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먼 옜날 에 몇번 글을 쓴뒤로는 처음글을 올리는것 같습니다.
지금 본체를 하나 조립을 할까 해서 견적을 내보았는데 제가 욕심이 너무 많아서 인지...
가격이 너무나 비싸지더라구요 .... 거의 200~400 사이를 왔다 갔다 합니다.
전에는 전산 관련 직종에 있어서 조금무리를 하더라도 제가 원하는 사양만큼 맞춰도 어느정도...
활용을 할수 있었지만 지금 이직(?) 이후에는 컴퓨터 와는 전혀 상관 없는 직종이다 보니......
하지만 이제 까지 본것도 있고 하던것도 있어서 괜히 견적만 비싸게 내다가 조립을 포기한적이 한두번이
아닙니다. 그래서 여기 계신 분들께 견적을 내는대 있어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우선 제가 초기에 견적을 내었던 사양은 대략적의로
Xeon 쿼드(네할렘코어) 가격은 40만원선 X 2
메인보드 40만원 정도...
메모리는 각각 CPU 당 4G 정도?
이러다 보니 비용이 너무나 많이 나오더군요 사실상 제가 요즘들어서 PC 를 가지고 하는 일을 별로 없는데요
그러면 일단 제가 주로 하는 작업과 대강 본체 조립시에 사용할 비용 등을 적어 보겠습니다.
(주로 하는 작업)
1. 동영상 인코딩 작업 (영상 편집은 아니고요 단순히 PSP 나 휴대용기기 에서 볼수 있게 하는 인코딩 디코딩?)
2. 약간의 인터넷 웹서핑
3. 오디오 인코딩 디코딩 작업
4. 각종 영상 수집
5. 취미와 관련된 자료수집
6. 약간의 3D 게임 간단히 스타2 정도 되는....
(관심을 가지고 비교중인 CPU)
투반 블랙에디션
i7 930 또는 950, 960 정도?
아니면 그냥 ㅡ.ㅡ XEON 네할렘 아키텍쳐를 쓴 쿼드코어 제품으로 듀얼을 구성해서 ;;;
투자 가능 금액은 100~ 150 만원 정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100만원 이하에서 견적이 나왔으면 하는생각도 ;;
기타 HDD 케이스 파워 도 전부 구입을 해야 하는 상황 이네요 모니터는 있고요^^;;
여러 분들이 좋은 의견 이나 견적등을 주시면 적극 참고 하여 조립을 하겠습니다^^;
참... 제가 집에서 있는 시간이 평일은 잠자는 시간 6시간이 전부라 평일 에는 거의 1시간 하면 많이 사용하는
편이고요 주로 일요일에 조금 사용합니다... 음... 다시 생각 해보니 거의 평일에는 동영상 인코딩 작업만
하겠네요 인코딩 작업 걸어 놓고 잠깐 잠깐 확인 하는...;
i5 750도 3.6G 까지 기본전압에서 오버가 가능 합니다.
거의 그렇게 사용하고있지요.저역시^^
i7 860 스레드만 8개로 만드시는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 같습니다.
모든 시스템의 발목은 디스크가 잡아먹으니 디스크에 충실하심이 어떨찌요?
일부러 보드나 파워를 퍼포먼스 이상급으로 맞추지 않는한은요.램도 고클럭 고램타 필요없을것
같구요.
영상 수집하신다니 저장용 디스크 갯수에 따라 넘을지는 몰라두요. 차라리 램을 8G정도 하시는걸 추천..
인텔의 하이퍼 쓰레딩은 일부 게임에선 도리어 성능을 깍아 먹을수도 있습니다.
요는 사용하는 유틸이 멀티쓰레드를 지원을 안하면....인코딩 8쓰레드 지원이 되는게 있나요?
전문 영상 편집 말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