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오 인터페이스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김효수   
   조회 7557   추천 0    

 시작은 pci-x slot에 장착할 수 있는 사운드카드를 찾는 것이었는데,
이왕이면 음질 좋은 거, 외부에서 악기 녹음도 가능할까? 어쩌고 하다보니
오디오 인터페이스까지 왔네요. 

 우선, 자잘한 질문부터 드립니다.
용어인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 카드라고 하면 되는 건가요?
NIC가 network interface card 이듯이요.

 사운드카드라는 용어와 오디오 인터페이스 라는 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원래는 오디오 인터페이스 카드라고 해야 하는데
쉬운 말로 사운드카드라고 부르는 건 지요?  

 본 질문입니다. 
프로디지를 보고 있는데(음질도 좋고 pci-x에 장착 가능하다해서..) 
프로디지와 오디오인터페이스와의 음질의 차이는 어떤지요?

 일전에 줄리엣과 쿼텟을 이야기하셔서 검색을 해 봤는데
쿼텟의 경우 이런저런 불만사항(노이즈, 드라이버등)이 많던데 
좀 걱정이 됩니다. 

 음악은 주관적인 요소가 많아서 좋다, 덜좋다 하는 얘기가 적당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구매 선택을 할 때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전문가분들의 얘기는 대부분
맞더라고요. 

 사운드인터페이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이유는,
음악감상 (대부분의 장르)과 기타 연주의 녹음 때문입니다.
혹시 기타를 잘 치나?하는 오해를 하시면 안됩니다. 베이스 시작했기 때문에
녹음해서 들어보고 교정하려는 의도입니다.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도움 되는 링크도 당연히 welcome입니다.
다른 말씀도 환영합니다, 악기나 연주에 관한 말씀도.



지적 허영을 위한 공부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투시피유 2011-07
정말 어려운 부분입니다.
사운드 카드의 라인인 아웃은 각각 사카마다 조금씩 다르고
간혹은 같은 사카라도 다를때가 있지요

또한 조립상태에 따라서 노이즈가 낄 소지도 있구요

프로디지는 쓸만한 사카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오준호 2011-07
HD2 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슬롯형 사운드카드 같은 경우 노이즈 타는 이유가 여러 문제이기 때문에 딱 꼬집어 말할순 없지만 제대로된 접지 환경에서 사용한다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간혹 슬롯부분을 케이스와의 전기적 접촉을 피하려고 절연시키는 경우가 있긴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쿼텟의 외장형인 WINDY6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만 아니였으면 X나게 깠을텐데 참 아쉬운 업체 입니다.
KONTROL1 도 있고 AUDIOFIRE4 도 있고 참 많이 있는데 드라이버 지원 잘되고 자잘한 버그 없고 질문대답 잘해주는 유통사 & 업체 것을 구입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의외로 오디오인터페이스 같은 경우는 드라이버 부분과 호환성에서 많이들 애를 먹습니다. 정말로... 흑흑흑흑 엉엉엉엉
더기 2011-07
음악감상, 재생이 목적인 구성과 악기 등의 녹음을 고려한 구성은 다르게 보셔야 합니다.

상업적 또는 취미, 목적과는 관계없이 녹음은 음의 픽업-->실시간 적재 및 모니터링-->녹음 원본의 확인 및 편집-->마스터링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인 수순입니다.
따라서 각 과정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는 필수적인 요소이고 결국은 일정수준의 규모와 구성을 갖출 수 밖에 없습니다.

우선 참고하셔야 하는 부분은,
- 베이스를 포함한 일렉기타 종류는 픽업을 장착하고 있고 출력레벨이 마이크 레벨만큼 작으나 출력임피던스라고 불리는 특성이 매우 높아서 일반적인 마이크 입력에 접속하면 소리가 들리기는 하지만 원래의 소리와 레벨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마이크레벨+하이임피던스 입력구조의 기타 전용의 입력이 준비된 장치가 요구됩니다.

- 베이스 기타는 특성 상 녹음 시 상당한 다이나믹 레인지를 요구하는 관계로 그대로 녹음해서는 약한소리는 너무 약하고 강한소리는 쉽게 클리핑되어 녹음작업에 까다로운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연주 강약의 효과적인 표현이나 특히 강한 소리에서 클리핑을 동반하지 않는 양질의 녹음을 원한다면 컴프레서/리미터는 최소한의 이펙터로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펙터는 한 번의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서 다루기 쉬운 라인신호 레벨로 변환되는 효과도 있어서 상당히 효과적입니다. 즉 이펙터가 있으면 일반적인 사운드카드나 가정용 오디오의 라인, AUX입력을 통해서도 연주가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이펙터 모델에 따른 출력규격과 조건의 확인은 필요합니다.

위에 언급한 속성을 기준으로,
http://www.mackie.com/products/onyxblackjack/
제품을 추천합니다. 가격은 다소 높으나 홈 스튜디오용도의 제품군에 속하고 기타입력의 지원, 모니터 기능 등 기본기능이 잘 갖추어져 있고 국내 관련 쇼핑몰에서도 취급합니다.
마이코코 2011-07
으악,,, 맥키에서 이런 물건도.... 좋은 회사입니다......
김효수 2011-07
좋은 도움 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과분한 전문 지식과 장비까지 일러주셔서 더더욱 감사합니다.
스쿨뮤직에는 없는데 인터파크에는 있네요. 언젠가 한 번 써보겠습니다.

컴프는 조만간 마련하려고 합니다. 쓸데없는 EBS IQ를 샀네요.
지금은 멀티이펙터(B2.1U)로 이것저것 시험하고 있고요

 많은 걸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QnA
제목Page 3839/5730
2014-05   5266103   정은준1
2015-12   1791034   백메가
2013-03   8464   남성룡
2014-10   5902   무아
2010-03   10937   1번가
2018-02   4320   민병훈11
2020-07   7016   구십평
2010-03   7270   손경화
2013-04   10262   김윤술
2016-01   3677   evoker
2010-03   7043   정희섭
2013-04   9498   문대형
2020-07   4912   Yxsis
2019-04   3686   newretrowave
2010-03   8776   날개승호
2014-10   31476   파렌
2016-01   7508   Qsup
2010-03   13130   김건우
2017-01   4418   한성택
2014-10   4526   inquisitive
2023-07   3499   검은콩
2016-02   5126   peta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