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증설해 보신분

   조회 12803   추천 0    

즐거운 주말 보내셨어요?^^

스토리지 서버를 증설할 계획입니다. 스토리지 서버는 한 번도 안 만져 봐서 좀 막막막하네요 ㅎㅎ

서비스를 계속 유지 하면서 증설을 해야 하기 때문에 제가 생각한 것은 증설할 서버 1번이 있습니다.
그리고 여분의 서버 2번이 있고요.

1번 서버의 용량이 1.6TB정도되구 300G짜리 하드로 구성되어 있구요(레이드 10로 구성)
여분의 서버의 그냥 1TB짜리 달아서 증설 하면 되는데 여분서버의 수명이 간들간들 해서
서비스서버로 쓰기는 위험합니다.
일단 여분서버에 500G짜리로 한 3TB로 만들고 1번 서버를 SCP복사하고
그런 다음 1번 서버를 1TB로 바꿀려고 하는데요

제가 하는 방법이 괜찮을까요???? ^^
아님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증설하는 1번 서버 자체에서 바로 증설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300G 12개로 레이드 10으로 구성되어 있구요(전 레이드 5로 구성하려 함,이전 관리자가 레이드 10으로 구성해 놨네요) SCP복사를 할때도 대략 2들은 소요되니깐...ㅜㅜ

300G짜리 빼고 1TB를 하나씩 교환하면 레이드가 깨지겠죠????

그리고 만약 서비스를 중지하고 증설한다면 증설하는 자체 서버에서 증설하는 방법이 있나요? ^^

즐거운 한주 시작되시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권오준 2010-08
웹서버의 경우가 아닌 파일서버를 오프라인상에서 운용하고 계시고, 데이터 변화가 없을 경우만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1. 1번서버의 데이터가 요즘 하드로 보면 그리 부담되는 용량이 아니니, 1.5테라짜리 하드 두개에 백업본을 두개 만들어 놓고 작업을 하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2. 레이드는 완벽하게 구성한 후 백업 및 운용을 하셔야 합니다. 2번 서버를 구성하여 2번 서버가 단독 임무 수행이 가능하게 하세요.
3. 1번서버 증설시 1번서버에 있던 300기가 하드들은 번호를 순서대로 라벨링 하여 단 몇주라도 보관하심이 좋을 것입니다.(응급복구 차원)
4. 1번서버 증설을 한후 2번서버와 교체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참고로 2번서버가 불안한 것이 마음에 걸리는 군요.
300기가짜리 하드를 하나씩 교체하시는 것은 설령 그렇게 된다고 해도, 그렇게 하셔서는 안됩니다.

즐거운 한 주 되세요.
이지영 2010-08
레이드 컨트롤러의 종류에 따라 Online RAID Level Migration (ORLM)등의 기능이 있으나, 사실 안정성의 위협때문에 서비스 서버에서는 권장드리지않습니다. 통으로 백업하시고 볼륨 다시 만드시는쪽을 권해드립니다. 1.6TB면 2TB 디스크 하나 구해서 받으셔도 될것같네요.
2010-08
몇가지 생각나는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번서버의 디스크베이갯수에 따라서 구성방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베이가 많으면 자체에 1~2TB 디스크를 추가장착하여 백업을 생각하실수도 있구요, 다른 서버를 이용해야겠죠.

그리고 말씀하신분위기로 미루어 300G 10,000/15,000RPM의 SAS/SCSI 로 구성된듯한데요, 500GB나 1TB디스크는 7200RPM이라 성능에서 많은 차이가 납니다. (안정성이나 사후지원에서도 많이 차이가 나요)

7200RPM디스크는 서버이전/업그레이드에 잠시 백업해두는 용도라면 모르겠지만 서비스용으로는 문제가 있지않을까싶습니다.

SAS라면 15000RPM 600GB디스크가 나와있으니 1+0으로 교체하시면 3TB까지 확보 가능하시겠네요.

레이드 레벨은 스토리지의 사용용도나 패턴에 따라 달라지겠는데요, 1+0이 서비스에는 제일 적합해 보입니다.

디스크 용량은 제일 적지만, 안정성과 성능을 생각할때 이만한게 없거든요.

컨트를러 좋은거 쓰시고, 데이터 쓰기작업이 많지않으시다면 RAID5도 쓰실만합니다.

그리고 그정도 규모라면 아마 레이드컨트롤러에서 핫스페어를 지원할거라 생각되는데요, 핫스페어를 적어도 하나는 추가하시는것을 권장합니다.
개별교습 2010-08
답변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3994/5728
2014-05   5256852   정은준1
2015-12   1781793   백메가
2016-12   5665   AplPEC
2014-09   5183   아빠소
2020-06   4432   허인구마틴
2010-02   6909   정희섭
2016-01   4436   오성기
2014-10   4767   잠뽀뚱땡
2016-01   3870   슬루프
2013-04   5718   김상일
2016-01   4000   DOOWON
2018-02   3728   캔위드
2016-01   4634   수퍼맨1
2023-07   1759   경박한시민
2010-03   11367   미수맨
2016-12   4538   AKMU
2023-07   3297   막울었어요
2017-01   4902   LINKINPARK
2013-04   13023   파리대왕
2013-04   6784   회로쟁이
2020-07   2861   녹야산
2018-03   3812   김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