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3.0외장하드로 NAS서버를 구축하려합니다.

정지혁   
   조회 21612   추천 0    

안녕하세요?

1개월전부터 궁금했던것이있는데 글쓰기권한이없어서 이제서야 질문 드립니다.

끝까지 읽고 답변부탁드립니다.

 

서버 1대에 USB 3.0 포트가 2개 있습니다.

 

아래주소의 USB 3.0허브 10개를 구입하여, 서버에 4포트 USB 3.0허브를 각각 꼽으면 USB 3.0포트가 2개에서 8개가 되겠죠?

 

http://blog.danawa.com/prod/?prod_c=1264204&cate_c1=862&cate_c2=886&cate_c3=1035&cate_c4=

 

그 허브에 4포트 USB 3.0허브를 4개씩 꼽아서 2군데 꼽으면 4포트 USB 3.0포트가 8개니까 총 32개 USB 3.0포트가 생기게됩니다.

 

USB 3.0지원하는 외장하드 케이스 32개를 구입하여 USB 3.0에 꼽고, 2테라바이트 하드디스크 32개를 구입하여 외장하드에 넣는다면.. (각 외장하드와 허브마다 전원선있음)

 

아주저렴하게 하드디스크 64테라바이트 NAS서버를 제작할수있을꺼라고 생각하고 저한텐 큰돈을 들여 시도해보려고합니다.

 

용도는 FTP파일서버이며, 예상트래픽은 200Mbps수준이기때문에 전체 읽기성능이 25Mb/s만 나와주면 만족하려합니다.

 

이제 질문 들어갑니다. (다른의견도 좋지만 아래질문은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1. 위에 제가 기획하고있는 하드웨어설계가 실제로 가능한건가요?

2. 허브 여러개 물리면 트래픽 지연이 생긴다고하는데 어느정도 심각한건가요?

3. 1기가 랜카드라면 실제로 다운로드 속도는 어느정도이며, 200Mbps회선일경우 동시접속은 몇명까지 될까요?

4. FTP파일서버에 겨우 25Mb/s(200Mbps)수준의 트래픽만 사용할건데 서버사양은 어느정도되야할까요?

5. 위 하드웨어를 사용했을때 향후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어떤게 있을까요? 그리고 추가 조언도 부탁드리겠습니다.

6. 추가로... 위 내용과 같은 설계로 USB 2.0일경우 어떨가요? USB 2.0은 이론적으로 480Mbps이지만 실제로는 200Mbps(25Mbps)수준의 속도가 나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어떨까요?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정지혁 2011-01
제 나름대로 몇개월간 고민한 하드웨어 설계방법입니다.
이론적으론 완벽할꺼라고 판단하고있는데 실제론 어떤지.. 정말 궁금합니다.
아시는것만이라도 꼭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서용환 2011-01
비전문가이며, 짧은 지식에서 답변 드립니다. 참조만 하십시요.

2 / 6 USB 방식은 전통적으로 CPU 의 리소스를 많이 가져다 쓰는 것 같습니다. 저렇게 구성을 하게 될 경우에는 CPU 에 부하가 너무 많이 걸릴 것 같습니다.

5. 안정적이지 못한 전원 공급이 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외장케이스 32개의 아답타를 관리하시는 것은 굉장히 힘드실 것 같네요.

차라리 다음의 하드웨어가 어떨까요?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hardware&wr_id=26800&page=5
곽순현 2011-01
불가능합니다. USB대역폭초과나옵니다. 인터넷검색요망.
종합하면,

안됩니다.
투시피유 2011-01
된다면 대박이겠는데요
저의 생각도 안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런식으로 usb를 많이쓰면 고장도 잘나는것 같던데요
정지혁 2011-01
왜 안되는겁니까?

32개 아답터 관리는 그렇다쳐도 되긴 되는거아닙니까?

USB 3.0의 대역폭이 5Gbps인데 대역폭초과라는것도 이해가 안갑니다.

usb많이쓴다고 고장이 잘난다는 이유도 이해가 안가는데요..?

이유를 알려주시던지 어떻게하면 32개 외장하드를 사용할수있을것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슈퍼마이크로 케이스 잘 알고있습니다. 하지만 제 시스템과 비교하면 가격대비 성능은 꽝이죠.

뭐가 좋든 제가 생각하고있는 usb 3.0 외장하드 시스템을 사용하기위해선 어떻게 해야할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현호01 2011-01
죄송합니다만. 2cpu 게시물에서 질문 내용을 보고 눈살이 찌뿌려지기는 처음입니다.
USB는 Universal Serial Bus의 약어입니다.

시리얼 버스라는 것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시리얼 버스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태로 디바이스들이 연결이 됩니다.

위에 회원님들이 대역폭 초과라고 말씀하시는것이 바로 그러한 부분입니다.

USB 3.0이 대역폭이 5Gbps라고 해도 32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를 연결해주면 외장하드 하나에 부여되는 대역폭은 얼마 되지 못합니다.

그리고 USB 3.0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PCI-E 1배속입니다. 이 부분 역시 디스크가 동시 엑세스가 일어나면 대역폭 제한이 걸립니다.

그리고 32개 드라이브를 싱글 드라이브로 구성해서 사용하는 것도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울 것 같군요.

레이드를 구성한다고 해도, 외장 하드디스크 하나가 고장나거나 아답타가 고장나면 레이드가 깨지거나 하는 불상사가 벌어질 것 같군요.



저는 위에 서용환님이 소개한 슈퍼마이크로 스토리지 샤시를 운영중에 있습니다. 가격대비 성능이 꽝이라고 하셨는데...  그건 스토리지에 담기는 자료의 중요도로 결정될 부분입니다.

저는 2TB 디스크 18개로 레이드를 구성해서 자료를 보관합니다. 36베이로 구입한 것은 차후 확장을 고려한 것이고, 필요할때마다 그룹 단위로 디스크를 구매해서 레이드를 구성해줄 것입니다.

님이 생각하시는 외장하드 조합보다는 비용이 훨씬 많이 들어갔지만, 그동안 살면서 일했던 제 기록들과 자료들이 모두 담겨 있기 때문에, 저한테는 기계장비보다 소중한 것들입니다.

다나와에서 보니 USB 3.0 외장하드 하나가 3~4만원 정도 하더군요.

허브 비용을 무시한다고 쳤을 때 30개를 구매한다고 했을 때, 90~120만원 정도 들겠군요.

전문 스토리지 장비들이 물론 그것보다 2배 정도 비용은 더 들어갑니다.

그렇지만, 전문 장비들은 디스크 오류에 대한 감지, 온도 및 샤시의 팬속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에러에 대한 알림(비프음이나 이메일)이 가능하며 레이드 구성시 디스크가 고장나면 여분의 디스크로 알아서 자동으로 교체해주는 핫스페어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툭하면 고장나는 아답터에 비해 80+인증을 받은 고효율 리던던트 파워 서플라이로 파워 하나가 죽어도 시스템은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파워 서플라이 역시 온도와 출력전압, 팬 회전수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성능에 대한 부분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www.2cpu.co.kr/bbs/board.php?bo_table=p_tune&wr_id=357

어떤 것이 가격대비 성능이 꽝인지 잘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PS : 댓글남기고 나니 조우연님이 먼저 올려주셨네요. 흐흐
박문형 2011-01
실제로 만들어서 1년간 돌려보시기 바랍니다.
제가 보기에는 1주일안에 여러 문제들이 발생을 하실 것입니다.
옛날에 USB 1.0-> 2.0 넘어 갈때 저런식으로 하드 10개 붙이고 쓰다가 데이터 날려먹은 곳을
알고 있습니다. (강남의 무슨 학원 전산실)

레포트 부탁드립니다.
나너우리 2011-01
1. 위에 제가 기획하고있는 하드웨어설계가 실제로 가능한건가요?

- 네

2. 허브 여러개 물리면 트래픽 지연이 생긴다고하는데 어느정도 심각한건가요?

- 심각이라고 하는 부분은 개개인의 차이가 잇는거겟죠.? 스펙상으로는 전혀 문제 없어 보입니다.

3. 1기가 랜카드라면 실제로 다운로드 속도는 어느정도이며, 200Mbps회선일경우 동시접속은 몇명까지 될까요?

- 동접은 200M 회선이면 일반 커뮤니티는 돌릴수 있는 수준입니다. 회선걱정으로 동접얼마될까 걱정할
  필요는 없는 정도의 속도 입니다. 그리고 기가비트는 평균 50M는 나와야 기가비트라고 볼수 잇겟죠

4. FTP파일서버에 겨우 25Mb/s(200Mbps)수준의 트래픽만 사용할건데 서버사양은 어느정도되야할까요?

- 그정도 트래픽이라면 요즘 PC면 모두 커버가 가능할듯 보입니다.

5. 위 하드웨어를 사용했을때 향후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어떤어떤게 있을까요? 그리고 추가 조언도 부탁드리겠습니다.

- 별도의 문제점은 없어보입니다. 관리가 문제일듯 보이는데 제가 해본게 아니라 딱히 말씀드릴것이 없네요.

6. 추가로... 위 내용과 같은 설계로 USB 2.0일경우 어떨가요? USB 2.0은 이론적으로 480Mbps이지만 실제로는 200Mbps(25Mbps)수준의 속도가 나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어떨까요?

- 꾸준한 속도는 어렵지 않을까 보입니다. 아무래도 3.0규격이 신버젼이고 엄청나게 대역이 높아졋으니
  25M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Ps. 더 아는게 없어놔서 개인적인 쪽지로의 질문의 거부합니다. 뉴뉴
김상일 2011-01
질문과 중간에 리플을 보니 된다고 믿고 다른분들의 말을 들을 생각이 별로 없어보이는 질문이네요.
된다고 생각된다면 그냥 하시죠..그리고 후회하시면 됩니다.
유영근 2011-01
현재 많이 사용하는 USB2.0만 해도 허브&2개이상 달아서 동시에 쓰고 읽기만 해도 대역폭때문에 버벅대기 일수 입니다. 또한 포트당 허용되는 대역폭이 있습니다. USB3.0도 똑같구요.
그리고 USB외장하드 많이 사용해보셨는지요? 24시간 돌리는 서버에 돌릴만큼 신뢰성이 좋다고 생각은 못되네요... 외장하드에 달려나오는 파워또한 오래가지 못합니다.
정지혁 2011-01
모든분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외장하드 회사의 전문가와 통화해도 직접해보는것말고는 알수가 없다네요.

USB 3.0이 나온지 얼마안되서 시도해본사람이 아무도 없으니 답이 안나오는군요.

돈날리는셈치고 구입해서 1개월간 틀어놔봐야겠네요..
박문형 2011-01
외장 하드박스에 하드 넣고 USB로 사용할때 보통 데이터를 날려막는 경우를 겪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드 파티션이 안보이는 것이 대표적인 것이고 이유는 안에 컨트롤러 기판 불량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게 문제는 다른 외장하드로 옮겼을때 데이터가 살아나는 경우가 잘 없다는 것인데요.
이유는 일종의 암호화 기능 때문이라네요.

외장 하드박스를 구입하실때에는 꼭 팬이 달리서 방열에 문제 없는 것으로 고르시길 바랍니다.

저는 외장 하드박스를 안 믿는지라 (집에 랙마운트 핫스왑 리던던트 파워 샤시를 사용하기에)


QnA
제목Page 3933/5730
2015-12   1792337   백메가
2014-05   5267350   정은준1
2018-08   6512   컴박
2014-03   6512   VSPress
2019-04   6512   파렌하잇
2008-02   6512   조재현
2012-03   6512   김영한
2012-03   6512   하루
2005-06   6512   장승식
2008-02   6512   오준호
2005-08   6512   한문
2006-12   6512   송화식
2012-01   6512   병맛폰
2012-05   6512   안성현
2004-10   6512   김기철
2015-05   6512   김제연
2020-12   6512   검은콩
2012-04   6513   2CPU최주희
2017-01   6513   이대범
2013-01   6513   딸기대장
2016-05   6513   김도형
2013-10   6513   하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