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기가비트 허브 달았는데요

정희섭   
   조회 9364   추천 0    

인터넷 - 공유기 iptime v108 - 기가비트 허브 anygate sg501 이런구성이구요

한쪽컴은 PRO/1000GT 다른쪽은 꽃게텍 8169 입니다

케이블 한쪽은 카테고리 5 이고 한쪽은 5e 입니다.

점보프레임 설정 안하고 대략 300Mbps 정도 나오는데 잘 나오는건가요? ^^;

*아 측정은 jperf 로 했습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300Mbps 면 둘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의 랜이 대역폭에 걸린것 같습니다.
대부분 머신에서 흔하게 볼수 있는 상황이죠.
정희섭 2009-02
아하 그렇군요... 그래도 3배니까 만족중이긴 합니다 ^^
대략 27MB/s 니까 PCI 대역폭 보단 널널하니 케이블 문제겠지요?
김용수ak 2009-02
정확한 상황을 모르니 단정할 수는 없지만, pci 슬롯 대역폭에 걸리는 것으로 보이네요.
저도 예전에 pci 방식 기가비트랜 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300Mbps 정도 선에서 걸리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제 경우는 pci-ex 방식 랜카드로 교체해서 해결했습니다.

이건 예전에 pci/pci-ex 랜카드를 교체하면서 테스트 해본 것입니다.
http://2cpu.co.kr/bbs/board.php?bo_table=freeboard&wr_id=534445&sca=&sfl=wr_subject&stx=pci-ex&sop=and&spt=-33884
위의 결과는 cat6 크로스케이블을 이용해서 pc끼리 바로 연결한 상황이지만, 기가비트 허브를 통해서 연결했을 때와 비교해도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현재는 저도 허브(3com 3cgsu05)를 통해 사용 중이고요...

참고로, 근래 보드들 내장랜을 보면 pci-ex 레인 하나를 쪼개서 pci-ex 1배속 슬롯과 공유시켜 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공유된 pci-ex 1배속 슬롯에 레이드 컨틀롤러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pci 방식 기가비트랜 카드를 쓰는 것보다 그냥 내장랜을 사용하는 것이 속도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요즘 하드디스크들은 당시보다 속도가 빨라져서, 싱글 드라이브로도 파일 복사시 네트워크 사용율 60%(600Mbps) 이상이 나오기도 하더군요.
물론 평균 전송속도는 파일크기, 단편화 등의 변수가 많으므로 더 떨어지긴 하죠.
리락쿠마 2009-02
저는 3com 기가비트 허브와 메인보드 내장 기가비트 랜으로 구축한 네트워크를 씁니다. 점보 프레임 켜기 전에는 300Mbps 가 한계였는데 점보프레임을 켜니 싱글 드라이브 복사시 700Mbps(67~70%) 속도 나옵니다. 레이드 0으로 만들면 더 나올것 같기도 합니다.
정희섭 2009-02
내장랜이 둘다 100Mbps 짜리라 별수 없네요...
pci-ex 타입은 쓸래야 쓸수도 없는 상황이네요 ^^;
답변 감사합니다 ^^


QnA
제목Page 4215/5727
2014-05   5252492   정은준1
2015-12   1777511   백메가
2005-12   5316   손재훈
2007-04   5451   이문흠
2004-11   7284   이세휘
2018-07   3431   통통9
2005-07   5830   장현모
2008-12   5758   권형규
2006-04   5821   이희원
2017-04   5362   박상범
2016-06   7917   백만스물하나
2016-07   3826   박상일
2005-10   5693   이준성
2006-04   5355   김우택
2017-06   4934   s김종화z
2009-01   5880   김정훈
2006-05   4820   박성만
2006-06   5801   김윤술
2016-12   5150   김황중
2017-04   9509   audacity
2016-07   7850   룰루랄라
2017-07   4308   ItsJae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