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필요한 (특수한)보안프로그램 지우는 방법 문의합니다.

손경화   
   조회 42048   추천 0    

전에 모 대기업에 (허락을 얻고)노트북을 가지고 갔다가 그 회사랜에 접속하려면 무조건 자체 보안 프로그램을 깔아야 한다고 해서 어쩔수 없이 그 회사 보안프로그램을 깔았습니다.

문제는 집에 있을때도 그 프로그램이 뜨는데, 그것 때문에 노트북이 다운되는 경우가 (아마도)생기는거 같습니다.

프로그램 삭제로는 지워지지가 않고, 폴더 강제 삭제 하려해도 폴더는 C:\Program Files\SaferZone\DefCon Pro 라는 게 생기면서 지워지지도 않습니다....

보안프로그램이름이 "데프콘 폴리시"인가 할겁니다.

강제로 지우는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얼음반지 2010-01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해보시면 어떨까요 ?
손경화 2010-01
안전모드로 부팅해서 폴더를 지워도, 나중에 보면 어찌된 일인지 위에 폴더가 만들어져 있더군요...

악성코드와 분위기 비슷합니다.
성기사 2010-01
구글링해보니 방법이라고 올라온것이 있긴 하네요.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echshare&logNo=100065256994

다시 까시는게 빠를 것 같습니다.
김병철 2010-01
원하시는 것이
위치에 따라 프로그램 실행 유무를 결정을 하시고 싶으신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이 하시고 싶으시면
어드민 계정을
하나 더 생성을 하여 쓰시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계정 생성시.
안전모드에서 생성을 하십시요.

따로 프로세서를 중지 시키고,
사용하시기에는 좀 난감한 부분이 존재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시길..
김병철 2010-01
정 않되면
하드 하나를 만들어서 번갈아 쓰십시요..
전근현 2010-01
흠 제일 좋은 방법은 모 대기업 IT직원한테 물어보는게 제일 빠르고 안전하지 않을까요?
분명 제거하는 방법이나 툴이 있을듯합니다. ^^
김동식 2010-01
해당 업체의 보안 담당자에게 문의해야 답이 나올것 같습니다.
그 업체의 직원들은 위에서 시키는데로 설치를 했을뿐 그 결과가 어떤지는 예측하지 못합니다.
단지 나중에 사용하다 보면 뭐가 불편하다는 식으로 얘기가 있을뿐, 그래도 그냥 사용합니다.

하지만 보안 담당자는 해당 프로그램의 제거방법도 알고 있습니다.
만일 모른다면 해당 프로그램 제조사에 요청할 수도 있으니 보안 담당자에게 제거방법을 문의 하시는게 맞아 보입니다.

그런데 웬만해서는 알려주지 않더군요...
그냥 새로 설치하시는게 속편할것 같아요.
AKA지니 2010-01
그거 해당 네트웍에 물린 서버에서 명령어 쏘아 주지 않는 이상 정상적으로 삭제가 불가능할껍니다...
예전의 이런류의 어플들이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삭제가 가능했었는데 이러한 방법이 악용되어 당 네트웍에서 물의를 일으키니 요세는 서버에서의 조작이외에는 원천적으로 삭제를 못하게 하더군요
국내 기업으로는 안랩의 패치매니저랑 폴리시가드 등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단위에서 정상적 삭제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해당 보안 당담자나 당 어플 회사에 문의해보아도 돌아오는 답변은 같을껍니다

온갓 편법을 동원하면 삭제가 가능할수있겠지만 그 이후생긴느 트러블등을 생각하면...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시는게 시간적으로나 정신정간으로나 좋을듯합니다
포시퓨 2010-01
아주 쉬운 방법은 윈도우 pe로 부팅하셔서 실행파일 이름을 바꾸시면 됩니다.
더 쉽게는 다른 컴푸터에 하드를 달아서 해당 파일 삭제하시면 ^^
이지영 2010-01
데프콘은 PC보안 프로그램이라 일반적인 방법으로 삭제가 되지않고 , 자기 스스로의 프로세스 보호를 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그 회사에 한번 물리셔서 관리자를 통해 삭제권한을 달라고 하는것이고, 아마 포맷이 현실적으로 가장 빠를겁니다. 저도 데프콘 엔지니어분을 알고있는데, 저 프로 버전은 구버전이라, 강제로도 잘 못지우더라구요.
투시피유 2010-01
고스트 작업하셨다면
데이터파일만 백업받으시고
그냥 이번 기회에 운영체제를 다시 설치하시거나
고스트 복구 하심이
얼음반지 2010-01
음.. 제가 아는 업체쪽에 얘기듣다가 나온 얘기인데 .. 모바일쪽 개발 하시는분인데.. 보안 문제 때문에 삼성에 들어가서 안에서 작업 하시다가 밖에 나오면 이런 프로그램들을 못지우니.. 항상 고스트 떠놨다가 나와서는 다시 이미지 미는 식으로 작업 하시더라구요.
배주규 2010-01
그런 보안유틸은 방식이 다양해서, 해당 담당자 아니면 뭐라 답변하기 힙듭니다.

다만 제가 일본 후지쯔에서 경험한 바로는...
걔네들 쓰는 유틸은 독자적으로 MBR에 정보를 기록하더군요.
따라서 맘대로 포맷하고 윈도를 새로 깔아도 예전의 보안설정 때문에 제대로 기동이 안됩니다.

일단 MBR(Master Boot Record)을 지워주시고....
제가 지금 술취해서 명령어는 까먹었음...
OS를 새로 까시면 대부분은 해결 될겁니다.

그래도 안되면 하드를 갈아끼시면 됩니다.


QnA
제목Page 5719/5725
2015-12   1767066   백메가
2014-05   5241776   정은준1
2014-07   38696   울트릭스
2013-11   38730   가빠로구나
2017-07   38828   박중석
2013-11   38876   회로쟁이
2015-01   38883   블루영상
2009-11   38928   씨형
2011-06   38994   TSHA
2015-11   39010   한효석
2013-11   39215   정용우
2020-10   39248   장동건2014
2013-06   39540   병맛폰
2013-12   39605   김건우
2017-01   39651   gkdtksghk
2016-12   39865   김건우
2010-07   39916   전근현
2016-09   40053   쿰척쿰척
2010-12   40311   미수맨
2010-11   40343   병맛폰
2014-10   40454   장동건2014
2018-04   40474   LSS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