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광출력에 관해서

   조회 18940   추천 0    

제가 A8N-E와 D845PEBT2를 사용중인대요
이녀석들이 내장사운드에 "광출력"이 있더라구요?
엠프와 우퍼 처럼 꽤 광출력 장비 자체가 비싼건가요?
일반적으로 좀 저렴하게 광출력 사운드를 느껴볼 수 있는지
혹은 그만한 강점이 있는개 광출력인지.
그러니까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내가 있는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내가 하는일이 내가 해야할 일입니다." 탐그루 "수르카 모스브루거에게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문병채 2009-04
광출력을 이용하는 방법

1. 광입력을 지원하는 앰프를 구입한다.

일반적으로 하이파이 앰프는 광입력단자가 없습니다. 물론 있는 제품도 있긴 합니다만...
AV앰프의 경우 어지간하면 광입력단자가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DAC역활을 할 수 있죠. 상대적으로 AV앰프가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아주 싸구려만 아니라면 광입력단자가 있습니다.

2. DAC을 구입한다

광입력을 받아서 그것을 아날로그로 변환해주는 장치입니다. 보통 PC같은 경우 내부에 노이즈가 충만하고 사운드카드나 메인보드에 있는 아날로그 출력부가 아무래도 비싼 애들은 아니죠. DAC의 경우 아무래도 PC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노이즈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고 부품 자체가 광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춰져있기 때문에 PC에서 아날로그신호를 직접 뽑아내는 음질보다는 좋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가격이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요새 중국산 DAC도 많던데 가격대 성능이 꽤 괜찮다고 합니다.
배주규 2009-04
디지털리시버 말씀하시는건가요? 어떤사람은 디지털앰프라고도 하고...

컴퓨터에서 직접 스피커를 꼽아서 음성을 재생할때는, 사운드카드가 아날로그 음성을 직접 만들어서 출력하게 되는데요.
디지털리시버에 옵티컬단자를 연결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사운드카드는 그냥 음성 디지털신호를 디지털리시버로 전송하는 역할만 합니다.
DTS나 AC3와 같은 신호해석은 물론이고, 음장효과, 증폭 등의 기능도 모두 디지털리시버가 담당합니다.

고급형 사운드카드도 꽤 쓸만하다고는 하지만, 전문적인 오디오장비가 만들어내는 음질하고는 다를수밖에 없겠지요.
요즘은 보급형 리시버도 많이 나와서 홈씨어터 함 꾸며볼만 할겁니다.
투시피유 2009-04
아날로그 일반소리 출력 - 모든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등 연결가능
디지털 출력 - 디코더내장된 엠프(우퍼스피커)나 AV리시버엠프에 연결해야합니다
              압축된 음원 신호를 사운드카드가 보내서 그 음원을 엠프가 분해하여
              소리를 내는것입니다.

다만 아날로그는 연결케이블에 따라 음질이 달라질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아날로그와 디지털 모두 실제 음질차이는
아주 고수분이 아니시라면 그리 같은 엠프 스피커하에서는 거의
느끼기 힘듭니다

A8N-E와 D845PEBT2
일단 A8N-E - 이제품음 리얼텍사의 ac97 사운드군요
D845PEBT2 - 이제품은 사운드멕스의 ad1888 사운드구요
이 두가지 제품으로 님의 말씀데로 저렴하게 디지털사운드를 느낀다고 하셨는데요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차이가 없구요
대부분의 사운드 내장보드가 그렇듯이 그리 음질이 좋지 못합니다.
특히 저음부분에서 엉망이지요

드물게 최신보드에서 상당히 좋은 음질을 내는 내장사운드가 잇습니다.

프로디지 계열과 6불, 온쿄계열을 음악과 영화에 좋구요
사블 오디지나 그 이상은 게임에 일반적으로 더 좋습니다.

만약 님의 질문의 요지는 디지털출력으로 좋은 음질을 느끼고 싶으신것인데요
실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차이가 거의 없으니 ..
지금 현 상태로그 적당한 스피커를 쓰시구요

조금 나은 사운드 카드를 달아서 쓰실거라면
AV리시버를 구입하시면 좋겠습니다
물론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참고.. 보드에 보시면요 사운드 칩셋 하나만 달랑 있지요
사운드 카드에 보면요 칩셋과 그 주위에 수많은 콘덴서
그리고 보조 엠프역할을 하는 작은 칩도 있답니다.
출력이 같을수가 없지요 역시 소리가 다르겠지요
S/PDIF 출력중 특히 Optical의 경우에는 Source를 그대로 Throughpass 하는 경우에는 내장이라도 전혀 음질을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내장 사운드의 음질이라는 것은 어디까지나 내장 DAC를 거쳐서 아날로그 신호의 퀄리티가 떨어졌거나, 아니면 주파수 처리에 문제가 있거나, 회로패턴과 커넥터 케이블이 주는 문제인데, 소스가 그대로 광으로 나오면 그런 걱정을 할 이유가 없죠.

그런 모든 걱정은 실제로 신호가 아날로그로 바뀌는 리시버 단에서 고려하면 되는 것입니다. ^^
투시피유 2009-04
김태형님 광출력의 경우 내장사운드와 외장사운드가 그러면 음질의 차이가 없다는 말씀인가요?
리시버만 좋은것을 쓰면 된다는 말씀인가요?
칩셋의 차이도 없나요?
거참 이상하네요 ..  만약 그렇다면 내장사운드에 광출력이 잇다면 외장사운드카드는
달 필요가 없는 것인가요.. 
그러나.. 제가 써본봐로는 분명히 소리가 차이가 있었는데요 .. 이상하네요
수십만원짜리 사운드 카드를 쓸필요가 없나요.
     
예 Throughpass 하는 경우에는 cpu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사운드 코덱이 전혀 손대지 않고 그냥 내보냅니다. 고급형 카드의 경우에는 이 옵션이 별도로 있는데, 내장코덱의 경우에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어떠한 옵션도 활성화 하지 않는 경우 구형 칩셋 중에는 비트레이트를 떨구거나 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요즘 제품은 대부분 소스를 그대로 내보내줍니다.

만약 소리의 차이를 느끼셨다면, 그것은 어쩌면 원본 소스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것을 고급 사운드카드에서 별도의 프로세싱 과정을 통해 달라진 소리를 느끼셨을 가능성이 큽니다. 좋게 말하면 사운드 칩셋 제조사의 노하우로 사람들이 원하는 소리가 된 것이고, 나쁘게 말하면 원래 소스가 변질된 것이구요.
배주규 2009-04
으흐흐... 저도 광출력을 사용할 경우는 저가형과 고급형의 차이는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디지털신호를 읽어들여서 내보내는 역할만 하니까요...
김석중 2009-04
하지만 광출력만으로는 게임이나 음악을 5.1 채널을 즐기기엔 무리가 많죠.

왜냐면 광출력으로 5.1을 들으려면...

영화같은 경우 자체적으로 코덱이 5.1로 맞춰져 있어야 합니다.


영화 다운 받을때

반지하 제왕_5.1_고화질_HD.avi


이라고 써져 있죠? 여기서 5.1이 광출력 5.1을 해줄수 있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김석중 2009-04
그럼 광출력으로 일반적인 게임이나 음악 들을때 5.1을 쓸수는 없느냐?


디코더의 돌비 프로로직2 기능이 그런 기능을 해준다고는 하지만...

돌비 프로로직2는 플스 게임 돌릴때나 써먹겠더라구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잡음만 증대 시킬 뿐이더라구요.



그래서 사운드 카드 중에 아날로그 출력을 5.1 해주는 것처럼 광출력 자체를 5.1로 분리해 리시버로 전달해주는 카드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QnA
제목Page 4185/5730
2014-05   5266672   정은준1
2015-12   1791571   백메가
2009-05   11405   떠돌이늑대
2009-05   6183   손석우
2009-05   10412   이승민
2009-05   8349   김효수
2009-05   10271   새칩은강새이
2009-05   5741   벤쿠버한량
2009-05   8754   오상훈
2009-05   5496   Ggrpia
2009-05   11868   김선규
2009-05   6305   심바트
2009-05   9174   정은준1
2009-05   7355   미수맨
2009-05   8570   김건우
2009-05   6844   정은준1
2009-05   6588   크론도의배…
2009-05   5513   권오준
2009-05   9942   근성가이
2009-05   6119   차평석
2009-05   5629   블루모션
2009-05   22639   수퍼맨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