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식좀 질문드리겠습니다.

   조회 7956   추천 0    

규동이라는 것과 소바라는것이 있더군요

 

규동은 우리로 치면 고기 덮밥하고 비슷한 음식이고

 

소바는 메밀국수와 비슷한 음식이라는대

 

 맛이란면에서는 어떤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다이어트 중이다보니 끝나고 나면 먹어볼것들 적어두느라... 에휴..

 

일단 10일만에 10kg 감량은 했습니다만 이제 슬슬 고비가 올거 같아요

"내가 있는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내가 하는일이 내가 해야할 일입니다." 탐그루 "수르카 모스브루거에게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0-05
글 읽으니 메밀국수 먹고 싶네요..
답변은 일본에 계신 배주규님, 김형신님, 송상병님께 패쓰요..
배주규 2010-05
규동(牛?)과 소바(そば)는 일본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싸게 먹을수 있는 음식입니다.
거의 300엔 정도면 한그릇 먹을수 있고요. 여러 체인점이 동네방네 있어서 어디든지 쉽게 볼수 있습니다.
게다가 가게 좌석이 혼자 않을수 있게 돼있고 주문한지 1분만에 음식이 나오기 때문에 혼자 배채우기 딱 좋습니다.

제가 국내에서 메밀국수를 많이 먹지 않아서 소바와 비교하기는 어려울거고요.
일본얘들이 튀김을 잘해서 그런지, 소바나 우동에 하나씩 얹어먹으면 맛있습니다.
다만 저는 면을 건져내서 차게 식힌다음에 간장비슷한 소스에 찍어먹는 소바를 자주 먹습니다.

규동은 계란, 김치, 치즈, 마 등등을 옵션으로 얹어서 먹기도 하고요(체인점마다 메뉴가 다름).
일반 규동 단품만 먹을 경우에 우리나라 사람한테는 좀 밋밋하게 느껴질겁니다.
거의 쇠고기맛 하고 간장맛 밖에 없거든요. 그래도 계속 먹으면 정듭니다.
제가 전에 코엑스몰 지하의 일식집에서 1만원짜리 규동을 함 먹어봤는데요. 일본 동네방네 290엔 짜리보다 못하더군요.
투시피유 2010-05
규동이 우리나라에 있군요
그런메뉴는 본적이 없어서요
우동과 많이 다른가 보네요
로그아웃 2010-05
저는 규동먹을때 스키야에서만 먹었습니다...거의 유일하게 김치규동이 있죠... 규동 처음 먹을때는
맛있는데 뒤로가면 느끼해서 김치규동만 먹었습니다
이종원 2010-05
규동은 주로 튀김, 혹은 달걀로 동그란 형태를 만든 무언가를 (돈카츠 ,오야코동, 생선카츠, 오뎅 튀김, 구운 장어 등) 을 밥 위에 얹어 먹는 것 입니다. 그냥 ~~덮밥. 이라고 생각 하시면 될듯 합니다.

소바는 국수지만, 보통 메밀로 된 세면을 의미 합니다. 이름 부터가 소면이니까요. ^^

규동이 아무래도 기름을 쓰게 되기에 칼로리 고려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
     
배주규 2010-05
약간 잘못 알고 계신거 같습니다.
밥 위에 뭔가를 얹어먹는 종류를 ~~동(?), 혹은 돈부리메시(?飯)라 하고요.
그중에 牛?、カツ?、親子?、天?、ツケ?、ウナギ?등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소바와 소면은 틀리고요. 소면은 밀가루로 만듭니다.
규동은 소고기를 오래 끓이면서 기름기를 걷어내기 때문에 지방이나 칼로리가 그리 높지는 않습니다.
          
김승훈1 2010-05
잘지내십니까.. 배주규님 설명이 맞네요.
          
투시피유 2010-05
와 정말 잘가르쳐주셨습니다
전 모르는거 투성이네요
언제 일본가면 배주규님께
얻어먹어야 할듯
     
이종원 2010-05
잘못 알고 있던걸 알려 주셔 감사 합니다. ^^^


QnA
제목Page 4031/5730
2015-12   1791584   백메가
2014-05   5266675   정은준1
2016-02   9139   임민규
2013-07   7004   김황중
2019-06   4359   허인구마틴
2018-04   6187   굴렁쇠
2010-07   14394   song05
2018-04   4552   포스타
2022-02   2741   이희주
2014-12   13895   도석림l지나가는바람처럼
2016-03   4727   JSYoon
2010-08   9580   아름다운노을
2016-03   4160   DDAYs
2019-06   4661   TLaJ3KtYGr
2022-02   2645   metaljw
2013-07   7805   김건우
2013-08   5994   정희섭
2023-10   2246   Spinel
2010-10   7610   블루영상
2019-06   3491   송진현
2023-10   3108   죠슈아
2019-07   4540   정의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