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장하드에 데이터베이스 설치

한선용   
   조회 12481   추천 0    

안녕하세요.


MS SQL 공부를 최근에 시작했습니다. 며칠동안은 전체백업과 리스토어를 반복하면서
집과 사무실을 오가며 사용했는데, 번거롭기도 하고 가끔은 잊어버리기도 해서 좀
불편하네요.

그래서, 아예 외장하드에 DB를 설치하고 그걸 가지고다니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업무와 연관되있기는 한데, 인트라넷 개발이기 때문에 DB 규모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풀백업해서 3GB가 조금 안되는것 같네요.

외장하드를 연결했을때 회사에서도 E:\SQLdata, 집에서도 E:\SQLdata 가 되게끔
하면 잘 될까요? 질문부터 하지 말고 먼저 해보는게 좋기야 하겠지만, 아직 외장
케이스를 구입하지 않은 상태라서...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우열 2010-01
말씀하신 외장하드의 개념은 클러스터의 개념과 비슷합니다.
2개의 노드에 동일한 셋팅을 해놓고, 엔진만 각각 설치가 되고
디비만 따로 빼놓는 구성이라면 가능합니다.
이지영 2010-01
소프트웨어는 오로지 경로만을 봅니다.
해당 경로만 맞으면 동작하는거죠.
다만 DB라면,
외장하드의 대역폭으로 DB I/O를 긁어대면,
E-SATA는 괜찮을것같은데, USB라면 괜찮을까 살짝 고민이 되네요.
김윤술 2010-01
음...
배치 쿼리 노가다를 자주 해주신다면 가능하죠
그러나 좋은 방법은 아닌듯 싶습니다.
USB 경로를 불러오기도 힘들뿐더러 갖고올수는 있어도 각 서버에 설치된 스카마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항상 계정 싱크를 맞춰줘야 하거든요.
차라리 외부 서버단에 DB넣어서 집과 회사를 넘나들며 작업을 하는게 좋을수도 있습니다.
     
한선용 2010-01
박우열님 //
클러스터링이라고 들어만 봤지 무슨 내용인지 아직 몰라서 죄송합니다.

이지영님 //
네. eSATA 로 사용할 수 있는 준비는 되어 있습니다. 지원하는 케이스도 골라뒀구요.

김윤술님 //
스키마 부분을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스토어드 프로시저가 따라온다는 생각만 하고 있었어서...
이 DB의 목적이, 매달 1GB 정도의 html 파일들에서 정보를 추출하는 거라 그걸 원격으로 하기는
너무 부담됩니다.
김윤술 2010-01
딱 하나 정말 기가막힌 솔루션이 있습니다.
클러스터 못하죠. 구간의 한계가 있으니...
위에 계정싱크 맨날 하기엔 귀찮죠.
WAN구간끼리 데이터는 동기화 하고 싶고...
그래서
나온게
MSSQL2005부터 미러링이 지원됩니다. 클러스터링의 장벽을 뛰어넘은 하나의 좋은 기능이죠.
단 DB를 사용해야될 서버에 주모드로 전환을 시켜줘야 DB사용이 가능합니다. 주모드가 아니면 절대 사용할수가 없습니다. 미러링 모드를 사용하면 주서버만 바라보기 때문에 페일오버로 넘겨줘야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게 훨씬 좋을지도 모르겠습니다.


QnA
제목Page 4082/5729
2015-12   1789266   백메가
2014-05   5264315   정은준1
2017-07   3980   song05
2014-07   4029   빠시온
2017-01   10150   늘파란
2017-03   4090   새총
2017-04   9938   이선규
2017-04   4782   2FluF
2016-06   4721   audacity
2017-05   4302   전요셉
2014-01   5459   빠시온
2017-06   3647   양창권
2017-06   8403   RnB1
2017-08   3203   hater
2016-08   4392   김황중
2009-01   5482   문영식
2017-02   9152   메이
2019-07   2837   빠시온
2016-05   5937   김건우
2017-05   3318   무아
2018-09   6324   김건우
2017-06   3184   늦잠자는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