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 인텔 에이엠디 와 관련된 3D 작업 질문

이장원   
   조회 10050   추천 12    

듀얼 시스템의 경우 대략 50% 정도 성능이 올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2GHz 듀얼 시스템의 경우 3GHz 정도 된다고 생각하시면 되죠. 잘짠 랜더링 프로그램의 경우 이론상 거의 2배에 다다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듀얼 시스템의 진정한 장점은 멀티 작업에 강하다는겁니다. 랜더링 걸어놓고, 웹서핑을 한다던가 다른 작업을 하는데 별로 지장을 안받습니다.

200만원이 예산이시라면 듀얼 시스템보다는 싱글 시스템 2대를 마련해보시는것도 괜찮습니다. MAX 내장 랜더러의 경우 SSE2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 3.0GHz의 P4를 랜더링 전용 머신으로 하나 마련하고, AMD 바톤 2500+와 nForce 보드로 모델링 시스템을 만들어 보는것도 괜찮죠. 오히려 작업 능률면에서 나을 겁니다. P4 시스템은 랜더링 전용으로 그래픽 카드는 그냥 내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해도 될 것이고, Athlon 시스템에 괜찮은 그래픽 카드를 달면 됩니다.

AMD나 Intel이나 듀얼 시스템의 안정성은 비슷합니다. 다만 AMD 듀얼 시스템 유저들의 상당수가 가격에 신경쓰면서 스펙대로 안만들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는것 같습니다.

참고로 ILM(Industrial Light and Magic)에서 쓰는 랜더팜의 클러스터 시스템은 모바일 애슬론 1600+ 듀얼 시스템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Death Star란 이름의 클러스터 시스템입니다. 현재 노드수는 750개이고, 1500개의 CPU가 돌아가고 있답니다. 헐크를 만드는데 이 시스템이 사용되었습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 3에서는 현재 노드수를 2배로 늘린다고 하더군요. ILM 같은 측에서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면 계속 사용하진 않겠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5443/5727
2015-12   1777602   백메가
2014-05   5252616   정은준1
2003-04   11093   김일환
2005-07   6175   김덕기
2005-07   6395   김건우
2006-01   5409   홍현철
2006-12   5229   윤종완
2003-04   10997   손성호
2006-01   5364   김형필
2006-04   5865   이민영
2004-10   6960   김도형
2004-03   8324   한동훈
2004-11   7192   차승환
2005-06   5701   송영오
2003-01   12158   홍승수
2004-02   8497   김주일
2004-05   9015   오승준
2004-01   7715   이상기
2004-09   7046   한동훈
2005-06   5851   이성준
2006-07   5675   이원기
2004-10   6996   이기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