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롤의 압박이 좀 있습니다.(쓸데없는 정보만 ...)
------------------------------------------------------------------
데이콤 오피스용으로 유동 ip 두개를 받습니다.
데이콤에서 사무실에 L2스위치라고 하는걸 한개 넣어놨습니다.(24포트)
24포트 중 두개를 공유기의 WAN 포트에 물렸습니다.
(설치기사님 말이 스위치의 다른 포트에서도 아이피도 받고 인터넷도 잘 되는데 계속 쓰면 차단한다더군요.)
현재는 4포트공유기1 (포트속도100M) - 크로스케이블(CAT6) - 8포트 스위칭허브(1000) - 크로스케이블(CAT6) - 4포트공유기2(1G) 로 구성되고 공유기당 DHCP는 범위를 겹치지 않게 조정해놓았습니다.
(사용가능한 포트는 3+6+3=12개 네요)
그리고 장치들은 남는 포트 아무데서나 질질 끌어다 아무기기에 물려 있습니다.(네트웍프린터, NAS, 하단의 더미허브, PC들..)
예전에는 메가패스 회선 두개를 써서, 나름대로는 공유기 양쪽간에 네트웍공유자원(네트웍프린터, NAS)를 쓸 수 있고 회선하나가 죽어도 인터넷은 가능하도록 짜본 구성인데.. 그럭저럭 잘 굴러갑니다.
그런데.. 자꾸 장비가 추가되어 24포트 스위칭허브를 하나 사서 깔끔히 물려야 할 상황인 것 같습니다.
------------------------------------------------------------------------------------
인터넷은
웹ERP 계정 3개를 사용하는 사무용 컴퓨터가 6대 있고요.
(끊어지면 회사가 멈춥니다.)
인터넷 브라우징용 컴퓨터가 7대.(학술db에 늘 연결되어 있습니다.)
회의 등 필요시 사용하는 무선노트북이 12대(최대)
작업용 웍스테이션 2대가 있는데(큰 트래픽을 유발하는 인터넷사용 O)
(500MB정도의 FTP 를 다운/업로드하는 트래픽이 일주일에 2번정도 발생합니다.동영상을 한번에 교체하는 등의 큰 작업이 있을때는 며칠간 사용합니다.)
공동 작업파일서버 한대를 추가로 물릴 예정입니다. 공유할 파일은 주로 3G 정도의 영상소스입니다.(인터넷사용X)
------------------------------------------------------------------------------------
질문1 : 공유기와 관리형(또는 비관리형)스위칭허브에 LAN 포트는 하나만 연결가능합니까? 아니면 모두 연결해서 공유기의 포트당 대역을 분산시켜야 하는 건가요?
(공유기 포트라는 것이 다른 포트의 신호처리가 놀더라도 한포트가 과부하를 받게 되는건지.. 한 포트에 몰리면 내부에서 나누어 처리하는 건지 그런 지식이 없습니다. 공유기포트와 스위치포트를 많이 연결한다고 분산이 되긴 하는건지... 전혀 모릅니다.)
하나만 연결하면 쉽긴 한데 그럼 너무 몰릴거 같고. 분산한답시고 전부 다 연결하자니 뭔가 무식한 듯한(?!) 느낌입니다.
질문2 : 공유기->스위치->PC+PC... 의 구성에서 PC간 데이터는 IP정보를 갖고 있는 공유기를 통해 움직이나요? 아니면 스위치만 거쳐서 움직이나요?
PC-스위치-PC 만 기가빗으로 구성하면 되는지.. 공유기까지 기가빗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여쭙습니다.
---------------------------------------------------------------------------------------
정리가 안되어서 사무실 한켠이 랜선 뭉치에 전원콘센트에 멀티탭에... 난리도 아닙니다.
고수님들... 아니 고수 아니셔도 충분히 아실 내용이라.. 무식한 중생에게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기가빗연결에서는 허브-허브 연결시
크로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스위치/라우터간 여러 포트를 연결하려면 좀 더 고급의 기능(트렁킹,어그리게이션)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인입회선의 대역폭이 100Mbps로 제한될듯 한데요, 24포트에서 모두 공인아이피를 받아 쓸 수 있다고 하더라도 결국 나갈때는 100Mbps의 한계는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러니 공유기 두대를 사용하는것은 구성만 복잡하게 하지,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C클래스정도면 하나의 네트웍에 다 묶는것이 요즘 하드웨어 상황에서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공인아이피를 두개 받으셨다고 했는데, 한개는 공유기, 다른 한개는 서버에 사용하시면 합리적일듯합니다.
나아가서 공유기가 하나 더 있다고 하셨으니, 남는 아이피 하나를 서버에 직접 물리지 마시고, 남는 공유기에 물려 서버용으로 사용하시면 더 효율적으로 쓰실수 있습니다.
질문 2. PC간 데이터는(LAN구간) 스위치까지만 올라갑니다.
다만 DNS질의가 필요하거나 채팅(MSN,네이트온)같은경우에는 프로그램마다 다르지만 때때로 중앙의채팅서버에도 접근을 해야합니다.
이더넷에서는 속도가 다른 인터페이스끼리 붙을때 낮은 속도에 맞춰서 연결됩니다.
공유기의 경우 업링크(인터넷회선)속도가 100Mbps일테니 꼭 기가빗으로 연결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포트 부족으로 공유기 하단에 24포트 기가빗스위치를 두대 이상 두어야 할 상황이라면 기가빗랜인 내장된 공유기를 메인스위치로 두는것이 깔끔하고 효율적이겠습니다.
PS. 대용량 트래픽을 일으키는 작업때문에 업무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초고속인터넷을 한회선 더 신청하시는것도 좋습니다. 지금 사용하시는 데이콤에는 100메가 이상 쓰기 힘들것으로 보여지구요, 타 통신사 한회선 더 추가하시면 깔끔하게 해결될것으로 보여집니다. 그리고 업로드 트래픽이 좀 있으시다면 DSL종류보다는 랜방식을 추천합니다.
'S그룹 자재로 태어나면 어쩌나' 생각도 해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