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6용 HDD 선택 질문

왈사   
   조회 11541   추천 0    

현재 스토리지PC용도로 10-BAY RAID6를 계획중입니다

당연하지만 NAS아니고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윈도우 PC입니다

(백업용은 아니고 영화와 개인촬영영상 보관용입니다)

따로 백업본은 없고(워낙 용량이 커서) 다만 RAID6를 이용하여 PC자체가 원본인 동시에 백업본인 셈이죠

그런데 하드디스크는 나스용이 아닌 WD 블루 8TB 5400rpm 일반용 HDD를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이유는

1. 현재 일반인이 온라인 시장에서 구입할수 있는 가장 저렴한 신품 HDD

2. 제가 소음에 민감합니다 (책상위에 놓고 쓸거라)

3. 자료보관용 PC인만큼 실작동시간이 적습니다 내구성은 적당하면 OK (20년 넘은 하드도 잘쓰고 있습니다)

4. 발열이 적습니다

5. 개인용, 1인용이라 5400rpm 정도면 충분합니다 (대신 초기 구성시 시간이 오래걸리겠네요)



제가 쓰려는 용도가 충분히 설명되었는지 모르겠네요

현재 나스용, 일반용 하드 다양하게 쓰고 있는데 (레이드 기능은 아직 안써봤습니다)

저는 WD블루 정도면 충분하더라고요

오히려 발열과 소음은 더 만족스럽고....

그런데 레이드6로 구성했을때와는 완전히 상황이 다를 것 같아서 문의를 드려봅니다

제가 생각한 구성 괜찮을까요?

dateno1 2024-08
책상에 두고 조용한걸 바라시면 하드 쓰지마세요 (그 거리면 팬조차 부담스러워요)

어떤 하드를 골라도 꽤 시끄럽습니다

회전수가 느려지면 소음과 발열이 줄지만, 대신 속도와 응답시간이 비례해서 손해보게 됩니다

일반 디스크 쓰셔도 별 상관은 없습니다 (그냥 내구성같은거만 차이 남)
     
왈사 2024-08
초기세팅 제외하고
한달에 두번정도, 자료 저장하는 시간만 켜둘거라 그정도 소음은 감내할수있습니다 ^^
          
dateno1 2024-08
그런 수준이면 소음 무시하고 7.2k 가세요

성능 낮으면 리빌드같은거 너무 오래 걸립니다



참고로 올플레쉬 가면 개당 몇T라도 30분만에 리빌드되는 엄청난 속도를 보여줍니다
               
왈사 2024-08
다시또 갈등이...
올플레쉬란 ssd말씀인건가요?

지금 5400rpm hdd 유지하기도 버겁습니다 ^^
                    
dateno1 2024-08
네 SSD 도배 애기입니다

지갑에 해로워서 문제지 모든 측면에서 만족스럽네요
박문형 2024-08
저는 3.5인치 하드 표준이 7200rpm이라는 생각이 있어서  JBOD 셋팅으로 도시바 3TB 로 대략 1년에 1개씩 구매해서 7개까지 간 다음 도시바 4TB로 5개째 채우고 있습니다.. 다 새 하드로 구매하고 채워지는 데이터는 동영상 데이터 입니다.. 도시바를 택한 티유는 1GB 당 가격이 재일 저렴해서 입니다..
그런데 요즘 물가 상승으로 도시바 4TB 의 가격이 많이 올라서 7개까지는 못 채우고 그나마 재일 싼 도시바 6TB로 갈 듯 합니다..

도시바 하드 사용하기 전에는 웬디 블루 500GB 8개 웬디 블루 640GB로 8개 똑같은 방법으로 사용했었습니다..

도시바 하드가 재일 가격이 저렴해서 사용했는데 요근래 전체적인 평은 잘 안죽는 하드로 되어 있더라고요.. 물론 하드는 모델이나 제조사가 개인에 따라 호불호가 커서 보통 경험에 따라 제조사나 모델이 정해집니다..
박문형 2024-08
일반하드를 사용해도 어느정도는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단지 5400rpm 하드면 레이드 묶었을때 하드 1개가 고장이 나서 교체후 리빌딩시 시간이 아무래도 7200rpm 하드보다 많이 걸린다는 점입니다..
     
화란 2024-08
캬 경험치 멋지네요
박문형 2024-08
https://www.2cpu.co.kr/hojak/345
WD 500G /640G 시절 4U 20bay  1500W 리던던트 파워

https://www.2cpu.co.kr/hardware_2014/39884
도시바 3TB

https://www.2cpu.co.kr/4raid/6499?
도시바 4TB

CASE :슈퍼마이크로 SC743 /SC 745
RAID CARD : Areca 1880IX-12CH

조금씩 바뀌기는 하였지만 아레카 레이드 카드가 패쓰쓰루를 디스크 단위로 혹은 전 체널로 셋팅 (JBOD) 이 가능하기에 그렇게 사용중입니다..

모든 디스크는 핫스압이 됩니다.. 물론 데이터 망실의 위험으로 데이터가 움직일때는 핫스압을 하지 않습니다..

시스템 켜진 상태에서 디스크를 그냥 꼽아 넣어도 윈도우즈에서 인식하고 데이터 올라옵니다.. (이 짓도 위험하기에 거의 하지 않습니다..)



8개 하드 시스템 구축시 아마 가장 골치 아픈 것이 파워일 것입니다..

하드디스크는 구동하기 위해 하드디스크 1개당 12V 2A + 5V 1A 의 피크치 전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대략 5V 30A  /3.3V 30A 정도 되는 스팩의 정격 파워가 필요한데 요즘 나오는 파워는 최대급이  5V 25A  /3.3V 25A 정도입니다..
     
왈사 2024-08
파워는전혀 생각도못한문제인데...
현재는 마닉 sfx 400w정도면 충분하겠거니 생각했는데... 이런문제점이있었군요
지적감사합니다 !!!
박문형 2024-08
대용량 하드를 레이드로 묶어 사용하면 레이드가 깨졌을때 데이터 망실의 양이 크기에 데미지가 그만큼 커집니다..

중요 데이터는 다른 독립된 장치에 여러번 백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PC용 하드와 기업용 하드의 MTBF 는 대략 기업용하드가 3배 더 큽니다..

하드는 소모품이라 언젠가는 고장이 납니다..
     
왈사 2024-08
네중요한 자료는 이pc와상관없이 백업본이존재하고
이pc는온전히 제취미생활요이라 ^^

wd블루 젤 싼 hdd인데
hdd가격만 180만원이네요.

저같은 평범한 가장이 영화저장하겠다고 저렇게 쓰면 욕 먹어요
제상황에선
백업은 레이드6로 만족하는것이 최선같아요
울푸씨 2024-08
10베이면 뭘 달아도 진동부터 일단 상당하겠습니다.
케이스 섀시가 튼튼하지 않으면 더 심하고요.

단순 저장이 주요목적이라면
저였다면 아예 미러링 + span 으로 구성하고 1차 백업정도는 할거 같습니다.
zfs 스냅샷으로 백업하면 증분 백업으로 진행되서 변동부분만 백업하면서 지난간 스냅샷은 알아서 지워져서 원본으로 흡수되니까 운용하기가 상당히 편리하던데요.
     
왈사 2024-08
글찬아도 zfs 며칠고민했죠.
ㅋㅋㅋ
레이드에완전히익숙해지고
공부더라면 그때 고민해보겠습니다
지금은 바로 사고칠것같아요

그래도 이십년 소장한영상들인데...


제목Page 1/56
2014-05   5247049   정은준1
2015-12   1772377   백메가
2010-09   19999   박문형
2010-10   17875   박문형
2010-10   17220   빡시다
2010-10   16901   딕맨
2010-10   17253   다롱이
2010-10   20719   빡시다
2010-11   18382   성기사
2010-11   19106   심바트
2010-11   15803   빡시다
2010-11   17040   박종용
2010-11   19658   김현웅
2010-11   17388   이현석1
2010-11   21617   성기사
2010-11   18828   6툴
2010-12   15949   ZEBE
2010-12   19044   정용우
2010-12   18907   양재혁
2010-12   18704   monan
2011-01   16096   박문형
2011-01   16940   yaim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