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BSD에서 FTP서버가 실행이 안되는 군요.

이정석   
   조회 5784   추천 31    

완전히 하드웨어적인 질문은 아니지만 네트웍에 관한 기반지식에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합니다.

일단 사용 용도는 차후  HDD의 확충을 통한 파일서버를 계획(!!)중이구요.
현재는 간단한 다운로드 머신의 역할을 하기 위해 조립을 하고 FreeBSD를 설치한 상태입니다.
간단한 서적을 통해 설치와 FTP데몬(proftpd)의 설치까지는 완료된 상태입니다.
커널 컴파일도 허접하지만 서적에 제시된 방향을 참고로 제 나름데로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드릴 사항은 FTP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메인 등록을 해야 하느냐 입니다.
proftpd를 시작하려 했을 때 네트웍 설정상에서 지정한 도메인을 알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납니다.
따라서 당연히 실행이 되지를 않습니다.
참고한 서적에서는 추가적인 데몬을 설치하지 않아도 inetd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 ftp데몬으로도
접속이 가능해야 하지만 고정 ip를 사용하는 곳에서 내부 네트웍으로 윈도 시스템에서 ftp프로그램으로
접속을 시도하였을 때 반응이 없습니다. 한참을 연결지를 찾다 time over가 발생합니다.
HDD를 교체하여 집에서 전용선에 물려 다시 설정을 한 후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군요.

질문을 하게 된 계기가 도메인을 찾을 수 없다고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달리 해석하면 도메인이 등록되어 있는 것을 지정해야 서버로서의 역할을 할수 있다는 말인지요?
아니면 제가 설정을 잘못하여 발생하는 것인지요?
서적에서는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이 없었습니다.
단지 ftp서버 설정 파트 이전에 DNS서버와 웹서버, php, mysql 등의 설치 및 설정에 관한 부분이 있고,
그 다음 파트에 ftp서버 설정에 관한 내용이 있었지만 앞부분에서도 도메인과 관련된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어갔었습니다.
윈도우즈 네트웍 설정에서는 호스트 네임이 거의 의미가 없었기 때문에 더더욱 그랬습니다.
물론 윈도우즈에서는 서버의 역할을 할 필요는 없었기 때문에 그럴 수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

장황하게 썼지만 간단하게 줄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동이든 고정이든 ftp서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도메인이 있어야 하는가?' 입니다.

이쪽에 너무 지식이 없고 또 네트웍에 대한 체계적인 기반이 전혀 없어서 많이 힘드네요.
그냥 윈도로 할걸 그랬나 생각도 들고 하루에도 몇번씩 윈도로 폴더 공유걸고 쓰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QnA
제목Page 4873/5729
2014-05   5258263   정은준1
2015-12   1783095   백메가
2005-11   5116   한성확
2005-11   5676   권종일
2005-11   5705   이만재
2005-11   5567   최원식
2005-11   5578   정재연
2005-11   5755   방효문
2005-11   5657   윤호용
2005-11   5463   한웅
2005-11   6119   차재근
2005-11   5875   김대성
2005-11   5972   장현모
2005-11   5482   양민선
2005-11   5301   이창석
2005-11   5342   이상현
2005-11   5984   김지환
2005-11   6210   김건우
2005-11   5500   유이동
2005-11   5699   이성준
2005-11   5311   강상진
2005-11   4958   임영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