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 살고 있는 송석근이라고 합니다.
우선 질문을 하기 전에 제가 구성하는 PC의 궁극의 목표는 제 놀이터 입니다
현재 제 시스템의 사양은
MB : P5K
Memory : 8GB (Samsung DDR2 2GB PC2-6400*4)
CPU : intel E6600
Disk : 640GB Caviar Blue WD6400AAKS (SATA2/7200/16M) & Segate 160GB SATA1
VGA : Shapphire HD3850 512MB
POWER : 시소닉 340W (?)
OS : Win XP 64bit & 32bit
Monitor : 22인치 LG LCD & 15인치 IBM LCD
Network : Wireless ZIO
제가 느끼는 이슈는 이렇습니다...
음..허..험....
아 이 온 때문입니당..
아이온을 돌리는데 DISK 억세스가 많이 되더군요. 아이온 실행시 메모리는 대략 2GB정도 사용하고 CPU는 약 70~80%정도 사용합니다. 솔플이나 인던의 경우에는 알리안티아싱 *2 상태에서 풀옵으로 (22인치 LCD기준 ㅡㅡ 역시 해상도가 기억이 나질 않는군요) 잘 돌아갑니다. 보통 LG 쪽에서 전체화면으로 플레이하고 IBM쪽에에 지도 켜놓고 플레이 합니다 문제는 레이드의 경우 수많은 레기온 인원가 상대 종족 플레이어가 뒤엉키니 컴이 빠닥빠닥 거립니다. 이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이 업글의 목표를 잡았습니다.
업글의 목표는
HardWare
1. 적절한 물품의 구매
2. 위의 취미생활을 즐기면서 멀티테스킹(영화 및 만화책)시 CPU 점유율 최대 40% 미만
A. 아이온 마을 진출시 수많은 유저들이 있어도 재깍재깍 로딩가능
B. 아이온 물품 제작시 혹은 솔플시 원활한 영화시청가능 (레이드의 경우는 볼 겨를도 없지요)
C. 모니터 3대 동작가능 고려 (개인적으로 모니터는 많으면 좋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D. 아이온 풀옵 도전 (안티알리아싱 포함)
SoftWare
1. OS 변경 고려 - WinXp 64Bit에서 Window7 변경 고려 (리얼메모리는 8GB인식하지만 역시 다 안쓰네요 ㅎㅎ)
그래서 위에따른 HardWare 구매고려 제품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우선 PC의 Performance를 증가시키기위해 DISK, Memory, CPU 순으로 고려했습니다만... Memory는 변경 계획이 없으므로 DISK와 CPU순으로 고려해보았습니다.
* 원추 HardWare 구매 예정 List
1. CPU : Intel Q9650 (중고로 구매 예정 올 가을쯤~)
2. DISK : SSD*1 or SSD*2
A. 메인보드(P5K)의 내장형 RAID카드로는 SATA RAID0의 속도가 제대로 나오지 않으므로 이럴경우는 1대 구매
B. P5K의 여분의 PCI Express *4에 적합한 SATA RAID CARD가 있다면 SSD 구매 (장터 매복)
3. SATA RAID Card : 위에서 언급한것과 같이 P5K에 적합한 제품이 있다면 구매 (장터 매복)
4. VGA :
A. SATA RAID Card를 구할 수 없다면 HD3870 or HD3850 or HD4850 구매 후 Cross Fire 구성 (다나와 매복)
- CrossFire 구성 후 모니터를 차후에 추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맞는거죠?
B. SATA RAID Card를 구할 경우는 PCI VGA Card 확보 후 차후 모니터 한대 더 추가. 이럴경우는 기존의 그래픽카드를 Geforece 계열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회사에서 슬쩍)
암튼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슈는 P5K의 pci express 4배속 slot에 꽃히는 괜찮은 SATA Raid card가 있느냐가 문제군요
바로 위 한줄만 여쭤보면 되었지만.. 웬지 너무 건방져 보여서 제 고민사항을 다 나열했습니다.
읽어보시고 이넘 머야 이러실지도 모르지만...(날흠 방년 33세에 쌍둥이 아들도 있습니다..ㅎㅎ)
집에서만은 Computer로 놀고 싶습니다. 집에서 만은 제가 주인이고 싶습니다..가지고 놀고 싶습니다
(참고로. 전 Unix 엔지니어 입니다. 바깥 세상에서는 Unix서버가 저보다 높은 위치에 있습지요)
혹시 ASUS P5K 계열이나 ASUS 보드에서 pci express 4배속 SATA raid card를 잘 사용하고 계시거나 사용하는걸 보신분들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별 내용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컨트롤러 웹 관리자 들어가보면 PCI-E 4X 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뜨네요..
참고로 M/B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고나서 POST가 아예 안되는 증상을 경험한적이 있습니다.
데스크탑 보드와 레이드 컨트롤러 호환성은 꼽고나서 삽질할때 까지 확신을 할수가 없습니다. 다른 하드웨어나 Cmos setup상의 설정의 차이로 누구는 된다고 해도 누구는 안될수도 있습니다.
SSD의 경우에는 Intel X25-E 64GB 를 추천합니다. 현존하는 SATA인터페이스의 SLC 방식중 가장 좋습니다. 두개로 Raid 할 필요도 없고, 하나만 그냥 보통 하드 처럼 쓰셔도 충분합니다.
그리고 PCI-E 2.0 기반의 CF/SLI + x4 Raid Ctrler는... 아마 최악의 호환성을 경험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메모리를 교체하실 생각은 없으시다지만, 오버용 메모리를 구입하여 클럭을 올리지 않고 타이밍을 조이는 형태로 쓰셔도 퍼포먼스 향상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리니지2 끊은지 오래됐지만 시스템 구성에서 석근님이 원하는 목표를 보고 구성해본 경험으로 댓글 달아봅니다.
일단 기본기 되는 그래픽카드라면 프레임처리는 해결이 됩니다.
3850 정도면 1280 기본옵은 소화하고도 남죠.
4850 정도면 풀옵 충분히 소화할겁니다.
크로스파이어 굳이 쓰지 않으셔도 된다는 얘기죠.
관점은 시스템 기반 성능을 끌어올리는것이 관건입니다.
전반적인 i/o 성능을 평준화 하시면 해결이되는데...
OS 부팅 및 스왑과 인터넷 tmp 처리용 하드 1개.
게임 데이타 처리를 위한 하드셋(RAID나 SSD), 데이타 저장용 하드 디스크셋.
이렇게 구성을 하시면 게임하는 도중에 자료를 받아도 프레임 드롭이 생기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게임용 시스템에 scsi나 sas가 상당히 잘 어울린다는 부분입니다.
전체 cpu 점유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i/o 처리가 해결되야 합니다.
이 부분에서 제차 i/o 프로세서를 가지는 scsi나 sas의 장점은 분명 강점입니다.
옵테론 246 + K8W + 4G + scsi hdd 5개 + 9800XT(bios mod) 시스템으로
리니지2 1280 기본옵 하나, 1024 최소 프레임 두개 돌려도 1280 게임창에서 20~40프레임 유지했었습니다.
그럼.
전 E8400,4G,9600GT,30인치모니터입니다.
풀옵(안티2)에서 사용중인데 아직은 별로 벅벅대는 것을 못 느끼고있읍니다.
아직 저랩이라서 레이드나 패싸움같은 것은 구경도 못해봤서 그럴꺼라고 생각합니다.
일부러 게임용으로 몇개월전에 세팅한 컴인데...왠지 이것도 구성이 딸릴것같은 생각이 드네요.
최근에 나온 SAS의 성능은 정말 강력하더군요
실예로 tar를 이용하여 서버간의 copy나 서버내의 copy시 IBM P6 570혹은 P5 595 서버에서 체감한 성능은 놀라웠습니다.
하지만 제가 사용하기엔 아무래도 가격 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더군요.
scsi도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64bit slot이 필요한데 하위 대역폭으로 가면 억세스 시간이 단축되는거 외에는 SATA보다 크게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생각되어서요.
그래서 SSD를 생각하게 되였구요.
최소한의 파트 교체로 performance를 생각한다면 단일 SSD 구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봐야 할듯하네요. 내장 레이드 성능이 썩 좋지 않다는 다른 분들 사용기를 참조하면 그게 답일 듯 합니다.
아이온 돌릴시 옵션은 1680*1050 입니다.
평소에는 괜찮은데 마을이나 플레이어가 많을경우 DISK에서 읽어오는게 좀 힘에 겨운듯 하더군요.
차후 SSD와 다른 파트를 교체하게 되면 사용기 올리겠습니다.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