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드 캐퍼시티는 뜨거워도 괜찮나요

   조회 9662   추천 0    

메인보드의 콘덴서가 예전엔 원통형이어서 오래쓰다보면 배가부르고 나중에 액이 터져나와서 죽기도 했는데 요새는 원통콘덴서가 없어지고 전부 솔리트캐퍼시티라고 조그만 사각형의 단단한 걸로 되어있네요

오늘 윈도우 다시 깔다가 솔리드 캐퍼시티 만져보니 손을 댈수 없을정도로 뜨겁습니다 amdx2 7750 95w짜리 모델이어서그런가 전기사용이 많아서 그런것같은데
이거 이렇게 뜨거워도 괜찮을런지요 여기도 방열판을 달아줘야 할까요

예전 amd2000+ 쓸때 너무 cpu가 무지 뜨거워서 종종 다운되고 보드들도 결국 몇년후에 다 죽은경험이 있어서(5대정도)걱정이 되는데 요즘은 오히려 인텔께 온도도 낮고 cpu방열판도 높이가 한참 낮아져서 이러다 쿨링팬없이 방열판만으로 동작하는 시대가 다시 오는거 아닌지 궁금하기도 해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0-03
원통형 콘덴서는 보통 85도에서 2000시간 정도 견디죠
(싸구려 콘덴서는 시간이 더 적고 더 열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솔리드콘덴서는 보통 105도에서 2000시간 정도 견디죠..

콘덴서는 종류와 상관없이 고온에서 오래 동작하면 수명이 급격히 줄어듭니다.

예를들어 보통 콘덴서는 50-60도 정도면 솔리드콘덴서의 경우
16000시간에서 30000시간까지도 버틴다고 하죠
10도 내려갈수록 수명은 두배로 상승합니다.
콘덴서 많이 뜨겁다면 당연히 문제가 생길 소지가 많은것은 사실입니다.

어떤 식으로든 온도를 내려준다면 좋습니다.
저의 경우 보드나 그래픽 카드 주위에 쿨러를 더 달아준다던가.. 합니다만.

결론은 그래픽 카드든 보드든 콘덴서가 열을 받는다면
식혀줄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무었이든 시도해보는것이 좋습니다.
전체적으로 부품들의 수명이 늘어날수도 잇구요
정말 컴 부품은 열에 취약한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하드2개당 앞쪽에 80mm 쿨러 달아줬더니 정말 p2p 프로그램 계속 돌려도
오래쓰더군요 보통은 3개월이면 뻣어버렸는데요 7-8개월도 가는것을 보면..
chis 2010-03
그 솔리드도 진짜 쏠리드일지 모른다는게 중론입니다..벗겨보면 원통형이 들어있는것도 제법된데요...헉..
배창언 2010-03
솔리드=캔타입 이라 생각하면 안되는게
삽입형인지 표면실장형인지에 따라 외형이 바뀌는데 예전에 흔히본 전해콘덴서가 삽입형이라 그런오해가 있을뿐
전해콘덴서도 표면실장형이면 흔히말하는 솔리드랑 같은 은빛깔입니다.
차이점은 윗쪽에 터지더라도 내용물 티어나가지말라고 위에 접합된게 있을뿐 소용량은 그마저없어서 그냥봐선 모르죠.
이현범 2010-03
조그만 사각형의 단단한것 ?
솔리드 컨덴서도 원통형 인데요.
혹시 큐브 초크 코일은 잘못 보신게 아닐까요?
큐브 초크 코일은 사각형 통안에 구리선이 들어 있는 것이라 온도가 높아도 아무 상관 없습니다.

아니면 사각형 컨덴서가 새로 나온건가요?
블루모션 2010-03
이현범님 말대로 제가 잘못 설명한것같은데요 그럼그 cpu주변이 있는 사각형물건들이 콘덴서가 아니고 코일인가요
부품은 잘 몰라서요
     
투시피유 2010-03
까만색의 사각형 솔리드커패시터도 있습니다. 뭐 만들기 나름이죠.


QnA
제목Page 4064/5729
2015-12   1787265   백메가
2014-05   5262438   정은준1
2018-06   6573   알파고
2023-12   1863   기억을머금…
2013-10   7350   박윤배
2011-01   9395   일반유저
2019-08   3473   김건우
2020-11   4506   송진현
2022-04   2195   osthek83
2019-08   2908   권순규
2017-03   4928   yeondoo
2015-02   5862   테돌아이
2013-10   7434   여주이상돈
2016-04   21405   임시현
2018-06   4749   미나리나물
2011-03   8698   곽순현
2013-10   8670   AKA지니
2020-11   3988   하나비
2024-01   2390   미니미
2017-04   4114   AKMU
2019-09   5889   DeepSky
2017-05   3758   미수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