도를 높일수 있습니다.
보통은 레이드카드를 고르고 거기에 맞춰 보드를 고르게 됩니다..
피씨보드는 전반적으로 기가바이트보드가 잘 붙었습니다만 170 270칩셋에서는 모가 좋을지는 모르겠네요..
보통 레이드 카드 새것으로 8체널급이면 100만원 정도(이하) 들어가고(디스크 빼고)
레이드 카드 말고 외장 레이드 박스로 가면 천만원 이상에서 몇천까지 들어가며
네임벨류 있고 금융권에서 사용되는 장비들은 억 단위가 넘어갑니다.
레이드 장비도 공부 많이 해야 합니다..
170과 270은 카바와 스카이 차이인데 170도 바이오스 업뎃하면 카바장착이 가능해서 그냥 가격싼 170사는게 좋겠더군요
다만 씨퓨를 뭘로 할지가 고민입니다.
지금 사용하는거 재활용할지 아니면 새로 만들지에대해서 말이지요.
가정용이고 24시간 구동 안할거라는 전제하에서 i5가 더 좋겠죠?
단순 용량업만 한다고 해도요
조금만 불안한 상황이 생겨도 바로 풀립니다
디스크가 고장났을때 다시 복구시키는게 좀 마니 까다롭습니다..
(시간도 많이 걸리고 / 최소 1일 혹은 몇일간 끄지 말고 계속 레이드 데이터 복구를 위해 켜둬야 합니다.)
그리고 디스크 여러개 중에서 보통 데이터 복구가능한 레이드 장치들은 디스크 1개가 문제가 생겼을떼 데이터를 복구할수 있지만
여러개의 디스크가 문제 생기면 데이터 복구가 안됩니다.
백업용으로 4TB 2개로 Raid 0로 묶는것은 무모하다고 봅니다.
역으로 질문 하나 왜 레이드를 하려고 하나요?
드라이브 2개 쓰는게 귀찮다면, 윈도우에서도 하나의 드라이브에 2개도 연결 가능합니다...
메인컴에 소음문제로 하드 사용안하고요 서브컴을 외장스토리지형식으로 nas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물론 외부에서 자료열람도 할것이구요.)
예능이나 영화, 애니 시리즈들 모으는게 취미인지라... 인코딩용 공간을 따로 필요로 하기도 하고요
근데 단일 고용량 하드가 용량대비 가격이 너무 비싸더군요
가령 예를들어 hgst 8테라가 43만원인데 절반인 4테라가 18만원으로 가격차가 두배 이상차이가 나니까
차라리 레이드 해서 쓰는게 좀더 경제적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단일로 쓰는게 아무래도 관리하기가 간편해서 레이드를 하려고 하구요.
예를들어 예능, 시사, 영화, 애니, 패키지게임 이렇게 주제별로 정리를 하는편인데.. 중간에 하나가 오바되거나 섞이면 곤란해서...
지금이 그렇거든요... 애니 저장해논 1테라 wd는 여유로운데 예능 넣어놓은 도시바3테라 하드가 간당간당합니다...
윈도우에서 하나의 드라이브에 2개가 연결 가능하다는말씀은
예를 들어 3테라 1테라 두개의 하드가 있다면
같은 볼륨 드라이브 D에 3테라 폴더 하나 1테라 폴더 하나 이렇게 두개를 넣을수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만일 이렇게 사용 가능하다면 같은 볼륨드라이브 내의 폴더간 자료이동은 원할한가요?
관련 기능 사용법 링크좀 부탁드리겠습니다.
그럼 조건은 하드웨어 레이드나 메인보드의 레이드를 이용하실경우 하드가 동일모델 동일용량 이어야 합니다.
윈도우 저장소로 할땐 상관 없고요.
장점은 낭비없는 용량과 속도가 두배로 빨라지는 것이고
단점은 장애확율이 2배가 되며 장애시 복구 불가거나 복구 비용이 허벌나게 많이 나옵니다.
즉 백업필수죠.
고용량 하드 하나사서 외장하드나 외장스토리지로 백업해둘 생각이었습니다
미러링 레이드가 있긴하지만 실질적으로 완벽한 백업이라고 볼수가 없다고 생각되더군요.
결국 본체 뭔가 뽁나면 날라가는건 똑같아서...
그런데 댓글을 보니 윈도우 저장소라는게 있어서 이게 뭔지 좀더 알아보려고 합니다.
혹시 윈도우 저장소 관련 링크 있을까요?
어쩌면 저한테 윈도우 저장소가 좀더 좋은 선택이 될것 같아서요.
하위호환성도 그냥 이리저리 테스트 해보면서 알게 된 것이고요.
상위호환은 안됩니다. 그러니깐 윈도우10에서 설정한 저장소를 윈8에서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반대로는 되고요. 동일버전 당연히 되고
저는 저장소를 온갖 잡다한 하드들 모아서 백업서버로 쓰고 있습니다.
밑에 말씀 안드린 한가지 장점이 더 있는데 기존 데이터 유지하면서 디스크 추가가 가능합니다. 파티션 용량도 늘릴 수 있습니다.
빼는것도 가능합니다. 여유공간 있으면 제거준비인가 뭔가 클릭해 뒀다고 준비완료라고 하면 제거하고 빼면 됩니다.
즉 디스크 추가 투입, 제거가 용의하고 OS가 제공하는 것이라서 파티션용량까지 같이 제어해 줍니다.
속도도 패리티 모드로 해도 하드웨어 레이드에 비해서 느리긴 하겠지만 어쨌든 빠르긴 빠릅니다.
4T 4T 3T 3T 2T 인가 구성으로 초당 300MB 정도 속도가 나와주네요. 다만 랜덤으로 느립니다.
갑자기 80MB/S로 떨어질때도 있어요. 잠깐씩. 물론 패리티 모드일 겨우입니다.
백업서버라서 어차피 날라가도 상관은 없지만 어쨌든 나가면 귀찮으니까요. (더구나 하드들이 다 A/S기간 지난것들임)
딱히 어려운 부분은 아니므로 그냥 대충 쓰시거나
걱정되시면 VM으로 사전에 이리저리 테스트 해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첫번째 하드를 저장소관리자인가? 거기서 드라이브명(D E F G 등) 으로 올린다음
올린 드라이브에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그리고 두번째 하드를 드라이브명에 올리는게 아니라 디렉토리에 올리면 됩니다.
이는 리눅스에서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하는것과 같은겁니다.
자료 이동은 원활한데 여기서 디스크간의 시간 소비는 드라이브-드라이브 간과 동일합니다.
묶은 하드에 있는데이터는 다 날라갑니다..
커다란 볼륨이 필요하지 않으면 그냥 하드로 사용하는게 편할수 있습니다..
그 외에 캐쉬 달린레이드 카드에 하드를 JBOD식으로 달아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캐쉬메모리가 하드의 읽기 쓰기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그러나 카드 제조사 따라 특성이 다 다르기게 여러가지 공부나 경험을 많이 해야 합니다..
차후 늘어날 수 있을것 같습니다.
도시바 3TB인데 가성비가 재일 좋고 레이드 카드와 호환성이 좋은 편입니다..
서로다른 용량의 디스크들을 합칠 수 있으며 패리티모드로 지정하면 디스크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데이터 유실되지 않습니다.
호환성도 좋아서 pc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윈10이 설치된 곳에 hdd들을 그대로 연결하면 기존에 설정한 저장소가 그대로 올라옵니다.
물론 꼭 윈10이 아니라 8.0부터 되고. 하위호환성이 있습니다.
저한테 딱 적합한 내용인것 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공부가 많이 필요할것 같네요
단순 용량업은 레이드0가 아닙니다. RAID를 권장하진 않지만 나중에라도 쓰고 싶다면 좀 더 공부를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저도 처음엔 RAID는 단순히 하드디스크를 여러개 묶어서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 정도로 알고 있었지요.
아답텍+기가바이트 보드
3천번대 제품은 4테라 쓰면 안될것 같아요
5XXX번대 제품이 반나정리면 빌딩 끝나고 하나 바꾸면 18시간 정도에 리빌딩 끝나더군요
3XXX번은 3일 걸렸습니다.
백업은 여러 매체에 동일 내용 있을고 필요할때 접근 가능해야 백업이죠..
레이드 안쓰실거면, 사용하면서 용량 일부 사용 못하는거 감수 하고, 단일드라이브 = 단일볼륨, 하드 여러개 쓰는게 낫습니다.
레이드 쓰실거면 RAID6 으로.
메인보드 레이드 말고 OS 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레이드가 있는데 윈도우에선 동적 디스크나 저장소 공간이라고하고 리눅스에선 mdadm 사용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