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 매핑이란 보통 라우터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건 네트웍3계층에서 이루어지는것입니다
다시 말해 외부에서 웹사이트를 접속하고자 할때 80포트를 타고 들어옵니다
하지만 인터넷 공유를 할시에 다이렉트 연결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어느피시로 가야할지 모르고 또한 서버까지 치고 들어오질 못합니다
이에따라 공유기에서 몇번피씨가 서버다라고 지정을 해주면 (일예로 192.168.0.2 ~ 192.168.0.30) 까지 사용시에 서버가 192.168.0.27 이라고 할때 PAT 설정시 192.168.0.27 을 지정해 주시면 되는거지여...
외부에서 접속시 서버와 연결을 시켜줄수있는 기능입니다.
이기능을 PAT 라고 합니다
여러분께서 아시는 NAT 와 약간 다릅니다
NAT 는 공유의 개념이고 PAT 는 공유상에서 특정피시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그리고 님께서 말씀하신 장비는 제가 써보지도 보지도 못한 장비이고 메뉴얼이 없기때문에 더 이상 설명해 드리긴 어려울꺼 같고
메뉴얼에 PAT 기능이 있는지 참조하시면 금새 답을 얻을수 있을꺼라 생각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만일 ADSL 사용자가 아니시고 케이블가입자라면 80포트는 막혀 있을겁니다
참조하세요..
>아는 분께서 IP 공유기를 구입하셨는데요..
>
>여기서 포트매핑에 관한것을 물어 보더라구요..
>
>제가 IP공유기를 안써 봐서 모르겠는데요...
>
>어떻게 답변을 해 줘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단지 포트매핑에 관해서 물어보던데......
>
>
>그 분이 사용하는 기종이 \"링크시스\", \"3Com\" 기종이라고 하던데요...
>
>포트매핑 어떻게 설명해 줘야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