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ATA 레이드 카드 와 USB 3.0 & SATA3 카드 문제

리오   
   조회 15314   추천 0    

안녕하세요~

현재 제가 사용중인 메인보드가 아래의 제품입니다.

하여 위 메인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아래의 기능들을 사용하기 위해
- USB 3.0 및 SATA 6gb/s
- eSATA (Port-Multiplier)

아래의 PCI 컨트롤러 카드 2개를 구매해서 메인보드에 장착해서 사용중에 있습니다.

  - 인터페이스 : PCI-Express x4
  - USB 3.0 Chip : NEC
  - SATA 6gb/s Chip : Marvell
  - PCI-Express Expansion Chip : PLX

 AIO 3020PE S-ATA II RAID Controller (eSATA Port-Multiplier)
  - 인터페이스 : PCI-Express x1
  - Chip : Silicon Image 3132


[위 2개의 컨트롤러 카드를 메인보드에 장착한 위치]


그런데 문제는!!
위 두 컨트롤러 카드 중 하나만 메인보드에 장착하면 각각의 컨트롤러 카드는 문제없이 정상 작동을 하는데..
두개를 같이 장착하면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카드만 메인보드에서 인식을 하고..
'AIO 3020PE S-ATA II RAID' Controller (eSATA Port-Multiplier) 카드는
메인보드에서 인식을 하지 않는것입니다.


여기서 메인보드에서 인식을 하지 않는다는건.. 아래 스크린샷과 같이
컴퓨터를 켜서 윈도우 부팅 로고가 뜨기전 화면에 나타나는 것을 보고 판단한것입니다.


AIO 3020PE S-ATA II RAID Controller 카드만 장착 했을 경우 (정상 인식 및 정상 작동)

1)

2) 위 화면이 나온뒤 윈도우 로고가 나오고 부팅이 완료되어 윈도우 시작됨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카드만 장착 했을 경우 (정상 인식 및 정상 작동)

1) 

2)

3) 위 화면까지 나온뒤 윈도우 로고가 나오고 부팅이 완료되어 윈도우 시작됨


- 두 컨트롤러 카드를 같이 장착 하였을때 :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카드만 장착 했을 경우와 동일한 화면으로 부팅이 진행되며
AIO 3020PE S-ATA II RAID Controller (eSATA Port-Multiplier) 카드는
부팅시 장치 인식을 하지 못합니다.
물론.. 윈도우 상의 장치관리자 등에서도 당연 나오지 않구요..



해서 제가 해본일은 메인보드와 위 두 컨트롤러 카드들의 펌웨어를 최신으로 업데이트를 해봤습니다만..
그렇게 해도 문제는 해결이 안되더군요..
바이오스도 살펴보긴 했는데.. 제가 잘 몰라서 그런것일수도 있겠습니다만..
딱히 이와 관련되서 설정을 바꿔줄만한게 보이지 않는거 같구요.

마지막으로 메인보드 메뉴얼에 있는 메인보드 블럭다이어그램도 한번 살펴보았는데.. 
전 봐도 잘 모르겠네요..ㅠ.ㅠ




결론적으로 제가 여쭤보고 싶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질문 1> 위 문제의 해결을 위해 더 확인해 봐야할 점은 뭐가 있을까요?
혹 바이오스 설정에서 확인해 봐야할 점이 있을까요?
혹시 몰라 메인보드 메뉴얼 파일 다운로드 링크도 작성합니다.



질문 2>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게.. 혹 제품의 불량은 아닐까요? 본래 안되는게 맞는걸까요?
그렇다면 메인보드,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카드, AIO 3020PE S-ATA II RAID Controller 카드..
이 3가지 제품 중 어느 부품의 문제라고 생각해야 하나요? 아니면 스펙상의 한계라고 봐야 할까요..?
도데체 뭐가 문제일까요?



질문 3> 주변에서 DDR3 이하 메모리 사용하는 사람들은 USB3.0, SATA3를 사용해봐야 속도가 잘 나오지 않으니
그냥 USB 2.0,  SATA2 사용하라고 하는 사람도 있던데.. 맞는 말인가요?



질문 4> 제가 지금 위 두 컨트롤러 카드를 다 포기 하고..
아래의 두 제품을 추가로 구매해서 사용해 보려고 생각중인데..
[AIO 6020PE PCI-E 1x SATA III 확장 컨트롤러 (EXT 2CH/SATA III/3TB HDD지원)]
[새빛마이크로 DataMore PentaRAID Deluxe]

제가 궁금한건 SATA 2와 SATA 3가 포트나 케이블 모양이나 구성이 다른가요?
그럼 eSATA도 eSATA 2나 eSATA 3 라는게 있나요?
그럼 그에 따른 포트 모양이나 케이블도 다른가요?



질문 5>위 제품에 2TB 하드 5개(SATA3)를 레이드 5로 구축하려고 하는데..
USB3.0과 eSATA (또는 eSATA3(?)) 중 어느걸로 연결해야 더 빠른가요?



P.S : 작성하고 보니 장문의 질문 글이 되어버렸네요..^^;
위 질문중 알고 계신거나 다른 의견도 좋으니 일부만이라도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뚜뚜 2011-07
대역폭 초과때문이죠.
메인보드 pci-e 규격으로 봐서 2.0 지원이 안될듯 한데요.
pci-e 1배속의 대역폭은 250MB/s = 2.5Gb/s
pci-e 4배속의 대역폭은 250MB/s의 4배 = 1000MB/s = 10Gb/s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의 대역폭을 계산합니다.
왼쪽 단자 USB3.0의 대역폭 6Gb/s, 오른쪽 단자 SATA3의 대역폭 6Gb/s
즉, 12Gb/s(pci-e 4배속, 규격 2.0지원이라면 20Gb/s 대역폭 지원)이므로
가지고 계신 PCI-e 4배속의 대역폭이 10Gb/s 인데 초과되어서 2Gb/s를 어디로 보내버립니다.
누설 대역폭 2Gb/s는 그래픽카드이나 다른 pci-e 슬롯에 나쁜 영향을 끼칩니다.

즉, 동작이 안되는 거죠.

그래픽카드 16배속 슬롯을 바꾸는게 낫지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 그냥 메인보드를 업그레이드 하시는게 좋습니다.
뚜뚜 2011-07
SATA 3.0의 대역폭이 6Gb/s 이니까 최소한 pci-e 4배속(PCIE2.0) 이상이어야합니다.
그러니 메인보드를 업그레이드 아니면 아무리 해도 성능저하나 답이 안나올겁니다.

eSATA는 sata2와 sata3의 구조를 보시면 단자 비슷합니다.
케이블 전송성능 향상을 위해서 SATA3 케이블로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리오 2011-07
답변~!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주변에 누구 한명 이에 관해 원하는 답변을 내주시는 분이 안계셔서 괜히 카드하나만
사놓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었는데..ㅠ.ㅠ
특히 대역폭이나 PCI 규격 2.0 이라는것에 대해서는 아예 알지도 못하고 있었던지라..;;
배속만 맞으면 다 되는줄 알았거든요..ㅠ.ㅠ


아 저 답변해 주신김에 몇가지 더 궁금한걸 여쭤봐도 될까요..?

우선..

1) 제 메인보드의 규격 2.0인지 아닌지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건가요?

2) AIO 3020PE S-ATA II RAID 카드를 인식 못하는 이유는..
결국 PCI x4 에서 누설된 2Gbp/s... 즉 메인보드의 스펙상의 한계라고 봐야 되는건가요?

3) 마지막으로 말씀해주신 해결책인 메인보드 업그레이드는..
현재 제 CPU가 Intel QuadCore Q9550 이기도 하고
램도 DDR2 2GB 4개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제와서 메인보드를 새로 구입하게 된다면 새로살 메인보드는
CPU 소켓도 안맞게 될거 같고.. 램도 DDR3로 갈아타야 되는등.. 지출이 너무 커져서말이죠..ㅠ.ㅠ
해서 위 두가지 컨트롤러 카드는 깔끔하게 포기하고..
대신 위의 질문 4>에 적어둔
AIO 6020PE PCI-E 1x SATA III 확장 컨트롤러 (EXT 2CH/SATA III/3TB HDD지원)
이 카드는.. PCI-Express 2.0 규격을 지원하는 PCI-Express 1배속 제품이라고 되어있던데..
이 제품도 구매해서 사용하게 되면.. 속도 저하나 문제가 생길까요..?
          
뚜뚜 2011-07
1번..다나와 사이트에서 메인보드에 대한 설명을 보시면 PCIE 2.0이라고 나와있습니다.
2번..1번처럼 PCIE2.0규격이 아니니까 PCI-E 4배속 대역폭이 10Gbp/s 까지밖에 안됩니다.
3번..이카드로 새빛마이크로 DataMore PentaRAID Deluxe와 연결할려고요?
먼저 대역폭을 계산해야지요..
새빛마이크로 DataMore PentaRAID Deluxe 에서 나오는는 대역폭 6Gb/s이니..
메인보드 pci-e 1배속 대역폭(2.5Gb/s)한계때문에..속도 밖에 안됩니다.
나머지 초과된 대역폭부분은 다른 슬롯에 미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메인보드 바이오스에서 pci-e 1배속에 1배속넘지 않게 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보드사양에 따라서 없는 것도 있고 있는것도 있습니다)

본문글에 링크
[새빛마이크로 DataMore PentaRAID Deluxe]
( http://blog.danawa.com/prod/?blogSection=2&cate_c1=862&cate_c2=10620&cate_c3=10677&cate_c4=0&depth=3&prod_c=1163649 )

다나와 댓글을 자세히 읽어보세요
고주파 고음때문에 환불요구와 속도문제, 사타3.0 포트, 연결문제...등등 이런 댓글이 나오더군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기 2011-07
위 보드는 4x PCIe 슬롯과 3개의 1x PCIe 슬롯을 동시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일부 데스크 탑 규격의 보드에서 PCIe 레인의 할당, 특히 4x의 슬롯은 기타 1x 슬롯과 PCIe 레인을 공유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 위의 경우와 같이 4x PCIe 슬롯에 확장카드를 적용하는 경우에 나머지 3개의 1x PCIe 슬롯은 동시에 사용하지 못합니다.

매뉴얼 p12의 하단, Note3 항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문 3> USB3.0과 관련하여 탑재된 메모리의 규격, 대역폭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습니다.

질문 4> SATA 2.0/3.0 규격 별 별도의 케이블은 없습니다.(eSATA 포함)

질문5> USB3.0 규격은 세부적으로 2.0과 상당히 다르고 각종 프로토콜 및 응용제품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향후 외장형 스토리지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제품이 출시될 가능성은 있다고 봅니다만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구성 등을 고려하여 eSATA용이 현실적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레이드 5 보다는 10을 권합니다.
레이드 5는 위 보드에 PCIe 4~8 배속 규격의 본격적인 레이드 카드의 적용을 권합니다.
     
리오 2011-07
오오!! 그렇군요.. 덕분에 제가 처한 사항이나.. 왜 저런 문제가 생겼는지..
속 시원히 알게 되었습니다.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질문 4의 답변은 별도의 케이블이 없다고 답변 주셨는데.. 제가 이 질문을 드린 이유가.. 다름이 아니라..
위에서 말씀드린 MSI STAR USB 3.0/SATA 6 카드를 구매하니 그 안에 SATA 케이블이 동봉 되있었는데..
그 케이블 겉에 SATA6Gb/s 라고 표기가 되어있더라구요... 마치 SATA 6 전용 케이블인양 말이죠..;;
물론 케이블 겉에 표기된것 이외에는.. 포트 생긴건.. 일반 SATA 케이블 처럼 보이긴 하는데..
이것떄문에 SATA3 는 USB 3.0 처럼 별도의 케이블이 있는줄 알고 있었거든요..

아 추가로.. 제가 Raid를 사용해 보려고 생각하게된 계기가..
아래 링크의 상품 설명의 레이드 관련 부분을 보고 나서부터인데요..
http://www.sarotech.com/product/product_detail.html?part_idx=66&search_item=&item_idx=286

추천해 주시기로는 레이드 10을 추천해 주셨는데.. 레이드 5보다 나은게..
데이터를 더 안전하게 보관하는것 말고 더 좋은점이 있는건가요?
저 이미지만 보니.. 속도도 비슷한거 같고.. 백업을 위해 사용할수 있는 용량만 절반밖에 못쓰게 되는거 같아서요...

그리고 본격적인 레이드 카드란.. 어떤 제품들이 있는지.. 추천 해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답변을 달아주셨는데.. 질문만 늘어나는건 아닌지.. 죄송하네요..ㅠ.ㅠ
뚜뚜 2011-07
댓글 수정합니다.
pci-e 1배속의 대역폭은 250MB/s = 2.5Gb/s
->pci-e 1배속의 대역폭은 250MB/s = 0.25Gb/s

pci-e 4배속의 대역폭은 250MB/s의 4배 = 1000MB/s = 10Gb/s
->pci-e 4배속의 대역폭은 250MB/s의 4배 = 1000MB/s = 1Gb/s

즉, 12Gb/s(pci-e 4배속, 규격 2.0지원이라면 20Gb/s 대역폭 지원)이므로
-> 12Gb/s(pci-e 4배속, 규격 2.0지원이라면 2Gb/s 대역폭 지원)이므로

가지고 계신 PCI-e 4배속의 대역폭이 1Gb/s 인데 초과되어서 2Gb/s를 어디로 보내버립니다.
->가지고 계신 PCI-e 4배속의 대역폭이 1Gb/s 인데 초과되어서 11Gb/s를 어디로 보내버립니다.

죄송합니다.
너무 계산이 서툴러서보니..댓글 수정합니다.

수정확정
대역폭 초과때문이죠.
메인보드 pci-e 규격으로 봐서 2.0 지원이 안될듯 한데요.
pci-e 1배속의 대역폭은 250MB/s = 0.25Gb/s
pci-e 4배속의 대역폭은 250MB/s의 4배 = 1000MB/s = 1Gb/s

MSI Star-USB3 / SATA6 Controller 의 대역폭을 계산합니다.
왼쪽 단자 USB3.0의 대역폭 6Gb/s, 오른쪽 단자 SATA3의 대역폭 6Gb/s
즉, 12Gb/s(pci-e 4배속, 규격 2.0지원이라면 2Gb/s 대역폭 지원)이므로
가지고 계신 PCI-e 4배속의 대역폭이 1Gb/s 인데 초과되어서 11Gb/s를 어디로 보내버립니다.
누설 대역폭 11Gb/s는 그래픽카드이나 다른 pci-e 슬롯에 나쁜 영향을 끼칩니다.

즉, 동작이 안되는 거죠.

그래픽카드 16배속 슬롯을 바꾸는게 낫지만...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 그냥 메인보드를 업그레이드 하시는게 좋습니다.
     
리오 2011-07
거듭 자세하고 꼼꼼한 답변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덕분에 이번 문제 해결 뿐만아니라 다른 좋은 정보도 많이 배워갑니다.
현재 제 매인보드에는.. 더이상의 추가나 돈 투자는 삼가하고...
기존에 쓰던 레이드 컨트롤러 카드나 계속 써야겠네요..ㅎㅎ;;
그나저나 저 MSI USB 3.0/SATA 6는 저한테는 애물단지가 되버렸네요;;;
에휴.. 나중에 컴퓨터를 새로 구매할때는 이번에 알게된 사항들 잘 염두해서 구매해야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_^


QnA
제목Page 3829/5725
2015-12   1769959   백메가
2014-05   5244562   정은준1
2011-07   6473   Bearth
2011-07   6996   김영기
2011-07   6747   가빠로구나
2011-07   8366   song05
2011-07   8785   원상현
2011-07   6968   방o효o문
2011-07   19745   일반유저
2011-07   7139   서현석
2011-07   6556   이현규
2011-07   6221   김건우
2011-07   6293   방o효o문
2011-07   6954   NeXT
2011-07   7072   여주이상돈
2011-07   6328   Larry
2011-07   6934   pranludi
2011-07   6505   스카이
2011-07   6745   분당김동수
2011-07   25306   우편물
2011-07   8405   똑딱악어
2011-07   14605   왕용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