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압 안정기 자작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될지요?

   조회 15443   추천 0    

전압 안정기 자작하려고 합니다.

이러면 될지요?^^

다음처럼 연결하려고 합니다.

10패럿 짜리 콘덴서 하나 (슈퍼 cap이라고 써있는데 모양은 똑같다는...그냥 이거 하나만 연결해줄까?? )


1000 u패럿 짜리 콘덴서 두개 직렬연결 (이러면 용량이 두배가 되나요?^^)

1000 u패럿 짜리 콘덴서 하나

100 u패럿 짜리 콘덴서 두개. 직렬
100 u패럿 짜리 콘덴서 하나.

0.33 u패럿  두개

0.33 u 패럿 하나

22pf래럿 세라믹 콘덴서

25암페어 짜리 퓨즈 하나


이렇게 연결하구요

콘덴서의 + 방향을 전지의 + 방향에 연결하고 이것들은 다 병렬로 연결하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퓨즈는 + 방향쪽에?(검정색?)

직렬연결같은거랑 pf세라믹 콘덴서 같은건 빼도 될꺼 같은데..

크크크...잘몰라서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
아 10페럿짜리는 볼트가 2.7볼트네요 5개를 직렬연결해야되는거죠?에이휴..
6개를 직렬연결해야겠군요..나는 바보..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도석림 2010-01
진국님의 자작 행진은 어디까지인가...

그것이 알고 싶다...
투시피유 2010-01
진국님 댁에 가서 봤더니요 전파사 차릴련가 봅니다
진국님 이베이에서 배터리는 왔나요 ^^
임민규 2010-01
용량은 병렬연결해야 두배가 됩니다. 직렬연결시 용량은 절반이 되지요.
저항의 합성저항 구하는것과 같은 방식이지만 콘덴서의 합성용량은 저항과는 식이 반대로 되 있습니다.(직 병렬)

그리고 단순 평활 회로를 생각하시는 거라면 걍 큰 용량의 콘덴서 하나로 땡날거 같습니다만.
저렇게 마구 병렬연결하면 위에서 이야기했듯 총 정전용량은 각 용량의 합으로 되거든요.
그럼 그 합에 대응하는 큰 용량의 콘덴서 하나면 끝나겠네요.
푸릉이 2010-01
아하하하... 다음탄으로 여러분이 꼭필요하실 12볼트 ->15볼트 승압 (노트북 4셀짜리를 자동차에서 쓰도록하는 킷 ) 회로를 준비중입니다. 기대해주세요..(사실 별것도 아니지만.^^)
     
더기 2010-01
Buck-Boost Converter

대용량의 컨텐서와 소용량의 컨덴서를 복합, 병렬로 사용하는 이유는 응답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동등한 재료 및 구조의 컨덴서로 1,000uF x10개와 10,000uF x1개의 공칭용량은 같습니다만 부하 변동에 따른
추종특성은 많이 다릅니다.
소용량을 여러개 병렬로 접속한 구성의 컨덴서가 응답이 빠르고 실질 내부저항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어서
하이 엔드 오디오 기기의 전원-평활부에 적용하곤 합니다.

컨덴서의 외형이-용량이-커질수록 내부의 구조적 문제로 주파수가 높아질 수록 내부저항이 상승하게 되는,
컨덴서 본래의 고유 특성에 위배되는 동특성을 보입니다.
이를 보완하고 상쇄하기 위한 방편으로 일차 컨덴서 용량의 1/10~1/50수준 용량의 컨덴서를 접속해 줍니다.
일차가 1,000uF이고 1/10간격이면 +100uF+10uF+1uF+0.1uF... 이런 형식인 것이죠.
정확하게 할려면 임피던스 메터가 있어야 하지만 보통 경험에 의존해서 많이 적용합니다.
          
푸릉이 2010-01
오 그렇군요... 이런식으로 해야겠습니다. 직렬은 빼구요..극성은 제가 제대로 알구 있는건가요?
강성화 2010-01
10F (=패럿) 짜리가 내압이 승용차 12V(=14.4V)에서 사용할 수 있을만큼 높은게 있나요?

보통 2.7V라고 할때 5개 ~ 6개를 직렬로 연결해서 내압을 맞춰주게 되지 싶구요.
직렬연결하면 용량은  1/n 만큼 줄어든다던가요.

슈퍼캡의 목적은 (순간적으로 전기를 확 끌어다 써야되서) 순간적인 전압강하 요인이 발생할때
순간적으로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해 주기 위한 것입니다.

가령 모터를 돌리려고할때, 첫 스타트시에는 전기저항이 0에 가깝죠.
그럴때 저런게 있으면 전기를 확하고 공급해 줄 수 있어서 스무스하게 돌아가게 되겠죠. (원리)


그런목적이 슈퍼캡을 쓰는 것이고,

특성이 다른 콘덴서를 병렬로 조합해서  달아주는것은,
윗분 말씀처럼  콘덴서 종류와 용량마다 자기의 고유 주파수특성이 있으므로
직류전원 속에 포함된 서지나 리플의 알수없는 주파수에
(여러종류의 콘덴서를 달아놓은 그 콘덴서들 중에 한넘) 콘덴서와 반응하여
직류성분 이외의 주파수성분을 흡수시킬려고하는 개념에서 나온것이  저런류의 서지오들 입니다.

전원이 순간적으로 변하면 안되도록 하는데는
충전했다가 확 방전시켜주는 콘덴서도 필요하고,
순간적인 전원의 줄어듬이나 늘어남을 못참는 코일도 필요하고 그렇죠.

전원 소스->전단쪽에 콘덴서 무리들 ->전류용량큰 껌정 트로이덜에 감긴 인덕터->후단에슈퍼콘덴서->부하

이런 조합이라면 전원쪽에서 직류성분 이외의 주파수들이 전단 콘덴서쪽에서 일차로 걸러지고,
인덕터에서 2차로 교류성분이 방해를 받아서 직류만 통과하고, 또 급격한 변동때 많이 흐르는걸 방해하고, 갑자기 적게 흐르는것도 방해해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해주고,

후단은 급격한 변동중에 갑자기 늘어나는걸 방해받을때 전기를 충분히 공급해 주기도하고,
순간적으로  전원소스쪽으로 급격하게 빠져나가는것도 방지해 주게 됩니다.

어디까지나 이론상이고,

오됴를 쓰는 경우는 그냥 슈퍼캡, 서지오 이런것들만 달아줘도 됩니다.

잘만들려고 하면 공급해주는 전원의 +와 -를 한개의 코일에 (순방향으로) 감아주는 것이고,

오됴를 달때 +쪽만 끌어와서 연결하고, -는 차체로 접지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것보다는 +와 -를 모두 밧데리에서 끌어와서 공급해주는게 더 좋지 싶구요.
샤시와 샤시끼리, 그리고 샤시와 차체를 접지를 해 주는게 더 좋겠죠.

이렇게 적은 글은 어디까지나 저의 (믿거나말거나...) 생각만입니다.
LEON 2010-01
슈퍼캐패시터 한개는 절대안됩니다.제가 알기론 국내에서 쉽게 구하는 녀석중 내압이
10V를 넘는건 단 한개도 없었는데...위엣분 말씀처럼 병렬연결하고 발란스저항을
달아주셔야 합니다.(내압을 전부 더했을때 값이 14.4이상이어야 합니다.)


QnA
제목Page 4091/5730
2015-12   1791999   백메가
2014-05   5267089   정은준1
2021-05   5980   알수없는힘
2009-01   5496   정형철
2009-01   5890   박광덕
2020-03   3388   머리감자
2020-04   3137   박상범
2020-09   2731   moonflower
2017-03   5450   김건우
2019-07   4111   빠시온
2020-11   4073   ocarina
2015-05   4314   잘살아보세
2017-07   4463   e5472
2017-07   4106   lamanus
2019-05   3704   이천풍
2017-04   4219   차넷컴퓨터
2017-04   3678   신은왜
2017-04   3409   아름드리소…
2017-04   3481   다봉이
2017-05   4410   김민철GC
2017-05   10656   무아
2017-07   3264   수필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