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xp에서 계정은 어떤걸 사용하시나요?

박동섭   
   조회 7996   추천 0    

지금까지 별다른 생각없이 항상 administrator 계정을 사용했거든요.

윈도우 설치하고 바로 administrator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드라이버 설치하고 유틸설치하고 세팅해서 사용하는데요.


요즘 작은 서버 하나 관리하면서 생각난건데....

유닉스는 어지간한 문제가 아니면..

root 권한으로 작업을 안하는데...

윈도우는 문제가 없을까? 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그런지몰라도, 6개월 정도만 사용하면 알수 없는 오류가 생기기 시작하네요.


회원님들은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윤술 2009-05
윈도우도 유닉스 처럼 사용해야 됩니다. MOC를 보면 항상 유저로 사용하다가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게 교본입니다.
대부분의 유저는 이렇게 사용하라면 컴퓨터 부셔버리겠죠?

그래서 administrator 는 암호 복잡성을 적용해서 길게넣고 새로운 관리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이왕이면 한글로 된 아이디가 좋겠죠? 그리고 그 계정에도 암호를 넣어줘야 합니다. 시작할때 자동으로 로그인이라도 하게 하면 불편한건 없을듯 합니다.

대부분의 일반 사용자들이 administrator를 사용해서 자신의 컴퓨터가 취약한지도 모른채 악성코드 서버가 되어있을거라는 저의 판단입니다.
administrator로 사용하는 습관은 상당히 안좋습니다.
박동섭 2009-05
그동안 설마하며 아무 생각없이 사용했는데.....
역시 무식이 죄네요...
윈도우 설치할때 의무적으로 계정하나 만드는게 관리자 계정인듯하던데...
그 계정을 사용해야겠네요.....

그렇다면 드라이버 같은것도 administrator에서 하지 말고 관리자 계정에서 해야 하는걸까요?
김승훈1 2009-05
보통은 어드민 사용하고요, 테스트할땐 유저 만들어서 사용하고요.

회사선, 어드민 계정을 가진 유저로, 다만 로컬 어드민은 아니고요. 엔터프라이즈 어드민 계정으로, 돌아다닙니다.

아무래도, 어드민계정은 조금 살떨립니다.
조우연 2009-05
윈도우, 리눅스, 유닉스 모두 같습니다. root 와 administrator 계정은 평소 잠금상태(비활성화)로 두셔야 하며, 필요할때만 활성화 시켜서 작업하고 평소에는 별도의 administrator "권한"을 가진 ID 를 생성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특별한 해킹기술이 없이, 노가다 공격인 사전공격(Dictionary attack)에 조차 취약한게 administrator 계정이며, 로컬이 아닌 원격지에서 administrator로 접속하는 자체가 위험합니다. 윈도우 패스워드는 기본적으로 암호화 되지 않고 평문으로 네트워크상에 전달되기 때문에 스니핑이나 스푸핑에 취약합니다. 접속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반드시 SSL 이나 SSH 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실수하는 대표적인 것들 중 하나가 윈도우 설치과정에서 별도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그 새로 만든 계정에는 암호를 걸지만 administrator계정의 password 설정하는 부분은 그냥 넘기고, 활성화된 상태로 두는 경우입니다. 본인들은 계정에 암호 걸어두었으니 안전하다고 생각하지만. 안전모드로 들어가서 administrator 입력하고 패스워드 부분 공란으로 엔터치면 로그인 되는 컴퓨터들 정말 많습니다.


QnA
제목Page 3225/5727
2015-12   1776405   백메가
2014-05   5251368   정은준1
2021-04   7631   송진홍
2016-08   9320   딸기대장
2020-01   2713   green1052
2024-08   1729   하키02
2020-01   4460   정영철
2012-03   6734   민사장
2014-03   6834   카프카
2021-05   8393   행복하세
2014-04   3815   김필봉
2024-09   1518   미친감자
2015-08   4287   etgedr
2023-01   4757   shaner
2015-08   4246   이희주
2012-04   5666   ZSNET5
2012-04   5725   예관신규식
2015-08   4446   Won낙연
2024-09   1253   안토니오반만
2017-09   6562   빠나나우유
2023-01   1518   미뇽
2015-08   8287   gflo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