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사용해서 웹서버구축시.

이진수   
   조회 8668   추천 0    

DDNS 구성은 다 해놨습니다 (IP time회사에서 자기공유기 사용자에대해서 서비스를 해주더군요).
OS는 윈도우 2003서버이고요.
서버의 IP는 공유기에서 고정으로 잡아 준 상태이고요.
그 다음에 뭘해야 하죠? Virtural Server를 설정해야 하나요?
공유기 내의 서버 ip가 192.168.0.60 인데 이걸 어떻게 연결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횽님들 좀 알려주시와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양종철 2009-09
가정용 회선 많이 사용해봤는대

100메가 광랜류 KT FTTH 등은 80번 포트가 열리고

케이블 인터넷 ADSL  그리고 STBB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유사광랜 등의 경우 80번 포트가 닫혀있더라구요
심형섭 2009-09
저도 가정용 전용선을 이용하여 Web, FTP서비스를 하고 있습니다.
개발용 테스트 서버로 세팅해서 운용중인데 대부분의 광랜 회선의 경우 80, 21포트등 대부분의 포트가
차단 없이 개방되어 별어려움이 없습니다. 다만 공유기를 사용해야 하기에 각 해당 포트의 접속을
서버역활을 할 컴퓨터의 아이피 어드레스로 맞춰주는 포트포워딩 작업을 하면 됩니다. ^^


QnA
제목Page 4134/5723
2014-05   5234350   정은준1
2015-12   1760697   백메가
2009-09   6136   2CPU최주희
2009-09   5928   2CPU최주희
2009-09   5801   김남성
2009-09   14079   이동재
2009-09   7827   쥬라직
2009-09   10245   심바트
2009-09   9161   어훕
2009-09   8239   GoodWolf
2009-09   6847   이치로운
2009-09   7552   Sico
2009-09   9948   머리감자
2009-09   8563   이치로운
2009-09   5938   FreeBSD
2009-09   6708   굴다리교
2009-09   6677   오성기
2009-09   7859   푸릉이
2009-09   8669   이진수
2009-09   14427   psj1050
2009-09   9405   2CPU최주희
2009-09   6722   2C오길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