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7) |
정은준1 |
2014-05 |
5265633 |
0 |
2014-05
526563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790632 |
25 |
2015-12
1790632
1 백메가
|
36942 |
PCI-X 용 SAS RAID Controller 추천 부탁드립니다 (3) |
GoodWolf |
2012-12 |
5945 |
0 |
2012-12
5945
1 GoodWolf
|
36941 |
블랙박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찬이 |
03-27 |
526 |
0 |
03-27
526
1 찬이
|
36940 |
rhel 3 버젼 다운로드 가능한곳이 있을까요? |
웰쉬코기 |
2015-12 |
3369 |
0 |
2015-12
3369
1 웰쉬코기
|
36939 |
롬라이터 관련 질문 (11) |
울과기펩시충 |
03-31 |
458 |
0 |
03-31
458
1 울과기펩시충
|
36938 |
이거 혹시 하드디스크 고장인건가요? (7) |
송주형 |
2019-03 |
4497 |
0 |
2019-03
4497
1 송주형
|
36937 |
intel 8코어 cpu 초소형 보드 (11) |
녹야산 |
2020-05 |
4009 |
0 |
2020-05
4009
1 녹야산
|
36936 |
넷북을 만들려고하는데 초고속 부팅이되는 OS는 뭔가요? (11) |
푸릉이 |
2009-11 |
7846 |
0 |
2009-11
7846
1 푸릉이
|
36935 |
32비트의 윈도우7에서 64비트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할까요? (4) |
일삼제로 |
2019-03 |
4174 |
0 |
2019-03
4174
1 일삼제로
|
36934 |
[이상증세문의]AMD 780 칩셑과 SSD? (4) |
퍼싱글 |
2016-11 |
4729 |
0 |
2016-11
4729
1 퍼싱글
|
36933 |
다중 게이트웨어 ping google.com 을 치면 192.168.1.1 (3) |
MemoryDB |
2012-12 |
6803 |
0 |
2012-12
6803
1 MemoryDB
|
36932 |
이런 용도에 적합한 스캐너 추천 부탁드립니다. (6) |
나비z |
2016-11 |
5112 |
0 |
2016-11
5112
1 나비z
|
36931 |
OS 라이센스 문의.. (3) |
안형곤 |
2009-11 |
6760 |
0 |
2009-11
6760
1 안형곤
|
36930 |
FreeNAS USB에 설치 (1) |
테돌아이 |
2014-08 |
5756 |
0 |
2014-08
5756
1 테돌아이
|
36929 |
윈도우 폴더 합치기 명령어 중 이런 것도 가능할까요? (8) |
나비z |
2016-11 |
8939 |
0 |
2016-11
8939
1 나비z
|
36928 |
spool/mail 에 쌓이는 로그 (4) |
이지포토 |
2013-01 |
6139 |
0 |
2013-01
6139
1 이지포토
|
36927 |
gen8 오전 9시 팬 소음 발생. (2) |
깅또깡 |
2018-01 |
4395 |
0 |
2018-01
4395
1 깅또깡
|
36926 |
전류 높은 원형 전원잭 있을까요? (11) |
컴박 |
2021-10 |
2347 |
0 |
2021-10
2347
1 컴박
|
36925 |
안녕하세요 2cpu구성해보고싶어서 가입하게되었습니다.. 전문가 분들에게 질문좀 드… (12) |
Wnahd |
2018-01 |
4189 |
0 |
2018-01
4189
1 Wnahd
|
36924 |
이런 기기제작은 난이도가 높을까요? (18) |
두포리 |
2015-12 |
5005 |
0 |
2015-12
5005
1 두포리
|
36923 |
pc에 해상도 안맞는 모니터를 연결하였을 때 어떻게 조정해서 띄울 수 있나요? (2) |
김건우 |
2015-12 |
4780 |
0 |
2015-12
4780
1 김건우
|
아마 종류로도 HackTool 이런식으로 잡힐겁니다.
오진이 아니고, 때에 따라서 위험하게 사용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일종의 경고차원으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하지만 kaspersky의 경우 악명높은 해킹툴은 악성코드를 내포하지 않았더라도 자동으로 삭제해버립니다.
제 경우는 테스트 목적으로 확보해놓았던 중국툴들이 그랬었습니다.
직접적으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만 빼고는 그냥 놔두기로 결정했습니다.
전염성 바이러스라고 하던 녀석들 잘만 실행했었는데 시스템 파일에 감염이 안된걸
보니 확실히 서버용 O/S가 이런쪽으로 방어가 잘 되어있나 봅니다.
1년 넘게 대탑겸 서버로 사용중인데 하나도 걸리는게 없내요~
커널 구조가 데탑에 비해 엄격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드라이버나 기타 프로그램들을 설치할 때 설치가 안되고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기본적인 보안이 데스크탑보다 상향조정되어 있고,
데탑처럼 이것저것 설치해서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데스크탑처럼 사용하시고 전염성 바이러스로 의심되는 파일을 실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시스템 파일이 감염이 안되었다는 것은 조금 걱정이 되네요.
즉, 위의 상황이 있었음에도 백신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이 시스템 안에 바이러스가 없다고 장담을 못한다는 건데요.
바이러스의 변종제작과 백신우회속도가 백신의 바이러스 패턴 업데이트 속도보다 훨씬 빠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