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고..왜 제가 건드리면 왜 항상 일이 꼬이는지..repair filesystem error 입니다...;

13579   
   조회 11257   추천 0    

과정: HP 웍스테이션 /etc/fstab 설정에는 
16TB 스토리지 DAS로 부팅될때마다 /dev/sdb로 설정해두었습니다.

Linux설치된 하드는 sda이고, sda1,sda2이렇게 나눠져있구요.

문제는 이렇게 설정되있는상태에서 2TB 하드를 웍스테이션에 장착후

재부팅하니 DAS대신 2TB가 붙어있더군요. 

16TB 스토리지가 /dev/sdc로 잡혀있고, 
좀전에 장착한 2TB하드가 /dev/sdb로 잡혀있었죠.

각자 마운트경로 잡아줘서 수동으로 마운트해주고 

100GB정도 되는 영상을 복사하는도중에 KDE설정 신기해서 하나씩 클릭해봤죠..;

그리고선 복사완료되서 다른 영상도 좀 복사해볼까해서 복사할려구했는데..

갑자기 바탕화면에있는 폴더 클릭하면 읽기전용이라나? 갑자기 읽기전용으로 되서 

접근할수가 없다구 뜨더군요..

저는 아까 마운트 붙이다가 혹은 실수했구나 싶어서 그냥 무시하고 reboot를 하는데..

리부팅하면서 나오는 메시지가 심상치가 않았습니다..;

rm : cannot remove read-only 어떤서버들 여러개 주르륵 뜨더군요...;
......
.....
그리고선 제가 해본방법은 원래상태데로 연결하고 부팅해보구,
DAS만 붙여서두 부팅해보구,
2TB하드만 붙여서두 부팅해보구,

한달전쯤이였나... 마운트된줄알고 몇백기가되는 영상을 250GB리눅스설치된하드에 

옮기다가 check disk인가요? 그거 함 겪어보구선 다른 경우네요..

리눅스 설치시디가 있어서 레스큐모드로 들어가서 어떻게 해볼까두 생각은 해보았는데

괜히 잘못건드리면 더 꼬일꺼같아서..일단은 마음을 비우고있습니다.

아... 정말 이번껀는 쉽게 해결이 안될꺼같습니다. 내일까지 어떻게든 해결을 봐야하는데

괜히 건드려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Welcome to Red Hat Enterprise Linux Client
Setting clock(localtime): Mon Aug 29 17:21:19  chst 2011  [ OK ] 
Starting udev:   [ OK ]
Loading default keymap(us)  [ OK ]
Setting hostname root  [ OK ]
No devices found.  [ OK ]
Setting-up logical Volume Management:  [ OK ]
Checking file systems  [ OK ]
/1 contains a file system with erros, check forced.
/1 ----------------65%정도 가서 멈춤
/1: Inodes that were part of a corrupted orphan linked list found

/1: UNEXPECTED INCONSISTENCY; RUN fsck MANUALLY
(i.e. without -a or -p options) [ FAILED ]
***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file system check.
*** Dropping you to a shell; the system will reboot
*** when you leave teh shell

Give root password for maintenance
(or type Control-D to continue ) :   패스워드치면

(repair file system 1) #  요렇게 뜹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s : linux 부팅된 상태에서 Hot-SWAP기능을 써먹어보구싶어서 마운트할때
 중간에  웍 켜진상태에서 언마운트 시키고 다시마운트시키고했었는데 말이죠..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쭌군 2011-08
/1 에 마운트되는 disk가 어떤것인가요?
(repair file system 1) #  요렇게 뜨시면,
만약 /dev/sda1 라면 fsck -t /dev/sda1 명령하시면 파일시스템 복구에 들어갑니다.
너무 많이 질의를 해온다면, fsck -y /dev/sda1 로 하시면 됩니다.

자세히 보시면 /1: UNEXPECTED INCONSISTENCY; RUN fsck MANUALLY
라고 fsck를 수동으로 해주라고 되어있지요.

파일시스템 작업이니 조심히 하세요~
철든영수 2011-08
흐음.. 정확하진 않지만 250GB 하드(/dev/sda) 파티션이  /dev/sda1과 /dev/sda2로 나눠져있었구 실제
쓰는공간(?)은 /dev/sda2였습니다.

/1 에 마운트되는 디스크는 아마도 /dev/sda일텐데  sda1인지 sda2인지는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아마도 /dev/sda2일듯싶습니다. rm: can not read-only Fiel~~ 어떤서버들 이름이 뜬걸로봐서 그 서버들이 /dev/sda2에 들어있었거든요. fsck(File System Check )의 약자더군요.. 흐음...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구글링에서 fsck 검색해보니 아주 위험한 (?) 명령어더군요. 아..리눅스 정말 좋은 OS라는 생각이 들다가도..

저의 사소한 실수로 이리 일이 커져버리네요..

조만간 기회봐서 Ghost의 Disk to Disk로 카피해놔야겠습니다. 학교전산실에서 일할때는 페도라리눅스

Disk to Disk 카피해도 잘만 되었는데말이죠 ..;
철든영수 2011-08
fsck -t /dev/sda1
fsck -t /dev/sda2
두개 다 실행해하고 결과창이
fsck 1.39 (29-may-2006)이라 나오네요.

fsck -y /dev/sda1
fsck  1.39 (29-May-2006)
e2fsck 1.39 (29-May-2006)
/boot1: clean, 29/26104 files, 15063/104388 blocks

fsck -y /dev/sda2
fsck 1.39 (29-May-2006)
fsck: fsck.swap : not found
fsck: Error 2 while executing fsck.swap for /dev/sda2
라고 나오는구요..하아...
쭌군 2011-08
fdisk -l /dev/sda 를 해보시면 파티션 type이 보이실껍니다.
웬지 /dev/sda2 는 swap 파티션일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여튼 /1 파티션의 파일시스템 정보에 먼가 이상이 있으니깐. 해결(fix)하시던지, 통과(pass)해서 부팅하시던지 해야할것 같네요.
http://www.cyberciti.biz/faq/linux-unix-bypassing-fsck/ 를 보시면 fsck 검사를 패스하는 방법이 있으니 이해되시는 것로 해보세요. 위 링크에는 빠졌지만 touch /forcefsck 를 하셔도 됩니다.


/dev/sda가 OS영역이니, 나머지 16TB, 2TB는 완전히 빼놓으시고 작업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IT란 2011-08
어느 파티션이 어떤 이름으로 마운트 되어 있는 지 확인하시려면

e2lable /dev/sda1 이런식으로 해주시면 어떤 이름으로 마운트 되어있는지 확인 할수 있습니다. ex) /boot


QnA
제목Page 3817/5730
2014-05   5265280   정은준1
2015-12   1790265   백메가
2023-01   1984   쿠루나물
2014-04   7137   회원K
2017-09   4725   라이젠
2012-05   5887   설영수
2015-09   4594   병따개님
2019-01   3724   앙드레준
2021-06   2114   일리케
2023-02   1410   피버꾸
2009-03   6207   전근현
2020-03   3548   FreeBSD
2012-06   5376   도석림l지나가는바람처럼
2016-09   4461   EdH
2019-01   3536   일론머스크
2020-03   3043   미수맨
2012-06   4877   영원한혁신
2021-07   2615   화이트노이즈
2024-11   922   쿠우우우우팡
2012-07   5657   MikroTik이진
2019-01   5684   김제연
2009-04   5327   박우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