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S 시스템 구축 관련 문의 (JBOD, RAID0)

뻐그   
   조회 36219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대학원 연구실에서 공학연산용 PC 클러스터(인텔 제온 W3520 기반 시스템 + 기가비트 이더넷)를 구축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작업 특성 상 작은 크기의 파일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random access보다 용량이 큰 파일을 (수십 MB가 보통이며, 분산처리가 종료된 결과를 merging할 경우 그 용량이 수백MB 단위로 올라갑니다) sequential하게 읽거나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현재는 필요 용량도 크지 않고 동시에 이뤄지는 작업도 그다지 많지 않아서 SAS 하드디스크를 S/W Raid 0(...)로 묶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별도의 DAS로 독립시키고자 합니다.

 

이것저것 알아보니 별도 전원이 포함된 스토리지 샤시를 구매해서 디스크를 장착하고, 여기에 JBOD 컨트롤 카드를 단 다음, 서버에 Raid 컨트롤러를 설치해서 사용할까 합니다만...

 

게시판 내용을 검색해보니 JBOD와 Raid 0가 각각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어서 제가 생각하고 있는게 맞는지 혼란스러워지네요 -_-;;

 

혹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가르침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40분 후면 새로운 한주의 시작이네요. 모두들 힘찬 한 주 보내시기 바랍니다 *^^*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디스크 구성에서 JBOD(Just a Brunch Of Disk)는 스패닝(Spanning)이라고도 하고 물리디스크 두개 이상을 마치 하나의 디스크처럼 만들어 주는 것 입니다. 예를 들어 200GB HDD와 300GB HDD를 하나로 합쳐서 500GB 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이 때 디스크는 용량이 같을 필요도 없고, 디스크가 동시에 엑세스가 일어나지도 않습니다.

쉽게 말해서 위의 예라면, 200GB 디스크의 용량이 꽉 차면 이후 300GB 디스크에 기록을 합니다.

성능이 향상되는 것도 없고, 내결함성도 제공되지 않으며 오로지 용량 늘리기 용으로 사용합니다. 보통은 임시용으로 사용하며 영구적인 사용목적으로는 권장하지 않죠.

더구나 스패닝으로 구성된 디스크중 하나의 디스크만 에러가 발생해도 전체 볼륨이 망가져 버리게 때문에 자료손실의 위험도 있습니다.

RAID0는 스트라이핑이라고도 부르며 (사실 스트라이핑을 RAID라고 부르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내결함성이 전혀 없거든요) 디스크 드라이브가 동시에 엑세스가 일어나서 디스크의 갯수가 늘어날수록 성능이 향상됩니다.

10개의 자료를 저장할때, 1개의 디스크에서는 10분이 소요된다면 2개의 디스크에서는 각각 5개씩 동시에 저장해서 5분, 5개의 디스크에서는 2분이 소요되는 것이지요.

하지만 스트라이핑 역시 구성되어 있는 디스크 중 하나만 에러가 발생해도 전체 볼륨이 망가지는 위험성은 안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패닝이나 스트라이핑은 임시 작업 공간의 용도로나 사용해야지, 자료 저장용으로는 위험하다고 생각됩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4개 이상의 디스크로 RAID5나 RAID6를 구성하시는게 내결함성과 성능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길이라고 생각됩니다.
배주규 2010-11
위에서 자세히 설명하셨고요.

만약에 200기가와 300기가를 Raid0으로 묶으면 400기가 볼륨이 나옵니다.
작은용량 기준으로 묶이거든요.

같은하드를 JBOD로 묶으면 500기가가 나오고요.
그냥 용량을 이어붙여주는 것이라서요.
근데 JBOD는 거의 안씁니다.
요즘 하드용량이 몇년이면 따불로 뛰는바람에, 위험하게 JBOD로 묶느니, 고용량 하드로 갈아타는게 낫습니다.
뻐그 2010-11
두 분 친절한 답변에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박창신님께서 답변해주신 내용 중 마지막에 있는 것 처럼 임시 작업 공간 용도로 사용할 목적이라 5, 6는 고려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어디까지나 '빠른 입출력' 속도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요... JBOD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라면 RAID 0의 입출력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테니 고려 대상에서 제외해야겠네요...

그렇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파일 서버에 (HP ML370 G5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 대의 SAS HDD를 연결하기 위해서는어떻게 해야할까요? 서버 자체 슬롯에 들어가는 2.5인치 디스크는 가격대 성능비나 속도(10,000rpm) 때문에 고려하고 있지않은 상황입니다 -_-;;

이런 경우에도 샤시 유닛을 이용해서 별도 전원 + 컨트롤러 연결을 통해 RAID 0 구성이 가능할까요 ?

SAS 600GB HDD를 이용해서 RAID 0로 6TB 정도를 생각하고 있어서 10개 남짓 디스크 추가가 필요한 상황이라 일반적인 상황에서처럼 시스템 내부에 디스크를 장착하기는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ㅠ_ㅠ
     
외장 포트가 제공되는 SAS 컨트롤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SAS 컨트롤러의 포트는 보통, 내장형의 경우 SFF-8087, 외장형인 경우 SFF-8088을 사용합니다.

이 케이블은 4채널이 하나로 묶여 있는 형태입니다.

정현님의 경우 외장형을 계획하고 계시니까 외장형인 SFF-8088 포트를 제공해주는 컨트롤러를 구입하시면 되겠네요.

포트 하나당 4개의 디스크 드라이브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므로 만일 채널당 1개씩 드라이브를 직접 연결해 쓰신다면 SFF-8088 포트가 2개 제공되는 컨트롤러를 꼽아주시면 됩니다.

기왕 구입하시는것 SAS 2.0 지원되는 놈으로 구입하시는게 좋겠고... 인텔 제품중에 보자면, 아래와 같은 것이 있겠네요.

http://www.intel.com/products/server/raid-controllers/RS2PI008/RS2PI008-overview.htm

이렇게 하면 디스크 8개까지 직접 연결하실 수 있고, 부족하면 컨트롤러 하나 더 꼽아주면 됩니다.


만일 컨트롤러 두 개를 사용하는것이 부담이라면, SAS 컨트롤러는 익스팬더라는 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채널은 확장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케이블은 하나만 꼽아줘도 디스크는 수십개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지요.

익스팬더는 2CPU의 성지인 조우연님의 45베이 나스 만들기편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lec&wr_id=562

샤시는 여기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슈퍼마이크로 제품 중에 아래와 같은 것을 선택하심 되겠네요.

http://www.supermicro.com/products/chassis/3U/836/SC836E16-R1200.cfm

여기에 샤시에 메인보드 없이 직접 DAS로 사용할 수 있는 [CSE-PTJBOD-CB2] 파워 컨트롤 보드와 [CBL-0166L]과 같은 외장형 포트를 만들어주는 아답터 케이블을 사용하시면 샤시를 DAS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외장형 DAS 스토리지는 내장형 스토리지를 꾸미는 것보다 상당히 금액이 플러스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외장 케이블 + 샤시 + 컨트롤 보드 등등)
     
창신님의 글에서 노파심에 한 줄 추가..

아답텍의 경우 8088 외장 포트의 경우 직접 하드와 연결이 안됩니다.
expander연결용이라고 합니다.
전부 해 본 것도 아니고 51645 달랑 하나만 해 본 것이라서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뻐그 2010-11
인터넷을 좀 더 찾아보니 http://kr.promise.com/storage/raid_series.aspx?region=ko-KR&m=263&sub_m=sub_m_2&rsn1=1&rsn3=1&statistic=VTrakEx10 이런 제품도 판매하는 모양입니다만 이런 제품들이 3U 유닛 서버+디스크 연결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가르침을 주실 수 있을까요 ^^;;
창고지기 2010-11
JBOD 설정과  JBOD 샛시를 혼동하시는 것 같네요.

하드디스크가 채워질수 있는 박스(익스팬더포함)이것을 JBOD 샛시라고 부릅니다.
이경우,  외장포트 RAID 컨트롤러 + JBOD샛시 연결이 됩니다.

그외에 JBOD 설정 이라는것이 있는데, 하드디스크를 RAID 레벨로 묶지않고,
개별 하드 또는 스패닝(용량만확장)하는 것을 JBOD설정 이라고 합니다.

두개 구분하셔야 합니다.


QnA
제목Page 3958/5731
2014-05   5268222   정은준1
2015-12   1793244   백메가
2018-10   4247   방전설
2024-05   2054   프로게이머
2016-07   5710   NGC
2019-12   2543   켄틀리12
2015-06   4504   김건우
2024-06   2248   galaxyfamily
2011-11   6134   Twin
2018-10   3420   차넷컴퓨터
2022-11   1803   엄청난x
2016-07   4715   토브
2018-10   5622   응애애오
2019-12   4194   신은왜
2016-07   5283   김윤술
2022-11   2345   범이님
2011-12   11271   최창현
2024-07   2099   전진
2019-12   3035   화란
2016-08   4618   메가날백
2015-07   11726   편한세상
2021-04   6444   건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