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두개 중에 하나 골라주시기 바랍니다.

   조회 7617   추천 0    

어제 파워 날려먹은 첸브로 ES34169 케이스에 사용할 파워 두개 후보를 골랐습니다.

120W를 태워 먹은 걸로 봐서 최대 150W 사용량은 나올듯 하고 아마 순간 최대전력이 200W에 육박하리라고 봅니다.
아주 쉬운 용량산정 방법이죠?

1. DC TO DC 파워는 저의 검색능력으로 200W 이상으로는 전새계 어디에도 임베디드 파워를 찾을 수가 없기 때문에 유일한 대안입니다.
5V 정격이 45W밖에 안되어 가지고 있는 50W짜리 H6570은 포기하고 27W짜리 HD6450 밖에 쓸 수가 없습니다.

2. 어제 Q&A 게시판에서 한분이 주신 아이디어로 밖에다 ATX 파워를 연결하는 방법도 괜찮을듯 싶어서 한번 써보고 싶었던 Fanless 400W를 골랐습니다. 이 방법은 또한 24시간 가동할 컴퓨터라 좁아터진 케이스에 통풍의 여지를 크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매력적입니다.  LP 타입 그래픽 카드가 빠르게 기술진보를 보이고 있어서 향후 업그레이드도 커버됩니다. 아이들 전력 효율도 높겠죠?
(이 방법에는 사용상의 주의사항이 필요할 것 같은데 아이디어 주신 장현모님이 보신다면 댓글 좀 부탁합니다)


둘 다 현재 중고 장터에 나와 있기때문에 신품 최저가 대비 80% 가격으로 예약을 걸어놨습니다.

1번 상품

2번 상품


하나 의문점은 모바일 cpu에 모바일 마더보드인데 한없이 그래픽 카드 파워 용량을 올려도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도 이미 저는 2번으로 마음을 정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IDIA 2011-08
HD 6570
idle 10w max 44w 제품이군요..
저라면 DC to DC 200W로 6570을 돌려보겠네요
마이코코 2011-08
max 44w 어디에 표시되어 있죠? 저는 찾을수가 없군요.ㅠ,ㅠ
대한산천1 2011-08
모바일 cpu에 모바일 마더보드인데 한없이 그래픽 카드 파워 용량을 올려도 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메인보드에서 특정그래픽카드를 지원해주면, 그래픽카드의 외부 파워커넥터를 통해서 추가전력을 파워서플라이가 공급해주므로 아무 문제가 업습니다.
     
NeXT 2011-08
정확하게는 모바일 CPU에 데스크탑(모바일 CPU 지원하는) 마더보드 라고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많은 회원분들 사용하시는 MSI Fuzzy 965와 같은 개념입니다.
NeXT 2011-08
아래 리뷰를 보시면 나와 있습니다.
http://www.tomshardware.com/reviews/radeon-hd-6570-radeon-hd-6670-turks,2925.html

요약하면,
Radeon 6570(DDR3 ram) : Idle 10W, Maximum 44W
Radeon 6570(GDDR5 ram) : Idle 11W, Maximum 60W
     
마이코코 2011-08
감사합니다. 두 파워 다 사용은 가능하군요. 심하게 고민되는데 혹시 본인이라면 어느쪽을...? 피코 파워 개조는 제게 어불성설이고 임베디드로 200W 이상 혹시 해외쇼핑몰에서 보신 적 있으신지요? 위의 DC 파워는 어댑터때문에 85% 효율이 최대이고 400W 팬리스 파워는 전구간(20-100%) 90%(이게 사실은 잘 믿겨지지가 않습니다)로 알고 있고 모x컴 파워 어째 신뢰가 가지 않습니다.
딱장가오리 2011-08
피코 파워 보드가 첸브로 케이스 파워 지지 홈에  맞을 것 같기도 한데 정확한 것은 장담할 수 없네요. DC to DC 파워 보드는 나사 홈에 안 맞을 것입니다. 중고라도 가격이 만만치 않을 것이고... 장시간 사용시 어뎁터가 고장 날 가능성이 더 있을 것 같습니다. 열에 장사가 없습니다. 저전력으로 장시간 사용할 목적인데 DC to DC 파워는 좀 그런 것 같습니다. 회원님 들 중 고수분들이 좋은 의견을 내 주실 것입니다. 양해를 구하시고 자게에도 사연을 올려 보시는 것도...
마이코코 2011-08
모x컴 고객센터 문의 결과 어댑터가 150W짜리네요.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봐야 한다는게 괜히 있는 말이 아니네요. 그렇죠 12Vx6.3A=151.2W죠. 아,,,, 이럴때 국내 기술환경에 낙담합니다. 200W 어댑터 만들 기술이 없는 대한민국..... 효율 인증 받을 필요가 없는 대한민국이라고 합니다. 제가 또 깜빡 했습니다. 사양서 없는 기계는 사지 않기로 했는데.... 어떻게 우리가 수출로 먹고 사는지 놀랍습니다. 350W  팬리스 파워 수요가 없어서 수입도 할수 없는.....
AKs 2011-08
200W이상급의 DC/DC파워는 현재 2군데에서 수급하여 사용중입니다.
1. 윈덤
2. 오비트론
에서 공급하는 제품을 현재 사용중이며, 두군데 다 검색엔진에서 조회하시면 나옵니다.
가격이 후덜덜 할 뿐입니다..
근데.. 크기가 쫌....큽니다.
     
마이코코 2011-08
감사드립니다. 350W DCTODC도 있군요. 어댑터 문제로 포기하고 그냥 팬리스로 갑니다.


QnA
제목Page 3825/5728
2015-12   1780826   백메가
2014-05   5255908   정은준1
2015-02   6186   김제연
2015-02   3716   신은왜
2020-11   3698   전설속의미…
2015-02   5568   online9
2019-08   4207   읍내노는오빠
2020-11   2649   땅부자
2022-05   1964   이노란
2013-10   6576   박문형
2020-11   2268   AplPEC
2015-02   4201   소년시대
2020-11   3815   pibang
2022-05   5390   심우
2013-10   7461   레몬파이
2016-04   4586   izegtob
2024-01   1997   haniy
2024-01   1937   나로와
2018-07   4243   으라차차차
2020-11   3870   산골농부
2022-05   3705   RBFFO
2024-01   1217   민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