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허브만으로는 잘 안될것 같습니다 만

정인배   
   조회 10205   추천 48    


1. 일반적이 전용선은 전용선->FDSU,CSU 등(전화선의 모뎀으로 보면 됩니다.)
    ->라우터->허브의 구조 입니다.
    여기서 허브는 허브에물린 포트끼리의 연결기능만 하고 외부로 나가려면
    라우터가 필요합니다. 이 라우터가 논리적으로 게이트웨이 구실을 합니다.

2. ADSL, 케이블 경우 역시 ADSL/두루넷 모뎀을 통해서 허브 or 공유기로
    연결 됩니다. 이때 ADSL/두루넷 모뎀이 위의 전용선에서 처럼 라우터
    (게이트웨이) 기능을 같이 합니다. 유동IP 이기때문에 한통/두루넷의
    DHCP 서버에 가서 IP하나를 받아오고 DNS 정보를 가져와서 쓰게 될겁니다.

3. 허브 형태로 나온 제품중에 두개의 포트로 들어온 외부네트웍을 물릴수
   있는것은 시판되거나 하는것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라우터라는 것에 외부선 두개를 물리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
   입니다.  라우터는 웬만하면 외부 2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4. 따라서 현재 시판되는 허브에 단순히 두개를 물려서 자동으로 분산하는
   기능은 안될걸로 보입니다. 뭔가 허브내부의 네트웍을 외부로 중계하는
   기능(장비)이 있어야 할걸로 보입니다.

어떻게 동작할지는 저도 해보지 않았지만 궁금 하네요. 고정 IP라면 PC의
DNS , 설정에따라 나갈것 같기도 하고. ADSL 처럼 유동 IP라면 .. 음 ...
함 해보세요. 어떻게 연결이 되는지 .. 상황에따라 좀 틀릴것 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5664/5728
2014-05   5257191   정은준1
2015-12   1782021   백메가
2013-03   19428   장현재
2014-02   19431   이사장
2013-12   19432   삐돌이슬픔이
2014-11   19440   네이쳐
2013-09   19444   악땅
2015-05   19445   JandD
2014-11   19447   나너우리
2012-02   19453   잔디
2016-04   19456   김효수
2016-02   19458   최시영
2002-05   19485   김동률
2013-01   19489   김건우
2002-05   19492   최영철
2010-02   19493   가빠로구나
2013-11   19497   장동건2014
2014-07   19498   조재형3
2019-11   19500   이지포토
2015-02   19503   inquisitive
2015-09   19512   회원K
2016-01   19517   하늘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