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에서 E-SATA 외장 HDD 사용하시는 분 질문있습니다. ^^

   조회 17972   추천 0    

노트북에서 E-SATA포트를 사용해서 외장형 2.5인치 HDD를 사용할 경우

1. CMOS에서는 인식이 되는지?

2. 윈Xp,윈7에서 USB같은 외장형 HDD로 인식이 되는지? 
   아니면 그냥 내장 HDD와 동등하게 인식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3. 현재 SATA HDD를 사용중인데 XP설치를 할 적에 CMOS에서 E-IDE로 해서 설치를
하였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E-SATA 외장HDD는 사용가능한가요?
안된다고 하시는 분이 있어서요.

이넘 회사의 보안툴이 외장HDD에는 무조건 WRITE가 금지되거든요.
그냥 내장HDD로 인식이 된다면 관계가 없는데..

외장으로 인식이 된다면 사용불가 입니다. ^^
혹시 사용하고 계시는 분 있으시면 좀 알려주세요. 

싼맛에 레노보 노트북(i7)을 샀는데 USB도 2개 + E-SATA겸용 1개 해서 3개뿐이고
LCD 화면도 작고.. ( 외장 모니터를 사용하는지라... ) 여러모로 좀 불편하네요.

시게이트 500G 5400RPM 하드인데 확실히 느리군요. ( 옆에 분은 SSD고 또 옆에 분은 7200RPM HDD )
확실히 5400RPM짜린 상대적으로 좀 많이 느리게 느껴집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이정동 2010-08
제가 써본바로는 E-SATA는 내장하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 구동됩니다.
USB방식처럼 중간에 연결해서 인식안되구요.. 연결해놓고 본체 전원을 넣어야 인식되더군요..

그런다고 해서 속도가 빠른느낌도 안나고.. USB외장하드 연결보다는 빠른데..
내장 하드보다는 좀 느리다 느낌.. 정도 인듯합니다.
이건 머 제 개인적인 느낌이어서 다른분들은 다르게 받아들이실수도 있습니다.
서용환 2010-08
일반 E-SATA 하드의 경우, 이정동님의 말씀처럼, 내장하드와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인식 및 구동이 되므로, 속도의 저하같은 것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E-SATA 및 USB 콤보 타입의 외장하드의 경우, 내부적으로 Jmicron 칩셑을 이용하여 한번 필터링(?)되는 형식으로 작용을 하는 경우에는 호환성 및 속도 저하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양경모님의 경우에는 저와 상황이 비슷한 것 같은데.... 일반 E-SATA 하드로 접속을 할 경우에는 내장하드로 인식을 하기 때문에(물론, 콤보 타입도 내장으로 인식하지만, 호환성 및 속도 저하 문제 발생)상기의 문제점 들이 모두 해결이 될 것 같습니다.
선철 2010-08
E-SATA 의 경우 SATA 1 에 대응하면, (보드, 하드, Sata 규격중 어느하나라도) 컴을 켜기전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그경우 내장 SATA와 하등의 차이가 없습니다. (그냥 내장 SATA cable 을 하나 밖으로 뺐다(?) 정도)

그러나 3가지가 잘 갖추어 지면, '리무버블' 하드로 인식 가능합니다. 그 경우 hot plugging 이 가능해 집니다. 즉, 컴이 켜진상태에서 연결 가능하고, 컴을 끄지 않고 제거가 가능해집니다. E-SATA 는 이경우에 의미가 있어지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노트북에서 '외장' 으로 인식된다는 것이 어떤것인지 확인해보셔야 할것 같습니다. USB 가연결이 안되는 것이다 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리무버블' 장비가 안돼는 것이다 라면 e-SATA 도 안될 겁니다. 다만, 이경우에도 SATA 1 규격으로 붙인다면 (컴을 켜기전에 연결하고, 끄고나서 제거) 상관 없을 듯 합니다.

그냥 SATA2 하드 하나를 바로 연결해 보시면 되지 않을까요? 전원만 AT 전원 등에서 해결하면 되겠는데요.
일반유저 2010-08
제가 데스크노트에서 ICH9내장과 연결된 E-SATA와 PCI-Express카드로 된 별도 외장E-SATA(실리콘이미지 칩셋)를 둘 다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데탑용 ICH9R에서 내장SATA를 외장 e-SATA로 변환해서(젠더사용)도 사용해봤구요.
그럼 답변 드립니다.

1. CMOS에서 E-SATA HDD인식은 어디까지나 바이오스에서 지원하느냐 안하느냐의 차이입니다.
  제 데스크노트(HP DV7-2000시리즈)에서는 부팅 직후 바이오스로 들어가면 E-SATA로 연결한 HDD를 잘 인식합니다.

2. 데스크노트에서는 XP 32bit와 윈7 64비트, 데탑에서는 XP 32bit만 써봤습니다.
  데스크노트의E-SATA는 내장E-SATA와 PCI-E카드 모두 외장형장치로 인식됩니다.(XP/윈7 모두공통)
  즉, 오른쪽 하단에 안전제거 아이콘이 뜹니다.
  데탑의 내장SATA를 외장 e-SATA로 변환시에는 완전히 내장HDD로 인식합니다.
  (오른쪽 하단에 안전제거 아이콘이 안뜨고, 장치관리자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정말 많은 E-SATA를 사용해보았습니다만,
  오른쪽 하단에 안전제거 아이콘이 뜨는 것은 경우에 따라 천차만별이었습니다.
  예전에 데탑에 PCI-E e-SATA확장카드(실리콘이미지 칩셋)를 사용한 적이 있었는데,
  웃긴것이 1번포트에 연결한 HDD는 안전제거 아이콘이 뜨는데, 2번포트의 HDD는 안떴습니다.^^
  (두 하드 공히 동일제조사의 동일모델)

3. IDE모드에서는 E-SATA를 연결해서 쓸 수는 있겠습니다만,
  SATA HDD가 지원하는 여러 기능(NCQ, hot plugging등)을 쓸 수 없습니다.
  즉, 컴을 끈 상태에서 E-STAT외장하드를 연결하고 부팅하면 컴과 OS가 인식해서 사용가능합니다만,
  컴이 켜져있는 상태에서의 연결/제거는 불가능합니다.(아마 강제로 연결/제거하면 퍼렁화면 뜰겁니다.)

  현재 설치된 HDD를 IDE에서 AHCI or RAID로 변경하지 않으면 핫플러깅은 쓸 수 없습니다.
  XP에서 현재 설치된 HDD를 IDE에서 AHCI or RAID로 변경하는 방법은 웹서핑을 해보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단, 만일을 대비해서 OS하드의 풀백업은 받아놓고 작업하시기를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비스타 시절 사람을 "멍..."하게 만들었던 것 하나..

내장 sata든 외장 sata든 가리지 않고 죄다 "안전제거"에 떠있던 것..

OS 하드까지 "안전제거"에 있더군요..

"제거"..를 해 볼까 하는 유혹이 컸지만... 무서워서 못 해 봤습니다.
송재훈 2010-08
SATA 시스템에 안전제거가 있는 것은 NVIDIA 칩셋의 내장포트 '따위'에서나 나타나는 현상 아니였던가요?
사실 무척 궁금하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지금까지 실제로 경험해 본적이 없어서...
     
큭...
그 nVidia 칩셋의 내장 포트 따위.. 였습니다..
이유가 그래서였군요..
딸기대장 2010-08
미처 회사일에 바빠서 리플을 못봤습니다.
아...제가 딱 필요한 조언들이였습니다.
무서워할 것 없이 SSD한개 사고 SATA는 E-SATA로 돌려버려야 할 듯 합니다.


QnA
제목Page 3997/5727
2014-05   5251960   정은준1
2015-12   1776958   백메가
2010-08   8690   박준승
2010-08   8945   이종원
2010-08   8877   95GSR
2010-08   8650   가빠로구나
2010-08   7417   아름다운노을
2010-08   7785   일반유저
2010-08   9287   심바트
2010-08   8078   송현호
2010-08   8387   이승엽
2010-08   9774   머라카는데
2010-08   8511   지니보이
2010-08   8305   조연
2010-08   17759   장동건2014
2010-08   10429   엉데두
2010-08   12406   뭐라카노
2010-08   9987   spooky
2010-08   13050   미수맨
2010-08   8596   과거지사
2010-08   8709   잔혹한마법사
2010-08   14500   일반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