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cpu 초절정 고수님들께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조회 6104   추천 0    

안녕하세요.

저는 여성의류 수출 업체에 다니고 있고 부평에 서식하고있는 신입 입니다.  
얼마전에 2cpu 를 알게 되었고 게시판 글 보다 보니 초절정 고수님들이 많이 계신것 같아 질문 여쭙습니다. 

저는 12년 전에 전산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해서 약 5년간 전산 짭밥(프로그램개발 및 사업관리)을 먹고 
그 뒤로 이쪽 무역업계에 종사해왔습니다. 그동안 무역쪽 일을 하면서 과거에 전산업계에 몸담았다는 이유로  
회사의 모든 컴퓨터 관련 업무는 제가 도맡아 합니다..  pc수리까지.. ^^

회사에서 업무가 현재 모두 액셀로 작업을 하고 있고 좀 비효율적으로 데이터 관리되고 있어서 
업무용 프로그램을 좀 만들려고 합니다.

1. 요구 사항 
   - 총 사용자는 50여명( 서울 사무실 - 5명, 인천 본사-30명, 베트남 해외 공장-15명)
   - OLTP DB
   - 주로 1MB정도의 파일들이 DB로 관리 되어야 하고 (해외 바이어가 옷 스타일별로 보내주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 하루 DATA 발생량은 50~100M 정도 
   - 업무시간에 집중적으로 접속
   - 24시간 운영될 필요는 없으나 파일은 안정적으로 보존 되어야 함.
   - 안정적인 파일서버까지..

2. 질문사항
   - 요즘 최신의 PC (i7, 투반 등)로 위의 DB 부하 및 파일 서버 까지 가능 할까요?
   - 가능하다면 raid 구성을 하고 싶은데 적정한 raid 카드 및 HDD 추천 부탁 드립니다. 
     (장터에 보이는 BRI10, P410같은 것은 저같이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가 쓰기 괜찬을까요?
      욕심같아서는 P410 으로 HDD 4개 달아서 RAID 10 으로 쓰고 싶습니다만...)
      메인 보드랑 같이 구매했다가 RAID 카드 안붙을까봐도 걱정이네요.. 
   - PC로 불가능 하다면 중고 매물로 가끔 올라오는 DUAL CPU 서버는 괜찬을까요?

언제나 그렇듯이 회사에서의 요구사항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이루어 내야 합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의견 부탁 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monan 2011-02
개인적인 소견으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이루시더라도
기본 마지 노선은 필요하다고 봅니다.
실제 업무용으로 사용되는 장비는 하드웨어 비용이아닌
데이터의 가치가 더 중요하거든요.
여기 고수님들이야 눈감고도 본인 하드웨어 자가 AS가 가능하니
부품 사다가 이리저리 지지고 볶지만, 업무용 장비는 일단 안정성이기 중요합니다.
실제 데이타 양으로 봐서는 하이 퍼포먼스를 요구하는 정도는 아니니
요즘 나오는 엔트리급 서버로도 충분히 커버가능하니
완제품 엔트리급으로 장만하시고 파워 리던던시 추가, 디스크 옵션 추가해주시면 될듯 합니다.
캐쉬 메모리 있는 레이드 카드 추가 하시면 비용이 꽤 들겠지만, 그냥 RAID 10정도라면
요즘 서버로 나오는 보드 앵간하면 온보드에서 지원가능 할 듯 합니다. 
비용도 200만 내외로도 가능할듯 하고요 게시판 좀 잠복하다 보면 가끔 올라오는것도 있네요
우앙뿌앙 2011-02
P410 애기가 나와서 뜨끔 ;;

저도 윗분 말씀이 맞다고 생각해요

제 직장이 서버/웍/PC 취급하는곳인데..


저희회사 서버 ... 사양이..

E7500 + P5Q + 시소닉 400 파워 씁니다 -_-  정말 보잘것 없죠

거기다 케이스도 3만원짜리라서 -_- 하드가 4개만 박히더군요..

나머지 2개는 그냥 주렁주렁 메달려있습니다.


서버의 활용 용도는 

외부 에서 는 FTP 접속이라던지  SW 설치..

내부에서 대용량파일 (기가단위 각종 이미지 파일..등등) 저장or 불러오기

정도 하는데 부족함이 없습니다...

1년에 한두번꼴로 HW 문제 생기는거 빼고는 뭐 잘사용하고있습니다.


각설하자면

윗분 말씀처럼  요즘 나오는 엔트리급 서버로도 충분하리라 봅니다.

유지보수 자신이 없으시다면  워런티 가 긴 서버를 구매하시는것도 좋은방법이겠죠
현재 요구되는 성능은, 하드웨어 사양을 논해야할 정도는 아닙니다. 중간이상 성능의 데스크탑이나 엔트리 레벨 서버 정도면 충분한 성능이죠. 안정성을 위한 부분을 고민하는 것 외에는 큰 의미가 없겠구요.

다만,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50명에 대한 커넥션이 항상 살아 있어야 하느냐, 아니면 필요할때만 데이터를 주고 받느냐에 대해서 명확한 기준을 두는 것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스카이 2011-02
조립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델의 엔트리급서버를 구입하세요.

아무리 작은 규모의 회사라 하드라도 서버는 안정성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파워는 반드시 리던던시로, 하드디스크는 반드시 레이드5 정도의 구성이 가능한 장비로 구입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몽몽 2011-02
초절정 고수의 답변이 필요해보이지는 않네요.
그냥 IBM x시리즈 서버 아무거나 사면 되겠네요.
구매시 워런티 3년은 무상입니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 라는 것은 인프라 전반적 측면에서 볼때나 의미가 있는 것이고요.
단순 H/W 구매하는데 그런거 없습니다.
비싼 만큼 좋은 겁니다.
허수아비 2011-02
맞습니다.

보통 서버 무상 3년이니까 무난한 HP DL160, 320, 360 같은거 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그리고 pc보다는 서버로 해주셔야지 다른 사람 손 안타고 (별다른 것은 없지만 안만지더라구요.) 안전하게~

그러니 너무 큰 낭비 아니면 적은 비용이라도 서버랍시고 사 놓는게 좋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평범한이 2011-02
고수님들 답변 감사 드립니다.
메이커의 엔트리 서버로 알아봐야겠습니다.
한원준 2011-02
업무에 클라우드 서비스 적용해보시는건 어떠신지... 구글독스, 캘린더... 구글앱스로 관리하는 것도 생각해보심이...


QnA
제목Page 3913/5725
2014-05   5244995   정은준1
2015-12   1770384   백메가
2011-02   7781   송석근
2011-02   6104   다롱이
2011-02   8048   일반유저
2011-02   8285   유호준
2011-02   9412   6툴
2011-02   8546   김건우
2011-02   9560   유호준
2011-02   20399   viper9
2011-02   7810   불무골
2011-02   14660   홍상훈
2011-02   8756   1CPU지창훈
2011-02   8166   이정근
2011-02   7317   전근현
2011-02   9746   조명수
2011-02   6983   허수아비
2011-02   8385   우야노
2011-02   7201   FreeBSD
2011-02   6496   김호성
2011-02   21716   두슬아빠
2011-02   6483   원주멋진덩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