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트 스테빌라이져가...
그냥 콘덴서라고 해서요..사실 콘덴서가 아니라면 아무것도 아닐듯 싶구요..
내부는 이렇게 생긴거 같은데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097670966&listqs=keyword%3d%bf%ac%ba%f1%26nickname%3d%26frm%3dhometab%26dom%3dauction%26isSuggestion%3dNo%26retry%3d%26class%3dSearch.Search%26listorder%3d7&listtitle=%bf%ac%ba%f1&frm2=through&wfrm=srp_dAjaxArea&wkw=%bf%ac%ba%f1
http://www.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77008000&query=view&no=22686
이런놈 20개쯤 달아주면 더좋은게 아닌지 모르겠네요..20개에 6천원^^
콘덴서 말고 다른부속이 들어갈까요?
근데.. 충방전을 거듭하기 때문에 전압이 감소하는걸 막아주기는 할꺼 같은데 전압이 높아지는걸 막아주기는 힘들꺼 같은데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아 그리고..사진상의 제품처럼 그냥 적당한 용량 콘덴서 용량 같은걸로 쫙 쓰면 될꺼 같은데요.. 작은 콘덴서 써야할 이유가 있나요? 이해가 잘...콘덴서라는게 지금 상황에서는 개당용량이 크면 클수록 좋은거 아닌가요? 작은 용량을 더써야하는 이유가 있나요?
용량이 큰게 좋으면
http://www.devicemart.co.kr/mart7/mall.php?cat=077021000&query=view&no=20363
이거 3-4 개직렬연결해서. 4열정도 써주면 엄청 좋을꺼 같은데요... 대신 배터리가 다달려나...
으흐흐..
아 그리고 접지도 하려는데 접지 포인트 어디가 좋을까요? 무슨 금도금이런건 다필요없고 사포로 박박 갈아낸다음에.. 납땜해주려고 합니다. 금도금 니가 납땜을 이겨?어? 크크크..
저는 인두기 만지는것도 귀찮던데요
역시나 도전정신은 필요한 것이겠지요..
http://www.nesscap.com/products_lineup.htm
참고하셔서 적절히 선정하시고...참고로 ESR(또는 InternalResistance)이 낮은 모델이 충방전 속도가
빠릅니다.네스캡꺼 취급하는 쇼핑몰 검색하셔서 찾으시면 되고...
http://siegen.kr/front/php/category.php?cate_no=39
(그냥 참고하시라고 링크걸어둡니다.저 사이트와 아무관계가 없습니다...)
사용온도 높을수록 수명이 짧아지고요...과도하게 넘으면 굉음과 함께
장열하게 터지는게 아니라 폭파 수준입니다.고로 사용온도와 자동차 부착시
온도 및 쇼트 대책도 강구해 주셔야 합니다.(가급적 차량 하단쪽에 오래주행한후
열 많이 안받는곳이 좋겠죠...)배터리까지는 가급적 손실이 적은 굵은선 강력추천 드립니다.
***보조 전원(백업용) 캐패시터 5V 1.0F 요런거는 충방전속도가 느립니다.
네비 재부팅 방지용,간이보조 정도는 하지만 볼트스테빌라이져에 어울리는 모델이 아닙니다.
(원하시면 이런건 집에 쌓아둔지라 20개정도는 걍 드릴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작은용량의 커패시터와 쇼트키다이오드를 더 첨부해 주시면
아주 고급모델이 됩니다.
(엔진이 따뜻하기에 피복전선으로 하시면 탑니다.그리고 엔진이 진동이
있어서 여장안주시면 금방 끊어집니다)
배터리에서 동단자 하셔서 접지단자 만들어 주시고
디스트리뷰터=비후다=배전기...요거 접지 포인트에 접지 보강
제너레이터=발전기...요기 브라켓에 보강
ECU요게 엔진룸에 있다면 여기도...
이정도만 해줘도 많이 개선됩니다.
참고로 제너레이터에서 나오는 굵은선(배터리+로 가는선입니다.)을 좀더
굵은걸로 바꿔주시는것도 좋습니다.
직렬연결후 저항을 통해 밸런스 유지를 합니다.자동차는 15볼트로 보시고 설계하시면
됩니다.(제너레이터 출력이 14.4볼트 정도 됩니다.)
그리고 직렬로 하게 되면 충방전 용량은 직렬한 수만큼 나누기가 되어
500F를 5개 직렬연결하여 정격전압을 올리면 100F 정도가 됩니다.
용량 큰거로 작업해두면 차 시동걸때 시동모터가 장난아니게 돕니다...
문병채님...개발단가와...적용기술이 틀려 비싼편입니다...만 일반커패시터로 저정도 만들려면
부피와 가격이 장난이 아닙니다.대량구매하면 많이 싸지는데...
저런부품사용할거같은 관련업이라면 본사에서 샘플을 받는것도 좋은방법이지요...
이거 만드신 하승윤 회원님에게 문의해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큰용량의 커패시터로 울렁거리는전압을 1차로 잡아도 잘게 울렁거림이 남는데
그걸 다단계로 용량을 줄여가며 보완하는 방법입니다.좀더 직류답게...
4.7uF(또는3.3uF)2개, 0.47uF(또는 0.33uF)2개에 퓨즈를 달은 회로로 보입니다.
일반적인 볼트 스테빌라이져의 대표적인 구성이며 저기에 슈퍼캐패시터를 추가하면
시동걸떄나 순간적으로 전기가 많이 들어갈때 더 좋아지지요...
저정도 회로라면 만능기판이 아니라 제가 만들어논 PCB도 있고요...
"그리고 부수적으로 작은용량의 커패시터와 쇼트키다이오드를 더 첨부해 주시면
아주 고급모델이 됩니다. " 라고 말했던부분중 작은용량의 커패시터란게 이걸 말씀드린겁니다.
전해캐패시터엔 극성이 있는데 회로랄것도 없이 +는 모두 배터리+로...
-는 모두 배터리-로 연결하면 되는 간단한 구조입니다.시판제품엔 LED가 달려있는것도
있는데 구지 필요없는 부분입니다.
하나 만들어서 나눠드릴까요? 도형님 차있으신가요?
저는 개인적으로 만들만한 부속이 이미 다 갖춰두고 사는지라...말씀만
고맙게 받겠습니다. PCB필요하심 설계만 해서 넘겨주시면 PCB제작은 해드릴 수
있습니다.집에 노광기,현상기,에칭기까지 있어서...(뭐 다 간이 시스템이지만...)
아.. 근데 도래미처럼 작은 캐패시티를 저렇게하는이유는뭔가요? 그냥 귀찮아서(사실 돈들어서) 3300 uf 짜리로 10개 달고 슈퍼콘덴서 한두개 달아줄까하는데.. 어떨까요? 려구요^^..
그리고 쇼트키 다이오드는 어따가 달아주면 되나요? 양극에 모두 달아주면 될까요? 암페어 지대 높은놈으로 달아줘야겠다..하하.
퓨즈는 옵션인데...암페어가 올라가고 고효율을 원하시면 생략하시는게
원칙입니다만...안전을 위해 다신다면...상당히 고암페어용을 달아주셔야
합니다.퓨즈하나만도 몇천원이죠...
슈퍼캐패시터로 암페어를 많이 커버하실경우는 다이오드도 생략하시는게
설계하시긴 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