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로드밸런싱이란... ^*^

김동범   
   조회 15906   추천 8    


>>
>>컴퓨터 한대에 저 회선 두개를 물려서 10Mbps + 10Mbps 를 합쳐서 20Mbps로 만드는 것이 가능한가... 그게 궁금하거든요. ^^ 컴터에 랜카드 두장을 꽂아서 각 회선을 연결하고... 그냥 그렇게만 해서는 안될꺼 같거든요. 이러헥 해서 통신속도를 올릴 수 있을까요? ^^
>>
>
>통신의 속도가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
>>아니면, 한 회선이 중단되면 자동으로 다른 회선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일종의 백업라인 역할을 할 수 있게는 할수 있을까요? ^^
>>
>
>백업라인의 역할은 충분합니다.
>
>>운영체제는 200 Pro 입니다. ^^ 여기서 저 방법들이 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되는지... ^^ 아니면 리눅스 위에서 가능하다면 그것도 가르쳐주세요. ^^
>>
>>저는 분산네트워킹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어서리... ^^:;
>>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__)
>>
>
>
>>
>>P.S. 추가질문...;; 3D MAX에서 렌더링할때 CPU 점유율이 100%되면서 느려지는 현상을 보이는데;; 듀얼로 바꾸면 좀 나아지나요? (짐은 빤쓰네장 1.8GHz) 듀얼을 계속 고려하면서 알아보는 중인데... 저것 때문에 더 망설여지네요;;
>
>랜더링속도가 비약적(?)으로 향상을 하게 되고 CPU점유율도 떨어집니다.
>
>
>web server의 예로 Load Balancing을 설명하겠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접속하는 사이트들이 사용자의 응답에 즉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2가지 정도의 요건이 있습니다.
>첫번째로는 네트워크의 전송속도를 높이는 방법이고
>두번째는 서버의 응답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네트워크 전송속도는 주로 회선의 대역폭이 좌우하게 되는 반면,
>서버의 응답시간은 서버의 CPU, Memory, IO장치의 성능에 달려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서버에 메모리를 추가하거나 CPU를 더 빠른 것으로 교체하는게 일단은 서버의 접속속도 즉 응답능력을 높이는 가장 손쉬운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의 향상은 어느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버의 수를 늘려 클러스터링 형태를 이루어 서버의 성능의 향상을 시키게 됩니다.
>이 클러스터링상의 서버별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과정이 있어야 됩니다.
>분산하는 과정이 없다면.. 1번 서버는 죽도록 응답을 하고 있는데. 2번 서버는 탱자탱자 놀고 있는 현상이 발생하여 접속속도의 향상을 가져올수 없습니다.
>이것을 해결해 주는 것이 로드 밸런싱으로 로드 밸런싱을 담당하는 장비, 소프트웨어등의 역할은 서버간의 작업 부하를 균등하게 나누어 주는 것입니다.
>
>예를 들면
>www.2cpu.co.kr 이라는 사이트가 5대 정도의 서버로 운영된다고 하면.
>메인서버 - 서버1, 서버2, 서버3, 서버4 이렇게 있다고 하죠.
>10000명의 사용자가 동시 접속을 한다면.
>서버1 2500명 25%
>서버2 2500명 25%
>서버3 2500명 25%
>서버4 2500명 25%
>이런 형태로 분산을 시켜주는 것입니다. 물론 사용자들이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기는 하겠지만...
>
>로드밸런싱을 담당하는 제품은 하드웨어 제품, 소프트웨어 제품 스위치제품등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Cisco(LocalDirector, DistributedDirector)  http://www.cisco.com/
>IPivot(Intelligent Broker)  http://www.ipivot.com/
>Hydraweb(Hydra5000)  http://www.hydraweb.com/
>F5 Lab(BIG/ip)  http://www.f5.com/
>
>소프트웨어
>IBM(WebShere)  http://www.ibm.com/
>Resonate(Central Dispatch)  http://www.resonate.com/
>
>스위치
>Alteon System(AceDirector Switch)  http://www.alteon.com/
>Arrowpoint(Content Smart Switch)  http://www.arrowpoint.com/
>Holontech(HydraFlow 2 Switch)  http://www.holontech.com/
>Cabletron(Smartswitch)  http://www.cabletron.com/
>Foundrynetworks(Serverlron)  http://www.foundrynetworks.com/
>
>이상 허접 답글이었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라면서 항상 웃은 얼굴 ^*^
>


답변 감사합니다. ^^;;

그렇다면 통신속도는 증가하지 않더라도 백업라인 역할을 할수 있도록 해주고 싶은데 어떻게 설치를 하면 되는지 설명 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

라인은 위에 말씀드린대로 도루넷 프리미엄하고 신비로 샤크구 둘다 케이블모뎀, DHCP를 이용하는 유동IP이구요. 랜카드는 둘다 Intel 10/100 랜카드입니다. 운영체제는 Windows 2000 Pro SP2이고...

어떻게 설치해야 백업라인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을지 가르쳐주세요. ^^

랜카드 두장을 꽂고 각각 라인을 끼우고 그러면 땡인지... 아니면 다른 설정을 또 해줘야하는지...

한번만 더 부탁드립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5699/5731
2014-05   5268294   정은준1
2015-12   1793334   백메가
2003-03   12735   김규원
2002-08   13888   정광훈
2003-03   12137   천희승
2003-03   17365   김동범
2003-12   9948   한상헌
2002-05   16979   장무
2004-02   9060   우승엽
2004-01   8011   채윤성
2003-04   10373   정영재
2003-11   15364   김일환
2004-02   10513   장진우
2003-10   13463   이상돈
2003-05   11146   박이웅
2003-01   11355   김정혁
2004-05   9107   민경섭
2003-09   10555   김지영
2003-09   12113   임영보
2003-09   8815   염성일
2002-08   13735   이승환
2003-08   10715   김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