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비트 속도로 내부 전송이 가능한 구성도인지 확인 부탁 드립니다.

   
   조회 7351   추천 0    

.
그려주신 구성도도 잘 작동할텐데요, 최상단의 기가빗스위치에 병목이 될수있는 지점이 있습니다.

또 중간의 스위치에 장애가 일어나면 하위네트웍이 모두 죽는사태도 일어날수 있구요.

구성이 가능하시다면 첨부한 그림과 같이 구성하시는편을 추천드립니다.

내부망을 더 빵빵하게 가져가시려면 기가빗스위치간의 연결은 두개 이상 묶어서(링크어그리게이션) 사용하시는것도 좋겠구요.

내부망에서 많은 트래픽이 예상된다면 업링크용으로 10G포트를 몇개씩 갖춘 기가빗스위치들도 꽤 있으니 가용예산이 있으시다면 추천드리는방법입니다.

사실 여건이 된다면 마지막 그림에서처럼 여러대의 스위치를 연결하는것보다 하나의 스위치에서 해결하는것이 가장 좋기는 합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landwolf 2011-07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사실 회사 자체의 규모가 그리 크지 않고, 사업부마다 층이 달라서
(VPN 및 대부분의 네트워크 장비 및 서버는 거의 한 곳에 몰려 있습니다.)
해당 랜선 찾는 작업만해도 한 참 걸릴 것 같아 엄두를 못내고 있다가
목마른 X이 우물판다고 너무 답답해서 파일서버 재구축과 기존 배선(cat5, cat5e 혼재)은
그냥 사용하면서 조금이라도 전송속도를 올려보려는 속셈입니다.

물론, 재원은...거의 없다고 봐야 할듯...
경영지원실에 박박 우겨봐야 100만원 미만일듯 합니다.ㅜㅜ;
파일서버 재구축 비용 270만원 품의 결재 받는 것도 잔소리잔소리 들어가며 겨우 받았거든요.ㅋㅋ
landwolf 2011-07
기가비트 스위치로 대치해야 하는 스위치가 총 3개 인데,
고로 두 번째 그림의 구성은 예산으로 택도 없을 것 같고,
첫 번째 구성도에서 8포트 짜리 하나와 24포트 짜리 3개로 구성하면 될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2011-07
수십메가짜리 파일들이 많이 오간다고 하셨는데, 기가빗이래봐야 초당 125메가밖에 전송 못하잖아요.
CAT.5 케이블환경이라도 PC 두대면 대역폭이 금방 차버립니다.
그러니 업링크는 웬만하면 2포트 이상 묶어줘야죠.

혹시 가능하시면 48포트 기가빗스위치를 쓰세요.
24포트 여러대를 트렁킹하면 트렁킹에 들어가는 포트들도 아깝잖아요.
2011-07
수십메가짜리 파일들이 많이 오간다고 하셨는데, 기가빗이래봐야 초당 125메가밖에 전송 못하잖아요.
CAT.5 케이블환경이라도 PC 두대면 대역폭이 금방 차버립니다.
그러니 업링크는 웬만하면 2포트 이상 묶어줘야죠.

혹시 가능하시면 48포트 기가빗스위치를 쓰세요.
24포트 여러대를 트렁킹하면 트렁킹에 들어가는 포트들도 아깝잖아요.


QnA
제목Page 5279/5724
2014-05   5236444   정은준1
2015-12   1762179   백메가
2017-04   4132   맑은여름
2013-10   15593   두리안
2016-05   6415   행복하세
2019-09   9064   이천풍
2020-12   3256   명랑
2011-04   9453   과거지사
2013-11   7268   곽순현
2013-11   9382   김영기
2015-03   5446   인초리
2016-05   8690   블루2014
2020-12   6240   집구석
2019-09   5144   취미컴
2013-11   8680   Nicoffeine
2020-12   3365   나파이강승훈
2015-03   4005   이리컴
2016-05   4404   이영완
2017-04   3708   버디
2017-04   3884   컴박
2018-07   4324   iron19
2024-02   1194   영산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