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로 쓸 컴퓨터, 어떤걸 선택해야 할까요?

전형준   
   조회 8298   추천 0    

안녕하세요? 신입 전형준입니다.

학교에서 제가 컴퓨터가 좋아서 멋대로 만든 동아리가 어찌어찌허다 컴퓨터 정보통신 기능반으로 승격되어 이번에 제대로 라우터, 스위치, 컴퓨터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네트웍 장비는 이미 결정난 상태라 컴퓨터만이 결제가 남았는데, 어떤 사양으로 뽑아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Vista를 Native로, VM으로 server2008과 Debian을 돌려 호스팅,DHCP,FTP,프린터서버등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만약 제가 지금 보유중인 i5 750 / 4G RAM PC와 HP Proliant ML115 로도 그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새로 사지 않아도 될텐데 교내 망 개선작업중이라 부하가 얼마나 걸리는지 알 방법이 없네요...

 i5 시스템은 VM두개 돌리는 것 까지는 무리 없이 잘 되는데 ML115는 오늘 외딴곳에 짱박힌걸 꺼낸(....)거라,,


생각하고 있는 선택지는
1. 둘다 새로 뽑는다.
2. 고대로 쓴다


인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박문형 2010-12
우선 가지고 계시는 것으로 돌려보고 필요한게 무엇인지 파악한 후에 필요한 자재를 구하시는 것이 좋을거 같습니다.
가상화 서버는 디스크 속도와 랜포트 속도가 중요합니다.
돈이 되면 레이드/FC 장비 및 4개 이상의 기가 렌포트를 구현하면 좋습니다.
2010-12
학생이신것같고, 글쓰신 분위기로 미루어보아 예산이 크게 많지는 않을듯해보입니다.

만약 예산을 이번에 사용 안하고 나중에는 못쓴다면 새로 구매하시는게 맞을것같구요, 그게 아니라면 지금 시스템으로 운영해보시고 필요한것을 나중에 사시는것이 좋겠죠.

그리고 목적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는데요, 네이티브로 비스타를 쓴다고 하셨는데, 그러 가상화기반은 vmware, virtualbox, 등이 될것같네요.

다르게 글을 해석한다면 2008서버의 hyper-v를 가상화기반으로 하여 데비안과 비스타를 올리신다는것일수도 있을것같은데요..

아직 결정된 사항이 아니라면 vmware esxi나 씨트릭스젠서버를 추천합니다.

어떤 서비스를 하실지 모르겠지만 지금 가지고 계신 i5 로도 시험적인 서비스로서 웬만큼의 성능은 보여줍니다.

위에 박문형님 말씀처럼 가상화에서는 디스크가 중요한데, 특히나 로컬디스크에서 가상머신을 돌리는 소규모 가상화의경우 특히 그러하지요.

글을 쓰다보니 길어졌는데요, 먼저 정확한 목적과 서비스 규모, 가용예산등의 정보를 알려주시면 좀 더 좋은 컨설팅을 받을수 있지않을까합니다.
전형준 2010-12
박문형님, 박영선님 댓글 감사합니다. (_ _)



일단 본문내용 정정하겠습니다.

아래는 과제 내용의 일부입니다.


1) PC-01
부록의 AD-SERVER를 참고하여 PC-01을 구성합니다.
지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본 값 또는 적절한 값을 입력하여 구성합니
다.
NIC의 이름을 E0로 지정하고 VMware Server를 설치 후 가상 인터페이스
VMnet01을 E0에 연결합니다.(Bridge)
AD-SERVER의 Host OS인 Windows Server 2008은 E0 장치를 네트워크 장
치로 사용합니다.
부록의 VM-FILE을 참고하여 VMware에 Guest OS를 구성합니다.
Guest OS의 하드디스크 크기를 50Gbyte로 하고 “D:?vmware?컴퓨터이름”
폴더에 가상디스크이미지가 구성되도록 합니다.
VM-FILE은 E0에 Bridge된 논리적인 장치 VMnet2를 eth0로 사용합니다.
Guest OS 인 Debian GNU/Linux 설치 후 모든 CD 또는 DVD를 소스리스트에
등록합니다.

2) PC-02
부록의 Client를 참고하여 PC-02를 구성합니다.
지정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본 값 또는 적절한 값을 입력하여 구성합니
다.
NIC을 3개로 하고 각각의 이름을 E0, E1, E2로 지정하고 VMware Server를
설치 후 가상 인터페이스 VMnet2, VMnet3를 각각 E1(VMnet2), E2(VMnet3)
에 연결합니다.
Client의 Host OS인 Windows Vista는 E0 장치를 네트워크 장치로 사용합니
다.
Guest OS의 하드디스크 크기를 30Gbyte로 하고 “D:?vmware?컴퓨터이름”
폴더에 가상디스크이미지가 구성되도록 합니다.
부록의 VM-MAIN을 참고하여 VMware에 Guest OS를 구성합니다.
VM-MAIN은 E1에 연결된 논리적인 장치 VMnet2를 eth0로 사용하고 E2에 연
결된 논리적인 장치 VMnet3을 eth1로 사용합니다.
Guest OS 인 Debian GNU/Linux 설치 후 모든 CD 또는 DVD를 소스리스트에
등록합니다.
USB무선랜의 이름을 WL0로 지정하고 Host OS인 Windows Vista에서 무선
랜 연결테스트 시에 사용합니다.


===========

두개의 컴퓨터가 같은 기능을 하는 줄 알았는데 막상 과제 읽어보니 다르더군요..


혹시 시간적 여유가 되신다면 아래 pdf문서를 참조해주셨으면 합니다.

http://skill.hrdkorea.or.kr/download!dwld.action?sysFileNm=2010J00336001.pdf&flfldr=taskmng&dwldFileNm=2010J00336001.pdf


가용 예산은 대당 200~250입니다.
2011-01
기능경기대회에 필요한 장비들이네요.

PDF문서를 보니 비스타PC에 가상머신 기반의 서버구축시험하는것이 대부분이네요.

가상머신/리얼머신에 OS 설치시 가장 영향이 큰것은 하드디스크입니다.

대회 대비 연습을 어떤식으로 하실지 모르겠는데, 반복숙달이 중요하다는 가정하에 부팅빠른 메인보드에 SSD를 추천드립니다.

메인보드는 인텔/슈퍼마이크로의 메모리 4뱅크짜리에 2G 네개 채우구요,

CPU는 i5, i7, AMD6코어 중에 고르시면 될듯합니다.

SSD는 가성비 좋은 인텔120GB 제품으로 하구요..

OS 설치시 ISO 사용금지라 되어있던데, iODD라는 장치를 사용하시면 ISO이미지를 외장씨디롬으로 마운트하니 좀 더 빠른 실습이 가능합니다.

역시 iodd에도 SSD를 사용하시면 좋습니다.

대략 계산해보면 PC가 대당 100만원, 인텔 40기가짜리 ssd 넣은 iodd가 20만원정도이니 두세트 240만원에 가능하겠습니다.

약간의 남는돈은 적당한 하드 두개 사서 마지막 실습때 SSD 대신 설치해서 경기장환경에 적응하시면 될것같네요.



쓰고보니 라우터가 생각나네요.

Cisco 2611은 중고로 10만원 안팎에 거래되던데, 어떻게 조달하실지도 생각해보셔할듯..


QnA
제목Page 3943/5730
2015-12   1791035   백메가
2014-05   5266103   정은준1
2012-03   5910   원상현
2017-08   4541   전설속의미…
2020-01   2593   룰루룰라흠
2014-04   3420   니포
2015-08   3929   송진홍
2018-12   2991   가상화공부중
2015-08   4747   김황중
2020-02   2920   코뿔사냥
2012-03   6577   홍인성
2018-12   6084   사랑하라
2024-09   1843   5620SAM
2018-12   2946   비엘이브
2024-09   1107   흥마
2016-09   4636   두슬아빠
2023-01   2733   Sikieiki
2023-01   1523   최강
2017-09   3739   인천이승현
2015-09   6686   김건우
2017-09   6247   람다읊는염소
2020-02   3455   이건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