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독] 처음 오시는 분을 위한 안내 (734) |
정은준1 |
2014-05 |
5119213 |
0 |
2014-05
5119213
1 정은준1
|
|
(광고) 단통법 시대의 인터넷가입 가이드(ver2.0) (234) |
백메가 |
2015-12 |
1654631 |
25 |
2015-12
1654631
1 백메가
|
20571 |
티밍에 관해.. (2) |
Larry |
2011-02 |
8316 |
0 |
2011-02
8316
1 Larry
|
20570 |
제온 보드 구성 문의 드립니다.. (6) |
문동식 |
2004-03 |
8316 |
46 |
2004-03
8316
1 문동식
|
20569 |
부팅이 되지 않습니다. 제 실력으론 좀 어려운듯 하여... (7) |
최정수 |
2004-03 |
8316 |
22 |
2004-03
8316
1 최정수
|
20568 |
메모리DUMPING 에 대하여 문의 드립니다 (4) |
이관웅 |
2004-07 |
8316 |
31 |
2004-07
8316
1 이관웅
|
20567 |
SAN을 공부하고 싶은데요. (3) |
남성룡 |
2010-12 |
8316 |
0 |
2010-12
8316
1 남성룡
|
20566 |
led 형광등 구입하려고합니다. (8) |
장동건2014 |
2013-11 |
8317 |
0 |
2013-11
8317
1 장동건2014
|
20565 |
제온 2.4기가에 가장 적합한 운영체재는 뭔가요..? (7) |
김동현 |
2004-03 |
8317 |
31 |
2004-03
8317
1 김동현
|
20564 |
유니텍 RAID 개조 혹시 아시는분? (9) |
박현문 |
2004-02 |
8317 |
3 |
2004-02
8317
1 박현문
|
20563 |
Z420 windows 10 설치 오류 (10) |
이상복 |
2016-12 |
8317 |
0 |
2016-12
8317
1 이상복
|
20562 |
7200rpm sata 시게이트 바라쿠다 and 히다찌 울트라스타 (2) |
밥한끼 |
2013-07 |
8317 |
0 |
2013-07
8317
1 밥한끼
|
20561 |
회사 개인자료 백업의 적절한 방법... (13) |
김도현 |
2014-09 |
8317 |
0 |
2014-09
8317
1 김도현
|
20560 |
가정용 콘크리트 드릴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0) |
인생여전 |
2016-06 |
8317 |
0 |
2016-06
8317
1 인생여전
|
20559 |
옵테론 레퍼런스 쿨러 스펙에 대해서 아시는분.. (1) |
심규상 |
2004-04 |
8317 |
72 |
2004-04
8317
1 심규상
|
20558 |
E5450... GA-EP45-UD3R 개조 바이오스 설치 방법 부탁드립니다 (4) |
빡구 |
2015-09 |
8317 |
0 |
2015-09
8317
1 빡구
|
20557 |
윈도우10 ps/2 마우스 키보드 인식 불가 해결 방법 부탁드립니다 (3) |
두cpu |
2017-12 |
8317 |
1 |
2017-12
8317
1 두cpu
|
20556 |
아답텍 2940UW의 호환성과 바이오스 업데이트 (1) |
김주영 |
2004-07 |
8318 |
12 |
2004-07
8318
1 김주영
|
20555 |
[문의]웹프로그래밍 공부순서 또는 방법? (15) |
퍼싱글 |
2016-08 |
8318 |
0 |
2016-08
8318
1 퍼싱글
|
20554 |
알리의 micro sd 512gb 29.41달러...라는데 믿어도 될까요? (15) |
김건우 |
2017-03 |
8318 |
0 |
2017-03
8318
1 김건우
|
20553 |
i3-6100 -> amd 5 2400g 로 바꾸면 동영상 편집 많이 차이날까요 (16) |
블루모션 |
2018-06 |
8318 |
0 |
2018-06
8318
1 블루모션
|
20552 |
2TB 하드 추천좀 해주세요 (4) |
임진욱 |
2010-01 |
8318 |
0 |
2010-01
8318
1 임진욱
|
Vostro 230s 슬림 + 21인치 와이드 + 3년 현장서비스 + Intel 4500 내장 VGA + 320GB Sata HDD + 4GB RAM, E5800(3.2Ghz) 하니..부가세 포함, 약 90만원이네요.
좋은정보 고맙습니다.
웹에서 삼성 PC 중 OS없는 넘으로 하시죠.
그래픽 저렴한것 추가하시면 좋습니다.
약국pc라고 구매결정하기가 만만한게 아니네요. 오히려 쾌적한 IDC에서 365일 돌아가는 서버구매하기가 편한듯합니다. ^^
같은 솔루션 5~6년전에도 잘 쓰셨단 이야긴데, 그때 사양이... ^^;
오랫동안 말썽없이 잘 돌았으니 다시 대형벤더의 서버가 끌리는거죠. ^^
별거안되는 프로그램을 돌릴지라도, 저사양보단, 나름대로의 고사양 컴퓨터가 더 좋은것같습니다;
잘 모르시는 분이라도 어느정도 빠른컴퓨터와 느린컴퓨터는 구분하시더군요-
그냥저냥 사양은 안좋아도
잘 굴러가더군요
775핀용 펜4 였는데요
듀얼코어만 되도 충분할것 같은데요
굳이 레이드까지 쓰고 하드가 테라까지 필요할까요
차리리 적당한 itx 로 가는것은 어떠신지요
아니면 작은 hp 마이크로나..
월3~4만원선이면 3년 단위로 계약해서 사용 가능 합니다.
고장나면(하드웨어) 1:1 교체 됩니다. 속썩이는것보다 훨씬 이익 입니다..
그냥 대충 조립품수준이면 충분합니다.
말썽이나면 처방전입력이안되고 환자에게 돈을받을수 없는경우인데
컴에 걸리는 부하자체는 거의 없음
대부분 웹써핑등에 문제때문임
그리고 조제료프로그램공급사에서 원격으로 처치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리 별문제 안생깁니다.
그러나 인터넷망의 안정성을 1순위로 고려 해야 합니다.
저같은경우 트루이미지로 백업만들어 놓고 말썽생기면 그냥 아무생각없이 복구합니다.
단 처방전관련프로그램은 D등에 깔아서 자료 안날라가게 만 하고요
사실자료날라가도 하룻밤새우면 복귀가능....기껏해야 1개월분임
말썽이나는게 하드웨어적말썽보다도 프로그램....앉아서 한가할때 심심하니까 여기저기 들쑤시고
다니는것~~~ 모니터에 경고문구 붙여놓았음(웹써핑하면 자동폭파됨!!!!)
관건은 이것이 아닐까 합니다만. H/W 자체적으로 3년 A/S 가능한 제품을 사용 하는것이며 듀얼 이상(포함)만
된다면 까딱 없습니다. 사실 서버나 웍스를 둔다는거 좀 모랄까 닭 잡는데 소 잡는 칼 쓴다는 표현이 맞습니다.
데이터가 문제인데 데이터 자체 보호를 위해 그냥 저렴한 내장 Raid 쓰는 정도면 어떠실런지.
약국 프로그램은 딱 MS-SQL Express 버전 이나 ASA 정도만 씁니다. 이 자체가 CPU를 싱글만 쓴다는 것이 웍스나 서버를 두기에는 아깝다고 생각 듭니다. 비오면 손님들 때문에 습기차고 날 좋으면 손님들 때문에 먼지 투성이 이런 문제점이 있습니다만 같은 상황이라면 괜춘한 컴퓨터나 웍스도 상황은 같다고 봅니다. 저도 병원 + 약국 쪽이 주 무대 인지라. 데이터를 보호를 위해 저렴한 Raid 구성 해 주시고 컴퓨터 설치시 프로그램 설치 하러 올 겁니다. 프로그램 설치 끝 나고 나면 Zconvert(무료버전) 정도로 이미지 떠 주시고 보관만 잘 해 주시면 되리라 보입니다. 음 백업 시스템 까지 갖춘다면 금상 첨화 이긴 합니다만 환경 여건상 잘 못 하면 더 망가집니다. USB 외장 이런거 달아 놨다가 툭 건디서 떨구면 뽀글 뽀글.
프로그램도 업데이트를 해야 하고 말입니다.
저 위에 적은 DLL 화일을 악용 하면 대략 실명 조회도 60-80%는 진행 가능 합니다. 내국인 및 주민등록증을 받은 외국인 까지 말입니다.
2년전까지만 해도 셀러론 800도 있었는데 한차례 업그레이드해서(저전력 모델들이 나와서)
지금은 amd 3200+ ram 1GB ~ 이상급이지만 사양은 충분하고도 남습니다.
고장날 요소를 최대한 줄이면 램모듈1개, 내장 VGA, 하드 1개 (약국에서 미러링 해놔도 어차피 복구 하려면 누군가 파견나가야지 혼자서는 절대 못합니다. 그냥 고스트나 설치해 놓는게 최고입니다.)
저는 이런 류들은 동네 제일 가까운 주연컴퓨터 대리점에서 제일 싼 모델로 구입하라고 조언합니다.
삼성, dell.. 등은 서비스 센터에서 a/s 하지만 주연컴퓨터는 보통 동네 대리점에서 왠만한 a/s 까지 진행합니다. 소프트웨어 a/s는 어차피 약국프로그램 회사에서 월사용료 주고 해결하는 부분이구요(백업까지), 문제는 하드웨어인데, 가장 빨리 달려 올 수 있는 주연이 최고라고 생각합니다.
단, 구입시 주인장과 단단히 합의 하는 거죠 고장나면 무조건 달려와야 한다고.
아니면 제일 가까운 동네 업체에서 조립품 구입해도 되고요.
약국은 실시간으로 처방전 들어오고, 처리해야 되기 때문에,
어차피 시간싸움이고요. 재해 복구 시간이 단 10분이라도 빠른게 장땡입니다. a/s 비용 몇만원 차이는 둘째 문제죠.
병원급 이라는데는 동의 할 수가 없군요. 사용하시는 프로그램이 혹시 의사랑 이나 네오 이신가요?
의원급은 DataBase 자체를 처음 초기엔 싱글용을 씁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그 의원이 잘 된다면 결국 그곳도 서버(장비)와 DataBase 를 상용 제품으로 변경 하여야 합니다. 이 부분은 에초에 프로그램 회사에서 이야기를 해 주지 않습니다만 데이터의 급격적인 증가로 인해 문제에 봉착 하게 되면 이실 직고를 하게 됩니다.
약국과 병원 및 의원은 자료 보관 및 폐업 등의 문제로 인한 데이터 관련하여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이 있으며 그나마 약국은 향정마약 외 제품은 좀 낳을 겁니다.
의원급에 추천 하는 서버용 컴퓨터(말만 서버용이지 일반 컴퓨터 입니다.) 조차도 의사랑에서 나오는 직원들은
Raid 가 몬지 모릅니다.(일부 지역만 그렇게지요) 더욱이 웃긴건 장애가 생겼는데 그 장애 해결을 위해 달려온 직원이 모르는건 둘째 치고 그래서 선임에게 연락 했더니 Raid 사용 하지 말랍니다. 자세히 이야기 나눠보니 장애나서 데이터 날라가면 그 데이터에 관한 복구 책임은 의사랑에 있으며 비용은 소비자 부담이랍니다.
참 답답 해서 본사하고 전화 통화해서 마무리 지은적이 있습니다만(다행이 본사쪽도 인연이 있으신분이 계신지라)
저의 경우는 이렇습니다. Raid 를 구성해 둡니다. 윈도우 및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 합니다.
의원용 프로그램 설치 및 DataBase를 설치 의뢰 합니다. 단 두번째 파티션에 DataBase 화일을 둡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운영 체제 있는쪽 파티션을 이미지 뜹니다. DVD로 구워두고 사본을 복사해서 제가 가져 갑니다.
장비를 운영할 담당자에게 교육을 시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H/W에 신뢰성과 보장성 입니다. 실제로 HDD가 불량 나거나 아니면 윈도우 문제가 생길때 말고 다른 문제는 만나 보질 못했습니다. 설사 다른 문제가 발생 했다 하더라도 동네 있는 컴 샵이 모든 부품을 재고로 다 가지고 있기 힘들기 때문에 시간 싸움도 마찬 가지 입니다. 모니터 나가면 모니터야 사면 되고 파워 나가면 그냥 동네 A/S점 부르면 됩니다. 그래픽 이런건 쿨링 정도에 신경쓴 제품을 사용 하며 HDD 부분에 Fan 역시 달아 주어야 뻑이 잘 안납니다.
M/B 한번 교체 해 준적은 있으나 사용자의 실수로 PS/2 포트 망실. 나머진 글쎄요.
프로그램들은 어차피 정상 가동 되면 업데이트를 진행 하니 문제는 없을 겁니다.
솔찍히 프로그램에 유지보수비 지출은 당연히 여기면서 H/W와 관련한 유지보수비 지출은 절대 안하시지요.
사실 전반 이상의 사용자 들은 컴퓨터 자체를 가전 제품과 비교합니다. 냉장고 사서 10년 썼다 컴퓨터는 얼마 안 썼는데 외 고장 나냐? 이분들에게 말 하고 싶은건 저도 세탁기 12년만에 갈았습니다. 컴퓨터가 가전 제품과 같은주 아십니까?
이번에는 슈퍼마이크로제품으로 구매했습니다.
1TB 미러로 해서 100만원 언저리에 가능하더군요.
그래도 진료실3, 접수대2, 검사실.. 11대가 돌아가구요, 의사랑, ubpacs, toloiss 세가지 프로그램 사용 중입니다. + 메신저, 자체 고객관리까지
같은 모델로 컴퓨터를 구입해서 거의 똑같이 설정해 놓은 다음 한대는 비상용으로 놀립니다.
문제 생기면 하드만 떼어서 본체 바꾸어 끼워서 일단 해결합니다.
바이러스 등으로 윈도우 설정이 잘못되어 부팅이 안되는 경우라면 (그런 경우 딱 한번 있었는데)
이미 설치 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ip랑 서버 설정만 바꾸고 DB 화일 통째로 복사해 버립니다.
- 이게 문제가 아니라.
실제 문제가 생기면 약국직원은 모니터가 나갔는지, 파워가 나갔는지, 키보드 선이 빠진건지도 모른다는 거죠.
한번은 전날 태풍 온다고 두꺼비집 내리고 퇴근한 다음날 컴퓨터 고장 났다고 a/s 부른 적도 있습니다.
문제가 생겼을때 내 손을 거치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주어야죠.
미러링 걸어놔도, 문제 생겨 나온 A/S 요원이 미러링인지 뭔지 모르고 건드려 오히려 악화 될 수도 있습니다.
'미러링을 AS맨이 망쳐놓을 수 있다.'
생각하기도 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