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4명의 직원들이 각각 한대씩 관리자 계정을 만들어서 쓰고 있지요. 그런데 이 4명이
>서로 다른 사람의 컴에 있는 파일에 접근하고 싶다고 합니다.
>
>사무실 여건상 중앙 서버를 둘 형편은 못 되어서, 그냥 각자 공유를 허용할 폴더를
>지정하고, 이 폴더에 공유설정을 하는 방법을 쓰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쉽지가 않네요.
>
>네트워크 공유를 그냥 허용하자니, 외부에서 아무나 공유폴더에 접근할 수 있을터이므로
>보안상의 문제가 있겠죠. 네트워크 공유기를 이용해서 이 4대의 컴퓨터만 연결하는 서브넷을
>만들면 간단하겠지만, 중앙 전산실 방침이 서브넷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공유기를 연결하면
>귀신같이 이를 감지하고는 바로 다음날 득달같이 전화를 합니다.
>
>그래서 생각해 낸 방법은 이들 4명이 서로 상대방의 계정과 비번을 공유하던가, 아니면 4대의
>컴 각각에다가 이들 4사람의 계정을 모두 만들도록 하고, 이들 4개의 계정에 파일 수정 권한을
>주는 방법 정도가 있는데, 혹시 이것보다 좀 더 세련된 방법은 없을까요?
>
>이것저것 연구하다 보니 '도메인' 으로 4대의 컴을 묶는 방법도 있는 모양인데, 이렇게 하려면
>중앙에 윈도 서버 컴을 따로 두어야 하는거죠? 그리고 액티브 디렉토리라는 것은 또 무엇인지...
>
>윈도우도 제대로 활용하려면 정말 어렵네요.
잘 아실거라 생각되지만 혹 이런 방법도 있다는것도..
돈이 좀 들지만 좋으며 쉬우며 간단한 방법 하나 알려 드립니다.
다른 분들도 그렇게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방법입니다.
예산
4포트 허브 : 2만원 (여러명이 쓰실려면 8~24 포트 구입하셔도..)
100랜 카드 : 7천원 * 4
기타 : 랜선
공유를 할 컴터에 모두 랜카드를 하나씩 추가를 하시구요...
각 컴터의 장착한 랜카드를 구입한 허브에 전부 연결합니다.
그다음 추가한 랜카드의 ip를 사설 ip로 설정 해 주시면
윈도우의 일반적인 공유가 됩니다. ip의 주소는 각각 달라야 겠죠..
이때 사설 ip 는 몇개의 군이 있지만 주로 192.168.0.1 ~ 192.168.0.255 범위를 사용합니다.
이때 작업그룹인가 그걸 같게 해 주셔야 한번 더 클릭하는 번거러움이 없습니다.
혹시 공유상의 보안이 걱정되신다면
방화벽 설정부분에 가시면 프린터/파일 공유라는 것이 있는데
허용 ip를 방금 등록한 사설 ip를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금전적으로 여유가 안되시면 다른분들 답처럼 웹하드 같은거 밖에 없구요,.
혹 여유가 좀더 되시고 사용환경이 대용량의 파일을 주고 받으신다면
기가 비트로 구성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혹 이미 컴터에 기가비트랜이(요즘 보편화되고 있고) 장착되어 있으면 그것을 사설로 이용하시고
100M 랜을 일반 인터넷으로 이용하세요...
아!~ 사설 ip 설정시에 gateway 와 dns는 설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전 이미 이렇게 사용중이구요..
이 방법은 중앙이랑 하등의 연결이 없는 관계로 문제가 없다고 생각 됩니다.
왜냐면 중앙 서버실에서 나오는 라인으로 서브네트웍을 구성하는게 아니라
그 사무실 내에 한해서 하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추가로 서브네트를 구성하기 어려우시면 위에 말한 방화벽에 프린터.파일 공유부분에
공유하고자 하시는 분들의 ip만 입력하면 그분들만 연결이 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