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간에 데이터 전달 개선방법문의

   조회 6106   추천 0    

서버 두대를 DC로 묶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DFS 네임스테이스를 사용할 예정이고요 각각 서버에는 NIC가 두개뿐이라서

각각1개씩은 인터넷 전용선(WAN)에 물려 있고 다른 하나는 HUB에 물려서 사내 LAN으로 사용하고 있씁니다.

아직은 트라픽이 많지는 않지만 앞으로 데이터가 늘어나면 트라픽이 많이 증가할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서

추가 장비를 뭘해야하나 고민중에 있습니다.

 

대충 상황을 아실것같아서 중략하고요

 

어떤 장치를 구입하면 서버간에 데이터 전달을 개선할수 있을까요..

2포트 이상의 NIC를 생각하고 있고요.. 장터에 쿼드포트도 팔기도 하기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만일 NIC를 추가하는것이 최선책이라면 크로스 케이블로 다이랙트로 연결해야하는지 아님 HUB에 물려야하는지

사실 서버에서 바로 연결되는 허브는 성능이 좋으것이 아니라서요.. 사내 인터넷을 공유해주려는 ipTime X5007장비라서요..

중간에 3com 기가허브가 있지만 그것 사무실에 있고 대충 거리가 40여미터 정도 떨여 져있어요.

서버가 시끄러워서 따로 떨어진곳에 두었기에요.

 

좋은 의견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2011-04
쓸만한 기가빗스위치 하나 사시거나 CAT.6케이블을 사서 온보드이더넷 두포트를 티밍으로 묶으시구요, WAN은 100메가 이하일테니 싸고 안정적인 100메가짜리 인텔랜카드 두개 사서 하나씩 꽂아주시면 경제적으로나 성능면에서나 어느정도 향상을 꾀할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AKs 2011-04
WAN쪽은 걱정할 필요가 없고, 고민은 LAN측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실제 사용에 있어 1G라는 속도가 그리 늦은 속도는 아닙니다. 이론치 대로만 뽑아낼 수 있다고 하면 어지간한 수의 사용자들도 커버가 가능한 속도입니다. 되려 DISK나 어플리케이션의 문제 등으로 인해 1G의 속도를 뽑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다고 보여집니다.
아울러 DC간의 직접연결을 언급하고 계시는데, 데이터 동기화 때문에 그러시는 건가요?


QnA
제목Page 3879/5728
2015-12   1781478   백메가
2014-05   5256534   정은준1
2015-09   4461   로그아웃
2014-05   5666   악땅
2015-09   4134   푸하히
2016-09   19710   AplPEC
2017-09   4180   블루영상
2009-03   8789   차평석
2014-05   3811   윈도우10
2023-02   2411   djkneg883
2015-09   4002   양윤영
2017-10   3219   갓영구
2021-06   3259   오성기
2009-04   6014   머라카는데
2023-02   2947   한효석
2009-04   8414   김상일
2012-06   5438   포스셔니
2016-10   4966   쌍cpu
2024-12   1285   마나아
2014-06   6889   박상범
2020-03   3287   정의석
2015-10   4172   최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