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서버를 구성하려고 하다보니 삽질을 무지하게 하게 되네요.
삽질을 하다가, 하다가, 하다가, 드뎌 지쳐서 질문 드립니다.
우선, 전체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OS 는 윈도우 2008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FTP 서버로 FileZilla server를 올려놓고 있습니다.
문제는 AllwaySync 라는 프로그램인데요...
이놈이 인터넷을 통해, FTP를 통해서 폴더를 싱크하는 기능이 있더군요.
이 기능이 너무 맘에 들어서 사용하려고 결심했습니다.
그래서 그 기능을 사용해보니, 이놈의 프로그램이 서버측에 한글 폴더명을 제대로 만들지 못하더군요.
로그들을 살펴보니 AllwaySync 는 FTP 전송에 UTF-8 을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즉, 현재는 FTP 클라이언트가(AllwaySync) UTF-8을 사용하고,
서버는 ECU-KR을 사용하는것 같고요(이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FileZilla server는 UTF-8 을 안쓰게 하는 패치 (한글 안깨지게 해준다는... PatchPV 인가 하는것) 로 덮어 쓴 상태입니다.
한글이 깨지는 경우에 대해서 이리저리 구글링을 해본 결과,
FTP 클라이언트에서 전송시, ECU-KR로 코드를 바꾸면 된다. 라는게 해결책 같은데요..
AllwaySync가 FTP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니 AllwaySync 에서 코드를 바꿔주어야 할 것 같은데,
AllwaySync에는 코드를 바꾸는 옵션이 없더군요.
AllwaySync 홈페이지에 질문을 올려놓긴 했습니다만...
그래서, AllwaySync에서 코드를 바꿔주는건 나중으로 미루고...
그렇다면 어차피 UTF-8이 국제 표준이라니, 아예 윈도우 서버의 전체 코드 페이지를 UTF-8로 바꾸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 서버를 이리저리 뒤져보았지만... 코드 페이지 관련 옵션이 어디에 있는지 못찾겠습니다.
저의 구글링 실력으로는 못찾겠더군요....
그래서 이제 질문입니다.
1. 제가 생각한게 제대로 생각한것이 맞는것인지요.?
2. 윈도우 서버 2008에서 기본 코드 페이지로 UTF-8을 설정하는것이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어떻게 하나요.?
3. 그렇게 설정해서 서버를 돌려도 아무런 지장이 없을까요.??
이 서버는 다른 윈도우들(컴퓨터 3-4대쯤 됩니다)에게 공유디렉토리나 기타등등 연계해서 돌아가야 되서요..
서버의 코드 페이지가 UTF-8 이더라도 다른 컴퓨터에서 이 서버의 공유디렉토리에 파일을 읽고쓰고해도 아무런 지장이 없을까요.?
4. 윈도우에서 코드페이지를 변경하는것이 불가능하다면, FTP 서버중에서, UTF-8로 전송되는 파일이름이나 디렉토리를 제대로 만들고,
읽고, 쓸 수 있는 FTP 서버는 어떠한것이 있나요.?
그것으로 FTP 서버를 변경하면 위의 문제가 해결될까요.?
전문가분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2. 저도 전에 한번 찾아봤는데 안되더군요
3. 로컬캐릭터셋이 utf-8 로 변경되면 공유디렉토리 접근시 파일명의 한글이 깨져보입니다.
리눅스에서 공유폴더 접근시 samba 를 사용하면 utf-8 설정은 가능합니다.
4. filezilla servcer 의 utf-8 을 설정을 켜거나, 리눅스쪽 ftp 데몬들을 사용해야겠네요
vs-ftpd , proftpd 등
참고로, 굳이 ftp 말고도 폴더 싱크하는 방법들은 무지 많습니다.
Allwaysync 를 포기하고 다른 방법을 찾는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서버는 집에 있고, 싱크하려는 폴더는 학교 연구실에 있습니다만, 학교라서인지 네트웍의 대부분의 포트를 막아놓고 안 풀어줍니다. 외부에서는 학교에 있는 컴에 접속조차 할 수 없고요.
제 집에 있는 서버와 연결 할 수 있는 방법이 FTP passive 연결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더군요.
그외 다른 방법이 있는지는 몰라서 시도도 못해봤습니다.
폴더를 싱크하는 다른 방법들에 대한 키워드만이라도 부탁드립니다.
개방되어 있는 포트가 21번 포트만 가능하다면
ftp 를 활용하는 쪽으로 생각해보시는게 좋겠네요
제가 아는 방법을 생각해보자면
1. 윈도우 서버에서 21번 윈도용 rsync 데몬을 띄워서 동기화.
2. windows 2003 resource toolkit 의 robocopy 도 있는데 WAN 상에 사용할려면 VPN접속이 필요.
3. 21번 포트로 ssh 데몬을 띄워서 sftp 로 동기화.
4. QnA 게시판에 검색어로 '동기화' '공유' 등으로 검색해보시면 폴더공유목적의 써드파티 유틸이 있을 것 같네요.
원격 제어의 파일 전송기능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기는 합니다.
syncback 이 한글이 안 깨지고 제대로 가더군요.
advanced 옵션이 한 300개는 되는것 같습니다. ^^;
syncback을 자세히 살펴보니 파일 이름을 영문으로 바꿔서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파일 이름을 바꾸는 형식으로 전송하는것 같네요.
여튼, syncback 으로 해결하였습니다.
답변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