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D6용 CPU와 램 선택 질문

왈사   
   조회 13103   추천 1    

며칠전 가입해서 퇴근후 사이트 2cpu 이곳저곳 둘러보는게 낙이된 사람입니다.

(레이드 처음 해보는 왕초보입니다!!!)

컴퓨터 조립을 레고조립처럼 좋아하지만, 지식수준자체는 낮은편입니다.


현재 ‘스토리지PC’용도로 8-BAY RAID6를 계획중입니다.

NAS와 비슷하지만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1인용 윈도우 PC입니다

자료내용은 영화와 아이들 성장 영상입니다

아이들 영상은 당연히 백업본이 있고요,

영화는 백업본이 없는 원본입니다 (용량이 너무 커서 백업 만들 엄두가 안납니다)

다만 RAID6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안전을 보장하고 싶습니다



제가 쓰려는 용도가 충분히 설명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제가 세팅한 견적 첨부하고요

이곳 고수님들의 조언에 따라 조금씩 고쳐갈 생각입니다

아직 RAID6용 CPU를 결정못했는데요

지금 보관중인(놀고있는) CPU는 AMD 200GE, 3000G, 4650G, 인텔 10세대 2개, 카비니같은 온보드cpu 몇 개정도인데... 성능의 마지노선을 200GE로 잡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좋아하는 CPU이기도하고 100%로드일 때도 소비전력이 20W를 넘지않습니다

그런데 글을 쭉 읽어보니 RAID6는 CPU와 램이 일을 많이 하는 것 같더군요

(어느정도 일을 하는지는 도저히 감은 안옵니다만...)

200GE, 3000G, 4650G 요 3모델도 괜찮다면 가장 적당한 것으로 골라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냥 고민없이 4650G을 써도 되는데 초기세팅 제외하면 한달에 한두번 쓸텐데 아깝다는 생각도 들고 ^^ㅎ

그리고 램도 현재 16G로 세팅해놨습니다 아주 넉넉한거죠?


하루에 고민한개씩만 제거해보겠습니다!!


박문형 2024-08
NAS로 사용하실 예정이신가요??

그렇다면 NAS엔진은 어떤 제품 사용 예정이십니까??
     
왈사 2024-08
나스아니고 윈도우기반에 HDD만 잔뜩 때려박은 형태입니다
총 10개 하드 들어가는데 이중 8개만 RAID로 묶을 예정이고요
술이 2024-08
레이드카드 안쓸거면 레이드5/6 꿈도 꾸지마세요. 무신 CPU와 메모리가 소프트레이드에 관여한다고...

레이드5부터 쓸거면 무조건 레이드카드 써야됩니다.
     
왈사 2024-08
당연히 레이드카드 쓸예정입니다
그런데 레이드라는 것이 생소하고 모르는것 투성이라 일단 제가 확실히 아는 분야부터 확정짓고 가려고요....
현재까지 확정된것은 ZFS가 아닌 레이드6라는 것과 HDD 10개중 8개를 레이드하는 것, 인터넷연결없이 오직 개인용 스토리지PC라는 정도입니다 ^^
     
왈사 2024-08
아... 어디서부터 잘못전달된 것인지 모르겠는데...

소프트레이드는 처음부터 예정에 없었고,
RAID6가 초기세팅이나 리빌딩시 리소스를 많이 차지한다고 읽은 것같아서 제가 가진 유휴장비로 커버가능한지 여쭌겁니다
박문형 2024-08
레이드 카드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1 : 캐쉬 메모리가 달린 하드웨어 레이드 콘트롤러  : RAID LEVEL 0, 1, 1+0, 5, 6, 50, 60 지원  : 레이드 전용 프로세서가 달려 있음

      각종  OS에 맞는 드라이버와 관리 유틸리티 그리고 호환되는 시스템만 있으면 설치 및 사용 가능

    신품은 가격이 꽤 비쌈 (최대 200~300만원??), 보통 8체널을 기준으로 하고 24체널까지 있음

      10~15년 전에는 SATA 레이드 카드도 있었지만 SAS 레이드 카드에 다 흡수됨 (SATA 디바이스가 SAS 카드에 하위호환이 됨)



#2 : 캐쉬 메모리가 없는 호스트 버스 아답터  : RAID LEVEL 0, 1 , 0+1 지원  : 소프트웨어 혹은 펌웨어 레벨에서의 레이드 지원

      LSI /Adaptec 제품은 리눅스 드라이버가 지원됨 , 인텔 제품은 온보드 형태가 대부분인데 리눅스 지원 못한 윈도우즈 전용

      AMD 보드에도 온보드 형식의 레이드 기능이 있으나 거의 사용하지 않음 (여러가지 자잘자잘한 문제가 많음, 잘 사용하는 사람은 잘 사용하겠지만)



레이드카드는 서버에서 왔는데 현재 시장의 80~90%는 LSI (현재 브로드컴) 제품이 판매/사용되고 있고 나머지가 Adaptec (현재 마이크로칩)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 사용됨


요즘 사용되는 NAS엔진 (헤놀로지, 트루나스 등)에서는 호스트 버스 아답터를 디폴트로 사용하고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는 사용하지 못함

 캐쉬 달린 레이드 카드는 NAS 엔진 프로그램에서 재대로 지원 및 호환이 안됨


대충 이정도고 이야기 하면 한도 끝도 없습니다만

RAID 5/6 를 돌릴려면 무조건 캐쉬메모리가 달린 하드웨어 레이드 카드가 필요합니다..

보통 새 것은 가격이 비싸기에 중고를 구해서 사용하는데 중고도 일반 시장에서는 보기가 힘듭니다..

그리고 레이드 카드 사게 되면 시스템에 맞추어 케이블도 따로 구매해야 합니다..

SAS 6G급 레이드 카드면 대략 10TB HDD 까지는 콘트롤이 가능합니다..

SAS 6G 급 제품들은 보통 10년이 넘은 제품들이 대부분입니다..

가능하면 SAS 12G 급 카드를 구하면 좋은데 국내에 거의 없기에 이베이나 알리를 헤매야 합니다..

SAS 12G 급 레이드 카드도 LSI 제품으로는 대략 3단계 정도의 세대가 있습니다.. (하나하나 따지면 제품이 엄청 많습니다..)


HDD 10개를 달려면 12CH~16CH 급 카드를 구해야 하는데 이것도 구하는게 쉽지는 않을 겁니다..



https://www.youtube.com/@ArtofServer

레이드카드 , 호스트버스 카드 , 슈퍼마이크로 스토리지서버, 델서버 쪽으로 유명한 유튜브 사이트 입니다..
     
왈사 2024-08
카드는 이곳 장터에서 구매하려고 '생각'만 해두고 있었는데... 따져볼것이 엄청 많군요 ㅠㅠ
김강호 2024-08
저장소 PC면 신뢰성이 꽤 중요할 텐데 중국산 보드를 직구하는 건 지양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왈사 2024-08
재미삼아 몇개사봤는데, 생각보다 꽤 잘만들었습니다 한달내내 24시간 괴롭혔는데 다운없이 잘 작동되더라고요,
암튼 그런 내구성과는 별개로... 호환성과 안전성때문에라도 보드는 말씀처럼 다시 골라야할것 같습니다.
박문형 2024-08
하드웨어란에 가셔서 제 이름으로 검색하면 대략 2000년도부터 올린 게시물들이 있을 겁니다..

거기에 절반 이상이 레이드 관련이니 그 것 보셔도 됩니다..
 

아 그리고 레이드 카드가 서버에서 온 것이라 서버제품은 어느 정도 레이드 카드와 호환서에 문제가 없지만

PC보드에서는 재대로 안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바이오스 충돌이나 레이드카드 바이오스가 커서 PC 부팅시 못 올라가는 경우가 많은데요..

바이오스에서 온보드 붙어 있는 장치들 하나하나 디세이블 시켜서 레이드 카드가 인식하게 만들던지

그것도 실패하면 바이오스 엔지니어가 바이오스를 새로 개발해서 (고쳐서) 레이드 카드가 동작되게 만들어야 하는데

개인이 할 수 없는 영역입니다..

개인이 할수 있는 것이라고는 다른 제품의 보드로 바꾸고 노가다 하는 정도입니다..

그 외 레이드 카드는 인텔보드에서 보통 개발되고 호환성 테스트 하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에 AMD보드에서는 호환성 문제가 더 심하게 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보드마다 다르고 레이드 카드마다 다르고 어떻게 셋팅을 하였느냐에 따라 다르기에 직접 투자해서 테스트 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에서는 기가바이트 보드가 그럭저럭 레이드 카드와 호환성이 좋으나 옛날보드가 그렇고 요즘 보드는 아마 호환성이 옛날 보다 떨어질 수 있습니다..

요즘보드는 사실 레이드 카드를 달수 있는 슬롯조차 대대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박문형 2024-08
https://rasco.co.kr/

국내에서 LSI 레이드 카드 새것 파는 곳입니다..

http://www.raidmall.com/

국내 아답택 레이드 카드 총판 쇼핑몰입니다..
dateno1 2024-08
저런거 구성하는분들에게 항상 하는말 있습니다

CPU 전력 소비 깍아도 별 소용 없습니다

어차피 HDD가 퍼먹는 엄청난 전력에 비하면 CPU가 소비하는 평균 전력따윈 너무 한줌이라 오차입니다 (지금 적힌만큼 빨면 HDD 1개당 20왓정도로 총 200왓이나 빨아당기는데, 시퓨 조금 줄여봤자 티도 안 납니다)

이게 소비하는 전력 줄여봤자 팬 몇개 차이정도밖에 안 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정도 시퓨 다는데 저런 거창한 쿨러 필요 없습니다

번들 쿨러 쓰시거나, 케이스에 맞는 저렴한넘 고르시면 됩니다

NAS OS 부트 디스크 성능 별로 안 중요하다지만 그런 줘도 안 할 쓰레기 절대 비추입니다

HDD 12V 계산할때 절대 표기 전력 상한의 합계만큼 잡으시면 안 됩니다 (그 200~300%정도가 피크입니다)

RAM은 필요한만큼 OS등 고려해서 다시면 되는데, 좀 넉넉하게 달면 Cache같은것 이득 볼 수 있습니다 (RAM 싸요)

보드는 ITX 케이스땜에 안 들어가는게 아닌 이상 절대 비추입니다

NAS 운영및 구성하다보면 PCIe 몇개 있는게 유리한데 (SAS/NIC/SSD등 달껀 많음), ITX는 x16 1개라 답이 없습니다

위에도 적은대로 HDD의 구동 피크 전압 장난 아닌지라 10개인데 절대 350왓으로 안 충분합니다 (켜는 순간 시퓨랑 달아둔 디스크 12개가 동시에 피크로 빨아당길껍니다)

NAS경우 이걸 피하기위해 순차적으로 디스크를 기동하게 되어져있는데, 자작하면 이런거 없으니까 무조건 용량 키워야 합니다
박문형 2024-08
그 외 현재 리테일 시장에서  파워에서 HDD 10~12개 정도 커넥터가 있는 파워도 거의 없고 그만한 용량을 견디는 파워도 거의 없습니다..

아주 비싸면서 대략 1,000와트 이상급 파워나 있을까 말까 합니다..

분기 케이블 주렁주렁 달아서 쓰다가 전류값 못 맞추어서 최악의 경우 하드가 사망하거나 케이블 커넥터 저항 때문에 커넥터에 열나서 불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HDD가 데이터를 망실하지 않고 동작이 가능한 최대 온도는 최대 50~60도 정도 입니다..

HDD를 많이 달고 HDD 냉각펜 없이 돌리면 온도가 올라가서 데이터 나 날려 먹을수 있습니다..

시스템 운용시 HDD는 최대 45도 이하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HDD 많이 넣고 돌리면 냉각펜도 꽤 필요하고 시스템이 시끄러워집니다..
박종호 2024-08
raid는 데이터 안정성 보다는 무정지 서비스와 큰 단일 볼륨이 목적이라고 보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 사양대로라면 파워는 저 숫자의 하드를 감당 못할것이고
서버의 공기흐름에 맞춰서 방열판만 붙여 나온 레이드 컨트롤러는 불타오르겠죠
저런 이상한 보드는 문제를 일으키지 말아달라고 기도를 열심히 해도 들어줄지 모르겠네요

그래서 이것저것 적정선에 맞추다 보면 비싸고 크고 무겁고 전기 많이 먹고 시끄러운게 나오게 됩니다

그쯤 되면 그냥 하드를 더 사서 백업본을 하나씩 더 두는게 싸게 먹힐겁니다
추후 용량 확장에 있어서도 레이드보다 훨씬 편할거고요
     
왈사 2024-08
그렇지않아도 다시 기성품(나스)과 DAS를 돌아보는 중입니다 ㅠㅠ 돌고돌아 원점...
며칠더 고민해봐야겠네요
박문형 2024-08
LSI(Broadcom) SAS 12G RAID CARD

LSI SAS 9361-16i
LSI SAS 9460-16i

SAS 12G 레이드 카드는 다음 두가지 모델 알아보세요..

LSI SAS 9560-16i
LSI SAS 9660-16i

도 있기는 하나 이것들은 거의 최신형이고 SAS HDD 보다는 U.2 NVME 용입니다..

LSI(Broadcom) 는 OEM 비지니스를 기본으로 하기에 벤더 제조사에 튜닝된 OEM 레이드 카드를 구하기 쉽고 리테일 레이드 카드가 구하기 어렵습니다..

OEM 제품은 해당 OEM 시스템에서만 동작하는 경우도 있기에 (특히 인텔서버) 가능한한 리테일 제품으로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실 SATA HDD가 6G 까지 밖에 없기 때문에 SAS 6G 레이드 카드를 사용해도 됩니다.. (12G 카드 보다는 느리겠죠..)

레이드 카드는 제조사마다 특징과 셋팅 방법 용어 메뉴 등이 다 틀리기에 본인이 맞을만한 제조사 카드를 구한 다음 많이 공부하고 셋팅해봐야 실력이 늡니다..

공부중에 본인과 안 맞겠다 싶으면 다른 제조사 레이드 카드로 시도해보셔야 할 것입니다..
     
왈사 2024-08
여러가지 도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httpd 2024-09
헷갈릴땐 시놀로지 추천드리긴합니다.
httpd 2024-09
저희집 스토리지 서버 스펙 적어드릴께요.

cpu : e3 1240l v5 (25w 정도인데 4코어 8쓰레드)
ram : ddr4 ecc udimm 8g x 2 = 16gb
메인보드 : asus p10s v/4l (sata 8개)
os : 헤놀로지
nvme : 950 pro 256gb nvme x 2 (pcie to nvme 변환씀)
hdd : 8tb wd x 8개
파워 : 700w
쿨러 : 잘만쿨러( 모델명은 까먹음)

이렇게 쓰는데 4년째 조용히 잘 돌아갑니다.
e3 1240l v5 는 저평가된 cpu라고 봅니다. 써본 cpu중에 만족도 5위안에 드는 cpu입니다. 안정성 + 저전력 + 속도 다 마음에 듭니다.
저는 raid6은 아니고 shr (시놀로지) 인데 raid 5랑 비슷해서 잘쓰고 있네요.
중요한건 하드에 녹투아 14cm 팬 달아줬습니다.
snsv 2024-09
저도 글쓴분과 비슷한 용도 (개인 사용, 영상 저장, 단일 볼륨)의 컴퓨터를 만들면서 디스크 구성을 고민 했습니다
그래서 lsi 9361, 테스트용 하드 3TB *12 구매하여 이것저것 테스트해보고 저는 저장소 풀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14TB *2, 8TB *3, 4TB *3 짬뽕 구성으로 패리티 모드 사용중이고 동영상파일 기준으로 쓰기 속도는 400~600MB/s 나옵니다
227skt 2024-11
저는 트루나스 사용중입니다
채굴용 중고 파워중에 케이블 굵은거 골라서 분기 케이블로 3테라 사스 하드 24개 달고 빡쌔게 굴려봤는데 채굴용 파워는 그정도는 버티더라고요
케이스는 10만원짜리 치아코인 채굴용 케이스 쓰고있습니다
랜카드는 x540 at2, hba는 9300-16i, 익스팬더 카드는 아답텍 12기가짜리 썼네요


제목Page 1/56
2014-05   5246946   정은준1
2015-12   1772291   백메가
2010-09   19999   박문형
2010-10   17874   박문형
2010-10   17220   빡시다
2010-10   16901   딕맨
2010-10   17253   다롱이
2010-10   20719   빡시다
2010-11   18382   성기사
2010-11   19106   심바트
2010-11   15803   빡시다
2010-11   17040   박종용
2010-11   19658   김현웅
2010-11   17388   이현석1
2010-11   21617   성기사
2010-11   18828   6툴
2010-12   15949   ZEBE
2010-12   19044   정용우
2010-12   18907   양재혁
2010-12   18703   monan
2011-01   16095   박문형
2011-01   16939   yaim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