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시 10000rpm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조회 6209   추천 0    

최근에 PC업글을하였습니다.
아는분께  아답텍 29160과 히타지 10000rpm 73g, 36g 가 얻어서
73g엔 비스타를 36g엔 xp를 설치하였습니다.
근데 이상하게도 xp 사용시 기존 sata2에비해 체감속도가 현저하게 느립니다.
단순하게 동영상 재생만해도 화면이 버벅거립니다.;;;;
제 사양이 나뿐편이 아닌데
스카시 하드를 처음써보는데 셋팅법이나 먼가를 건드려야하는 부분이 있나요??


사양은
i7 920
아수스 p6td 디럭스
ram 커세어xmp3 12g
vga gtx295
등등 입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김선규 2009-08
SATA2가 더 빠릅니다.
김한구 2009-08
SCSI 하드의 제대로 된 성능을 맛보시려면...적어도 U320 컨트롤러에 15krpm 하드를 다셔야 하고..

무엇보다....64비트 PCI 슬롯에 컨트롤러를 장착하셔야 합니다....

29160에 하드 하나 정도면 32비트 슬롯에 달아도 큰 차이가 없다고들 하시는데...

이렇게 달아놓고 사용하시면....SATA2와는 체감 속도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습니다..

스카시로 가실거면.......U320에 15krpm 그리고 64비트 PCI 슬롯은 필수입니다...

돈이 넘치시면 SAS로 넘어가셔도 되구요.....

언급하신 보드엔 32비트 PCI 슬롯 뿐이니...SATA2 하드가 정답입니다...
SCSI HDD라도 세대에 따라 다릅니다.
36GB 제품이면 좀 오래된 모델이 아닌가 합니다.
따로 설정할 건 없고 케이블이 안좋거나 커넥션 불량, 터미네이션 불량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이건 Diagnosis S/W등으로 확인할 수 있고 부팅시 어댑터/Device list를 잘 보면 현재 연결상태가 표시됩니다.
또한 어댑터의 바이오스에 들어가서도 볼 수 있는 경우도 있고요.


최신 제품은 상당히 빠르고 정숙하기까지 합니다.
또한 10k 1~2개쯤은 32bit PCI 슬롯에서 사용해도 성능엔 지장 없습니다.
또한 10k는 7200rpm이 절대로 따라올 수 없는 장점이 1개 있고 그게 바로 OS용 HDD로 선택받는 이유지요.
15k도 마찬가지고요.
참. 모델명을 알려주시면 정확한 성능을 알려주실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하~
권기준 2009-08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SATA HDD 가 단순 전송속도면에서는 더 빠릅니다. 하지만, 창을 여러개 띄우는 등의 다중작업을 할때는 SCSI 10k 라도 훨씬 반응속도가 더 낫습니다. 아무래도 Access Time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SATA 도 모델에 따라 성능이 다르고 SCSI 10k 도 모델에 따라 성능이 다른 것은 마찬가지입니다만...
송재훈 2009-08
Fujitsu 의 경우에도 MAT, MAS, MAU, MAX 등 (성능순) 많이 있죠.
저는 MAU 시리즈 사용자입니다.
배주규 2009-08
SCSI드라이브는 세대별로 꽤 성능차가 나더군요.

저도 몇년전에 10k 32Gb와 16Gb SCSI하드가 320Gb SATA2하드와 별 차이가 없어서 실망한 적이 있습니다.
근데 72Gb제품으로 갈아끼니 성능차가 확 나더군요.

될수있으면 72Gb이상의 15k 하드를 사용하시길 권하는 바입니다.
송재훈 2009-08
SCSI 가 과거에 각광을 받았던 이유는 독립적인 프로세서에 의한 DMA 전송에 기인합니다.
과거에는 IDE 의 경우에는 PIO (Programmed I/O) 라고 메인프로세서가 데이터 전송에 관여를 해서
메인프로세서의 오버헤드를 주는 방식이였지만 Ultra DMA 방식으로 바뀌면서부터는 SCSI 나 크게 봤을 때는
크게 차이가 없어진 셈이죠. 따라서 SCSI 없이도 U-DMA 방식 하드와 CD-R 로 마음대로 시디굽고...하하..

최신의 SATA 7200rpm 하드와 구형 SCSI 10000rpm 하드를 사용해보면 "왜이래?" 하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그 이유는 SATA 하드는 전송률이 100MB/s 대에 근접하고 있지만 구형 SCSI 하드는 턱없이 낮은 전송률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SCSI 의 경우 오래된 알고리즘, 낮은 플래터 밀도 등이 영향을 주고 있죠.
물론 10000rpm 이라서 seek time 에서 잇점을 찾는다고 하지만 결국은 큰 차이로 벌어지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15000rpm 도 아니고 10000rpm 대의 구형이라 아무래도 seek time 이 SATA 하드에 비해서도 두드러지게
높지도 않기 때문입니다.

10000rpm 과거 랩터 시리즈의 경우 당시 SATA 하드가 50~60MB/s 정도의 성능을 보일때 100MB/s 에 근접하는
성능에 좋은 seek time 으로 명성을 얻기는 했지만, 요즘 일반 SATA 하드가 대략 100MB/s 대의 성능을
보인다는 것을 생각하면 seek time 정도만 잇점이 있는 편입니다. 그래서 기존 랩터로는 시장성이 없다고
판단되니까 벨로시랩터가 나왔겠죠.
(참고로 어지간한 구형 SCSI 10000rpm 하드보다 랩터 시리즈가 성능이 더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형 SCSI 15000rpm 하드보다 성능이 좋기도 합니다. - 전송률이 좋기 때문입니다.)

각설하고, 다른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SCSI 구형이든 신형이든) 15000rpm 정도나 되어야지
seek time 에 있어서 큰 향상을 얻을 수 있고, SCSI 하드도 더욱 최신에 가까운 제품일 수록
플래터의 밀도가 높아지고 전송률도 높아져서 뛰어난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것입니다.
최신 제품일 수록 용량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배주규님께서 높은 용량 제품이 성능이
좋다고 말씀하신 것과도 일맥 상통합니다.

하지만 Fujitsu 제품군의 경우를 예를 들면, MAS 제품의 경우 73GB,36GB,18GB 용량의 하드가 있고
MAU 제품의 경우 147GB, 73GB, 36GB 용량이 있습니다. MAU 가 나중에 나온 제품이라 성능이 더 좋은데
73, 36GB 제품이 걸리기 때문에 단순히 용량만으로 따지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델별로 어떤 세대의 하드인지 알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말이 많았지만.. SCSI 하드의 경우에도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많은 벤치마크 자료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내가 쓰고 있는 하드가 SATA 와 비교해서 어느정도의 성능인지 알고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김한구 2009-09
좀 극단적으로 말해서.....15k rpm 짜리 최신형 SCSI 하드나 아니면 아예 SAS 하드로 넘어갈 것이 아니라면...

그냥 SATA2 쓰시는 것이 여러 모로 나을수 있습니다.

집에 7200rpm이나 10000rpm SCSI 하드들이 좀 굴러 다니는데요...레이드로 묶어서 쓰면...그나마 체감 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QnA
제목Page 4141/5728
2015-12   1781745   백메가
2014-05   5256802   정은준1
2014-08   5528   빠시온
2016-04   4488   김익태
2016-05   4510   세에라
2016-06   4434   김건우
2017-05   4283   별뮈여어엉
2017-05   4048   김민철GC
2017-06   3816   마넌이
2017-06   3097   김제연
2017-06   3648   깜박깜박가
2015-06   5270   바보차주
2017-07   9050   초보IT
2017-07   3952   나너우리
2009-02   5923   서욱
2016-09   4939   슬러그
2017-10   3533   두cpu
2016-12   13513   편한세상
2017-04   4564   김병철
2017-04   4353   공돌이에요
2017-07   4146   SKIM
2017-07   4441   Luc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