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편집용 노트북.

akfalles   
   조회 8017   추천 0    

요번에 제대한 후배가 복학하면서 pc 구입에 대해서 물어보길래 질문 올립니다.

주로 애프터이펙츠와 프리미어 작업을 할 것인데, 데탑이나 노트북 중에 하나로 갈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제가 노트북에 대해서는 거의 아는게 없어서요.

혹시 추천할 만한 제품 있는지요? 문의할 수 있는 관련 판매 사이트나 이런 것도 괜찮고요.
가격은 일단 최대 200만원 정도 생각하고 있답니다.
아 그리고 집에 다른 pc가 없기 때문에 노트북을 구입하게 되면 그걸로 다 해야 하는데, 혹시 LCD 모니터도 큰 녀석으로 따로 하나 사야 하는지요?
포토샵이나 일러스트레이터 뭐 이런 것들도 다 그걸로 굴려야 할테니까... 타블렛도 필요할테고...
아무튼 이런저런거 다 포함해서 최대 200으로 잡고 있답니다.
정 안되면 뭐 데탑으로 조립해야 겠지만...

현금은 힘들고 카드 할부로 결재할 듯 합니다.
데탑 조립은 현금이냐 카드냐에 따라 같은 가격에 사양이 달라지는데, 노트북은 어떨지 모르겠네요.

물론 여러가지 관련 조언들도 환영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종원 2009-03
타블렛을 따로 구매 한다면, 타블렛 랩탑은 필요 없으실 터이고, 그럼 일단은 Dell 코리아에 가셔서 대략적인 가격과 추가 부품의 교환을 해 보시면서 어느 정도 사양을 200 만원에 근접하게 맞추어 보신 뒤, 다나와 에 올라와 있는 유사 스펙 (cpu 나 그래픽 카드로) 검색을 하심이 어떠하시겠습니까?

제 경험으로는 아직까지 유사 스펙일때, 델이 가장 저렴하긴 했습니다. ^^
덕분에 새 랩탑을 구매 하려 할때는, 거진 델부터 들어가서 스펙을 보고, 상향 할 수 있는 부품등을 골라 본 후에, 유사 제품의 타 회사 컴을 사거나, 델을 사기도 합니다. ^^

프리미어는 잘 아는 것이 없어서 최우선 중요도가 cpu 인지 그래픽 카드인지 다른 분들께 바톤을 넘기겠습니다.
문병채 2009-03
노트북의 경우 카드/현금 큰 차이는 없습니다.(정식수입품일 경우...)

홈쇼핑에서 구매할 경우 무이자할부+쿠폰신공을 쓸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일시-불로 현금을 쓸 이유는 없죠.
이지영 2009-03
개인적으로 메인 장비라면 데탑을 추천합니다.
노트북 200이라고 해도, 큰 동영상 작업을 걸면 좀 버벅이는 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데탑으로 하면 인텔 i7 시스템에 메모리 8기가 가득 채우고, 디스크는 OS는 10K짜리 벨로시, 저장영역은 따로 1T짜리 등으로 구성하면 좋고, 노트북이라면, P8400(2.4G), P8700 등의 CPU를 탑재한 노트북에 9600GT를 장착한 모델 구매 후, 메모리는 2G인 경우 추가(2G 1개 달린 경우) 또는 별도 구매(1G X 2개 달린 경우)하여 4G로 교체하는 정도만 하셔도 되고, 하드만 여기 7200RPM 모델로 변경하시고, 기존 하드는 외장케이스 하나 사서 이동식으로 사용하셔도 좋을듯합니다.
200만원에서의 노트북은 글쎄요...
Thinkpad T시리즈들도 가뿐히 200만원을 훌쩍 넘기고 있어서..
노트북 특성상 완제품으로 수입되니 환율을 탓해야겠죠?
최승희 2009-03
전 노트북으로 3D작업과 종종 영상합성(에펙)을 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작년 환율이 올라가기 바로 직전에 리퍼비쉬를 구매 하였습니다.
Dell precision M6300이고 램4G 키보드 한글로 교체 등등..해서 부가세 포함하면
150만원 정도로 구매 했습니다.(중고가 아닙니다.)

이건 제 개인적인 취향이고, 어느정도의 편집을 하시는지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도움이 되실지는
모르겠지만, 전 작업용 노트북을 고를때 대부분 가격이 너무 비싸기 때문에 Dell 리퍼비쉬나
중고를 선호합니다.
단, 중고 일 경우는 컴플리트 커버의 기간이 충분히 남아 있어여하고, 리퍼비쉬 경우일 경우는
월드워런티 3년 A/S가 가능하다는 전제 조건하에 구매합니다.
리퍼일 경우는 구매 후 반드시 소유이전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영상 파이널 작업을 하셔야 한다면 모니터는 따로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M6300만 그런지 모르겠지만, 노트북 모니터는 화각의 미세한 각도 차이에 따라
밝기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영상을 하시는 분이 생각하시기에는 심합니다.)
노트북 모니터로 영상 파이널 색을 잡기는 힘드실것 같습니다.

저는 오픈마켓중에 옥션에서 종종 Dell Precision을 검색해서 어떤 노트북이 올라왔나 확인을
하고 합니다.(어제도 했습니다..심심하면 합니다..헤헤..)
예전 같으면 140~150만원 할것이 지금은 180~200만원정도에 올라옵니다.

데탑하고 비교를 하면 확실히 데탑이 빠릅니다.
저같은 경우는 노트북을 쓰는것이 주말에는 집에 가져와 써야 하기 때문에 사용합니다.(엄청 무겁습니다.)
이동을 할 필요가 없으시다면 데탑을 추천합니다만, 전 개인적으로 노트북을 선호합니다.
노트북이다 보니 로딩이나 반응부분이 좀 느린것 같기는 하지만, 전 사용하는데 큰 불만이 없습니다. ^^

이상 제 개인적인 글 이었습니만, 가장 좋은것은 한번 써보고 판단을 하시는 것이라 생각이 되어
오히려 판단하시는데 더 혼란만 드릴것 같아 죄송한 생각도 듭니다.

혹시, 가산 디지탈 단지역에 오실 일 있으시면, 빌려 드리지는 못하지만 제 노트북이라도 잠시
써 보실 수 있습니다. ^^
박동관 2009-03
저 추천으로는 맥북입니다.

당연히 동영상 편집쪽으로 워크스테이션이 아니라면 휴대용과 데탑용으로 동시 만족하는 수준은
맥북프로정도이긴합니다만, 맥북도 훌륭하게 맞은 소임을 해내고 있습니다.
추가로 Final Cut 까지 돌릴수 있는 기회까지 제공되지 않습니까?

iMac 도 최근 리프레쉬되면서 동영상편집은 가능할것으로 보이네요.
가격대는 비슷하니. 데탑이냐? 랩탑이냐? 의 선택만 하시면 되실듯...
김용수ak 2009-03
여러 의견 감사드립니다.

이종원님 답글대로 델코리아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보니까 Studio 제품군(혹은 Vostro 제품군)이 비교적 성능대비 가격대가 적당해보이네요.
별도의 모니터 구입을 염두에 두거나 혹은 타블렛 가격을 제외한다고치면, 대충 100~150 정도 선에서 구입가격을 정해야 할 듯 싶습니다.(Precision 시리즈는 가격대가 허걱...)
일단 이 놈을 기준으로 해야 겠습니다.
타사의 제품들과 비교해도 비슷하거나 약간 저렴한 정도군요.
물론 노트북의 경우는 말씀대로 하나의 완제품? 형식으로 취급되어 그런지 단순히 가격대비 성능 이외에도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좀 있네요. 특히 A/S 관련해서.

그런데 맥북(pro 말고)의 경우 가격대가 사정권 내에 있는 녀석들은 LCD가 좀 작은거 같습니다. 13.3인치.
물론 다른 업체 제품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만, 별도의 모니터 구입을 염두에 두더라도 15인치는 되야 할 듯 싶은데(위의 다른 제품들 검색에서도 일단 15인치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13인치는 좀 작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가급적이면 15인치 정도에 가로해상도 1600 이상 가는 녀석이 있었으면 하지만, 딱히 눈에 안띄는 것 같네요...

뭐 써본 적이 없으니 노트북 LCD 크기에 대한 감이 잘 안오네요. 게다가 지금 현재 제가 작업용으로 굴리는 녀석들도 다 crt고...

아직 학생이니까 뭐 전문가 수준의 작업은 안하겠지만, 뭣보다 노트북으로 살 경우 다른 pc가 없이 전부 이걸로 해야 한다는게 좀 걸리긴 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노트북보다는 데탑을 선호해서 괜히 그런 생각을 하는 건지 모르겠네요. 뭐 다른거 다 배제하고 단순히 성능만 따졌을 때 아직까지는 가격대비로 노트북보다 데탑이 좋은건 사실이니까요...

역시 직접 써보고 결정하는게 가장 좋을 것 같은데, 항상 그렇듯 여건이 안되니...(최승희님 말씀 감사드립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QnA
제목Page 4208/5730
2014-05   5267300   정은준1
2015-12   1792246   백메가
2017-07   4798   승후니도쿄
2017-07   3150   전설속의미…
2017-07   3959   노형석
2017-07   4438   전설속의미…
2005-10   5648   박재균
2009-01   5483   김영수
2006-04   6450   신천호
2004-03   9155   이정상
2017-06   6560   초보IT
2017-06   3913   전설속의미…
2008-12   5381   곽노성
2009-01   5954   정은준
2017-07   4953   한효석
2017-07   5458   나파이강승훈
2005-10   7344   정현구
2008-12   5182   정영철
2017-06   4509   ZEBE
2007-04   5511   방한성
2016-06   6230   가람이당1
2016-06   3932   크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