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자동차 대쉬 보드는 뽈록 튀어나와 있나요?

   조회 9346   추천 0    

음... 제차를 사면 마구 마구 자작해서 변경해 줄려고합니다. 근데 궁금한게

대쉬 보드 속은 비었잖아요 근데 "ㄱ"자로 왜 튀어 나와 있나요? "ㄴ" 자로 되있으면 유리창도 덜가리고 좋을텐데요?

L자로 한다음에. 속도 게이지나 RPM게이지 같은거 조그맣게 한쪽에 몰아놓고. 차창이나.LED로 반사되는 형태로 바꿀려고합니다. 그럼 운전에 위험한건가요?

http://www.youtube.com/watch?v=bPXjh5wF6nM&feature=related
이렇게 빈공간 많이 남길필요없이.

빈공간에 노트북 거치대나 카피시 만들어 넣으면 좋을꺼 같은데요..^^

넘 천진 난만 한가요?^^

아 LED 뒷면 벗긴다음에 차창앞에 새워놓고 싶어요..


아 그리고 이거할만한 작업장 빌릴수가 없을까요?^^ 물론 돈내구요..빌릴만한 곳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드릴께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선철 2009-12
차량 충돌시 머리가 부딪히는 부분이 평가가 되기 때문일 겁니다.

실제 80년도에 설계된 차량들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원하시는 L 자 형태로 되어있는 차들이 좀 있습니다만, 자동차 충돌시험이 중요해지고 부터는 이마에 부딪히는 부분이 최대한 곡면을 이루도록 설계되는 것 같더군요.
ging 2009-12
대쉬보드 안에 생각보다 빈공간은 많지 않아요.
대쉬보드를 잡아주는 뼈대, 유리창에 습기 제거장치, 핸들, 조수석 에어백,
에어컨바람 나오는 덕트, 히터유닛, 조수석 에어백, 오디오, 계기판, 퓨즈박스 등등등.
동영상에 나오는 차량은 좀 특수한 경우 같네요 ^^
대쉬보드는 안전상 있는 그대로 사용하시는게 젤 좋은겉 같습니다
이준호1 2009-12
안전성 측면에서 선철님 의견처럼 충돌시 신체가 부딛히는 부분도 고려된 측면도 있고,
역시 'L'자 형태의 선반형의 대쉬보드를 이용할 경우 충돌시 수납한 물건들이 승객에게 돌진(?)하는 문제도
무시할 수 없는 위험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요즘 차들은 대쉬보드 상단에 수납함을 마련하더라도 대부분 덮개가 달려서 나오고 있지요.

궁극적으로는 핸들 및 페달 등의 조작계통을 모두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Drive by Wire 시스템이
도입되게 되면 아마도 진국님 상상처럼 돌출된 형상의 대쉬보드는 사라지고 차량정보 대부분을 앞 유리창에
HUD로 표시하는 방식으로 바뀌게 될듯 합니다만, 시간이 좀 필요하겠지요...
KangHyuk 2009-12
대쉬보드위에 물건놔두면 매우 위험합니다.
사고날때 휴..
푸릉이 2009-12
앗 답변들 감사드립니다. 다들 좋은 답변이셔서 감사드리네요..

음.. 차사면 이점을 유의해서 만들어 봐야겠네요..답변들 감사드려요
투시피유 2009-12
하하 이번에는 자동차 개조인가요?
     
푸릉이 2009-12
그쵸 그쵸 하다가 망한 케이스 자유게시판에 있죠...아하하핳.
안형곤 2009-12
차창이나.LED로 반사되는 형태로 바꿀려고합니다. 그럼 운전에 위험한건가요? --->이거 불법입니다.(현재 도로교통법 상에서는요)
하이퍼웍스 2009-12
승객의 안전문제가 제일이 될듯하고 그외 디자인적인 측면과 효율적인 수납, 그리고 진동과 소음의 문제도 있겠네요.
결국 차는 사람의 안전을 제일 우선 고려하여 제작이 된답니다.
고윤철 2009-12
70KM로 달리다가 정면 충돌하면 앞유리에 달아놓은 네비게이션이 뒷유리를 뚫고 날아가 버리지요.
저는 그걸 영상으로 보고 난 후론 대쉬보드에는 절대로 아무것도 놓지 않습니다.


QnA
제목Page 4094/5725
2014-05   5243726   정은준1
2015-12   1769080   백메가
2009-12   8623   푸릉이
2009-12   17815   카라한
2009-12   7991   푸릉이
2009-12   8888   박종용
2009-12   6502   나너우리
2009-12   7327   나너우리
2009-12   9924   여주이상돈
2009-12   13536   수퍼맨1
2009-12   11381   김건우
2009-12   11148   박우열
2009-12   9659   KangHyuk
2009-12   11665   psj1050
2009-12   6277   overtrue
2009-12   9193   문병채
2009-12   11113   이진수
2009-12   11626   Sico
2009-12   8285   이이정훈
2009-12   7974   문양호
2009-12   9621   일반유저
2009-12   9109   최원시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