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81451 |
25 |
2015-12
1781451
1 백메가
|
|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56514 |
0 |
2014-05
5256514
1 정은준1
|
35252 |
PCIe 레인 개수는 CPU와 메인보드 칩셋에 종속되는 건가요? (5) |
마지막세대 |
2022-03 |
2061 |
0 |
2022-03
2061
1 마지막세대
|
35251 |
캡쳐보드에서 최대캡쳐해상도와 패스스루해상도는 어떻게 다른가요? (2) |
민사장 |
2020-10 |
5006 |
0 |
2020-10
5006
1 민사장
|
35250 |
HP MicroServer Gen10에서 VMware ESXi 설치 (2) |
커피 |
2022-04 |
3454 |
0 |
2022-04
3454
1 커피
|
35249 |
98SE S-ATA 질문 (4) |
방o효o문 |
2010-12 |
7837 |
0 |
2010-12
7837
1 방o효o문
|
35248 |
P5Q보드 E5450 개조바이오스 부탁드립니다.. (3) |
다은하은 |
2015-01 |
5845 |
0 |
2015-01
5845
1 다은하은
|
35247 |
하만카돈 오라 연결 질문 (2) |
SkyBase |
2017-03 |
5255 |
0 |
2017-03
5255
1 SkyBase
|
35246 |
제가 제온 E5450 개조 할려구하는데요 (4) |
제라투룰 |
2015-01 |
4144 |
0 |
2015-01
4144
1 제라투룰
|
35245 |
램 어디서 구입하세요? (4) |
victor |
2013-09 |
12444 |
0 |
2013-09
12444
1 victor
|
35244 |
혹시 안드로이드 팀뷰어 네트워크 구조에서도 되나요? (2) |
가빠로구나 |
2011-01 |
8087 |
0 |
2011-01
8087
1 가빠로구나
|
35243 |
[불타는 주말 리눅스 공부중]질문 vsftpd에서 failed 나오는데..... 원인을 모르겠어… (13) |
안형곤 |
2013-09 |
24810 |
0 |
2013-09
24810
1 안형곤
|
35242 |
cpu핀이 휜건지 모르겠습니다. (9) |
김민철GC |
2015-02 |
4445 |
0 |
2015-02
4445
1 김민철GC
|
35241 |
메모리 트리플 채널 관련 문의 드립니다. (4) |
갬비오 |
2011-01 |
10253 |
0 |
2011-01
10253
1 갬비오
|
35240 |
레이드 0으로 묶었다가 깨지면 자료를 살릴 수 없다는데... (14) |
Win31 |
2018-06 |
4146 |
0 |
2018-06
4146
1 Win31
|
35239 |
일반 PC 메인보드 파워 장착 관련 문의 (17) |
서울사람 |
2015-02 |
6203 |
0 |
2015-02
6203
1 서울사람
|
35238 |
인텔 ssd 520 vs 540s (4) |
이원재K |
2019-08 |
3574 |
0 |
2019-08
3574
1 이원재K
|
35237 |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랜스위치 설계 ? (3) |
MikroTik이진 |
2018-06 |
3426 |
0 |
2018-06
3426
1 MikroTik이진
|
35236 |
물품 대금의 절반은 입금 했는데 안 보냅니다. (2cpu 는 아닙니다.) (18) |
Win31 |
2018-06 |
5134 |
0 |
2018-06
5134
1 Win31
|
35235 |
intel rapid 컨트롤러 리빌드 문의드립니다 (4) |
엄군 |
2024-01 |
1660 |
0 |
2024-01
1660
1 엄군
|
35234 |
HP 마이크로서버 Gen8 관련 질문 (1) |
미녀와확고… |
2013-10 |
7747 |
0 |
2013-10
7747
1 미녀와확고…
|
35233 |
솔라리스 7 sparc용 어디서 다운 받을 수 있을까요... (3) |
하퍼데일 |
2017-03 |
3247 |
0 |
2017-03
3247
1 하퍼데일
|
F4.5 ~ 5.6 는 조리개값으로 가변조리개라는 소리고 70mm에서 4.5이고 210mm에서는 5.6이란 소립니다.
위의 렌즈를 사용하실때에 실내에서는 스트로보 힘을 빌려야 하시고, 야외에서는 쓸만합니다.
아직 구매전이시라면,
17-50mm/f2.8 탐론 + 35mm/f2 구성으로 가시면 웬만한 사진은 찍으실수 있습니다.
이렌즈가 8만원에 나와왔는대 값어치는 하나요?(SLR용입니다. 렌즈는 수동으로만 된다고 하내요.)
사진에 재미를 붙이고 싶으시면 50mm f1.8 하나 구입해서 먼저 찍어 보심이.. (단렌즈 중에 제일 쌉니다)
DSLR 이라면 바디는 AF 일텐데 렌즈도 AF를 장착하셔야 당연히 AF 가 됩니다
그리고 기타 이런 저런 정보를 주고받은것은 렌즈와 바디가 서로 잘 맞는 기종이어야 합니다
기계적으로 바디 마운트는 바디 제조사 마다 다르고 그래서 니콘용 렌즈 캐논용 렌즈 다릅니다
시그마,탐론같은 회사는 써드파티렌즈회사로서 니콘용 렌즈, 캐논용 렌즈를 만들어 냅니다
그런데 하드웨어적으로 렌즈가 장착돼서 작동하더라고 예를 들어 소니바디처럼 포커스이외에 다른정보를 주고 받는데
문제가 되는 호환 렌즈들이 있읍니다
구매하실때 잘 확인하셔야합니다
중고렌즈인듯한데 중고렌즈는 상태에 따라 값이 워낙 천차만별입니다
게다가 코시나라...요즘에 보잌트랜더 만드는곳이군요
간단한 렌즈 먼저 구비하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주로 저렴한 것으로는
50.8
18-70 mm 아빠번들
18-135 mm 할배번들
55-200 mm 애기망원 등이 있습니다.
버전이 몇 가지가 있는데 옛 모델도 쓸만합니다.
취향에 따라서 단렌즈(35mm혹은50mm 등)대신 망원렌즈를 갖추셔도 된다고 생각은 하는데요.(제 취향인.. ^^;)
많은 분들이 추천하기로는 단렌즈를 추천하시더군요.
많이 찍어 보면서 재미룰 붙이는데에 단렌즈가 유리하다는데요. 저도 그 점에 동의 합니다.
그럼 재밌는 사진 생활 하시길 기원합니다.
초보에게 알맞은 DSLR 키메라 중에서 가장 경제적이면서 망원렌즈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올림푸스가 좀 저렴한 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기본에 망원렌즈를 함께 구입했으면 하는데요, 기초지식이 전혀 없으니..,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하지만 미리 고려 하실 부분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가 올림푸스로 사진을 시작했습니다.
저렴하기도 하고 독특한 매력도 있고 해서 초심자로서 괜찮다고 생각을 합니다.
특히 올림푸스 렌즈들은 가격에 비해서 아주 뛰어납니다.
분명 거쳐 갈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
초심자에게 비용의 장벽이 낮다는 것도 중요한 것 같구요.
하지만 오래 올림푸스를 사용하려면 걸리는 것이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째로는 DSLR 시장에서 마이너 브랜드라 서드파티업체 쪽에서 렌즈를 잘 안 만들어 줍니다.
서드파티를 떠나서 중고 렌즈 구하기가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둘 째로는 자세히 설명하기 어렵긴 한데...
작은 센서 크기만 고집하는 전략 때문에 어느 정도 되면 화질에 대한 갈증이 생깁니다.
화질 때문에 여타 브랜드는 센서 크기가 작은 라인과 큰 라인을 모두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 큰 센서 쓰는게 고급 기종이죠.)
올림푸스는 사실 최고급 라인 자체가 없습니다.
중급기 까지만 시장에 내놓고 있죠.
사실 센서 크기를 떠나서 전자쪽 기술이 부족하다는 평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점도 분명합니다.
말씀드렸다 시피 렌즈의 성능이 뛰어나서 어느 정도 커버가 된다는 말도 할 수 있구요.
중급기들의 경우 워낙에 튼튼하고 신뢰성이 좋아서 험한 상황에서 걱정 없이 찍을 수 있습니다.
과거 올림푸스 카메라에 대한 향수도 어느 정도 있기도 하지만...
올림푸스 제품의 개성 때문에 올림푸스 고집하는 분들이 게시죠.
그리고 손떨림 방지 기능이 있는 렌즈들은 아주 비싸기 때문에...
손떨림 방지 기능이 바디에 들어가 있는 올림푸스는 초보자에게 꽤 괜찮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어두운 번들 렌즈로도 밤에 사진 찍을 수 있더라구요.
한 때는 작고 가볍다는 것도 장점이었는데 이젠 비슷한 제품이 모든 브랜드에서 나오니...
간혹 올림푸스의 아쉬운 부분을 이유로 비하하는 분들도 계신데...
그 내용들 중 대부분이 사실이고 그렇기에 올림푸스가 마이너 브랜드가 된 것이긴 하지만...
그 부분이 전부는 아니고 그래서 올림푸스가 비하 당할 이유 까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어짜피 사용하는 브랜드를 바꾸는 경험은 적잖은 분들이 하십니다.
올림푸스로 사진에 입문하시고 중급기로 넘어가고 싶어 지실 때 쯤 향방을 결정하시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도 모르는대 카메라 까지 손댈려고 하니 머리가 아프내요.
이것저것보고 탐론으로 하나 구매해야 되겟내요.
새것은 50만원이 제일 싼넘이내요.
저렴한 AF랜즈들은 많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다나와나 에누리 같은곳에 니콘랜즈로 검색해보시면
가격대별로 다양한 놈들을 보실수 있을듯 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늘 건강하세요.
노출계 안뜸니다...
무엇보다도 내가 사진찍는 이유가 무엇인지가 중요한것 같습니다.
아니면, 무엇을 찍고 싶은지 그것도 한번쯤 생각해보시는 것이 좋을것입니다.
그냥 일상의 삶을 찍는다면, 위에서 언급한 렌즈들 중 한개-일반적으로 표준 줌 렌즈 한개만 있어도 됩니다.
먼저 표준 줌 렌즈 한개를 가지고 이것저것 "많이 많이" 찍어보시고, 무엇을 찍을 것인가에 대한 결론이 도달하게
되시면 차차 어떤 렌즈를 구입해야 하는지 알게 되실겁니다.
카메라라는 물건은 배울수록 신기한 것 같습니다.
카메라에 대한 기능을 일상의 삶을 찍는 과정에서 모두 익히신 다음에 준비하셔도 결코 늦지 않습니다.
사진은 반드시 고급 카메라나 다수의 렌즈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닌것 같습니다.
"내공"을 쌓으시면 자연스럽게 "작품"이 만들어지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