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카드 구매 예정입니다. 도와 주세요.

김효수   
   조회 6822   추천 0    

 
 내장 사운드가 이상해서 저가의 usb 타입을 샀는데 소리가 좀 딸립니다.

기타프로를 가끔 쓰는데 제대로 소리가 안납니다. 기타프로가 자원을 많이 잡아먹습니다.
구형 컴에서 아주 엉망으로 소리를 내더군요.

저성능의 컴퓨터로 무리한 작업을 하면 소리가 제대로 안나는 것같이 나올 때가 있네요.

녹음을 해야 하는데 곤란하네요.

게임은 하지 않습니다. 약간의 음악 감상. 아주 조금의 음악작업(녹음).

질문 1.

 음이 찌그러지거나 약간의 딜레이가 생기는 현상이 있는데 사운드카드를
바꾸면 괜찮아 지는가 하는 점.

컴퓨터 사양은 괜찮은 편입니다. 쓸데없이 램이 16기가입니다.
win7 64bit입니다.

질문 2.
 
 pci-x슬롯이 남아 있는데 pci-x슬롯에 꽂아서 쓸 수 있는 사운드 카드는?

제조사 사양엔 pci-x에 관한 언급이 없습니다.

auzen등을 추천하셨던데 가격이 높군요.

질문 3.

 pci 타입과 pci-e 타입이 있는데 차라리 pci-e로 사는 것이 성능, 가격, 나중에
컴퓨터를 조립할 시 재사용등을 고려해서 나을 것인가? 

여러 회원분들이 좋은 정보를 이미 올려 주셔서 많이 참고를 하고 있긴 한데
저의 이해력이 잘 따라가질 못하는군요. 특히 1번 질문은 어렵습니다.

합주하러 가야 하는데 비가 억수로 오네요.
가지 말까? 망설망설합니다. 맡은 파트는 뒷풀이입니다.
맥주와  막걸리 등등.... 가끔 베이스도 튕기긴 합니다만.





지적 허영을 위한 공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최마루 2011-07
1번 질문에 USB방식의 외장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사용중입니다
낮은 레이턴시로 사용하거나 메인보드나 시스템에 따라 드랍(?)같은게 생겨서 잡음이 썩이던군요.
(전에 사용하던 기가보드에서는 내장랜가 사이가 안좋아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이 발생되면, 잡음이 섞이더군요)
PCI를 사용하는 내장 제품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뭐라 말씀드리기 그러나, USB타입의 외장 인터페이스는 약간의 특성을 타니 참고하세요..
박문형 2011-07
PCI-E 가 좋지만 일종의 돈낭비라고도 생각합니다.
중고 카드를 구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투시피유 2011-07
사운드카드 수없이 써봤습니다만
pci-x 에 맞는 사운드 카드는 거의 없더군요

맞아도 호환이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 .. 상당히 골치 아프더군요
일반 pci 슬롯은 아예 없나요?

pci 슬롯이 없다면 ..
미래를 생각하신다면 pci-e 가 정답입니다만
가격이 만만치 않고..
오준호 2011-07
보통 녹음이나 연주(MIDI 를 이용한)에는 ASIO 라는걸로 WDM 을 거치지 않고 바로 처리하기 때문에 딜레이가 거의 없는 작업이 가능합니다.
일반 사운드카드로 하신다면 ASIO4ALL 이라는 가상 ASIO를 지원하는 방법등이 있습니다.
이걸 이용하시면 일반 기존 작업환경 보다 딜레이가 많이 낮아졌다는걸 체감하실 거라고 생각됩니다.
미녀와야수 2011-07
전 그냥 사블 USB사운드 얼마전에 10만원주고 쓰는데 막귀라 좋네~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저도 윈7 64 사용중인데 잡읍이 끼거나 그런 증상은 없이 사용중입니다.

그리고 오디오트랙에서 나오는 제품들은 PCI-X에서 사용가능합니다.
예전에 P4SCT+II 사용중일때 프로디지 7.1 LT을 사용했었습니다.
그때 흡족하면서 사용했었지요.^^ (지금도 물건은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사용하는 X8SAX보드에도 했었는데 그때도 이상이 없었습니다.)
     
투시피유 2011-07
오디오트랙 제품군중 지원하는것도 있으나
다 그런것은 아니구요
상당히 보드마다 특성을 타더군요 ^^
          
미녀와야수 2011-07
전 제가 가지고 있던 슈마보드에서는 별 다른 이상은 없었습니다.
하긴..예전에 오디오트랙 드라이버 문제가 생각나긴 합니다..^^
윤영돈 2011-07
오디오카드(줄리엣,쿼텃)는 PCI-X슬롯에 장착하여 2년정도 이상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QnA
제목Page 3845/5730
2014-05   5265266   정은준1
2015-12   1790256   백메가
2011-06   7317   jore
2015-04   6380   나파이강승훈
2017-05   5040   vmware2cpu
2015-04   5507   스틸러스
2021-01   3060   Lucyed
2022-08   1666   라니송
2013-12   4470   임종균
2018-08   4614   디아고수
2024-04   1734   makeyz
2021-01   4799   정의석
2013-12   4136   김민철GC
2011-07   6456   김영기
2019-11   3259   levaleva
2019-11   2848   나파이강승훈
2022-09   1847   굴렁쇠
2024-04   2036   민호양
2016-06   18755   insert
2019-11   2763   IPA1000
2022-09   2035   안형곤
2015-05   9282   구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