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unity mode 질문드려요

   조회 10166   추천 0    

이게 XPMODE에 있는 기능이랑 비슷한걸로 아는대요

 

이거 모드를 사용하려면 게스트의 프로그램 목록에 보이도록 설정을 잡아둬야

 

사용을 할 수 있나요? 그리고 보니 VMtools도 깔려있어야하는거 같던대.

 

가령 여기서 한글 불러서 문서 부르거나 저장할 경우에

 

호스트쪽도 저장이나 불러오는 장소로 이용 가능한건가요?

"내가 있는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내가 하는일이 내가 해야할 일입니다." 탐그루 "수르카 모스브루거에게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noname3 2011-09
VMware Unity와 XP Mode는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Unity 모드를 활성화하신 후, 윈도우의 시작 버튼으로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으시면 게스트쪽의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는 버튼이 나타납니다. 그 버튼을 선택하시면 게시트쪽의 내 문서나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니 XP Mode처럼 프로그램 목록에 따로 설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호스트쪽으로 접근하시는건 공유 폴더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Unity도 보여주는 방식이 다를뿐이지 결국 VMware내에서 실행되는 것이거든요. :)
     
방효문 2011-09
답변 감사드립니다. 다른 질문인대요 유니티 모드 활용시 일반적인 게스트 모드 상태보다 리소스 사용에서의 이득이 있나요?
          
noname3 2011-09
저는 VMware를 ActiveX용으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양의 작업을 하지 않는터라 정확한 데이터를 드리기 어렵습니다만, 제 경우를 얘기드리자면,

1. 아무 작업도 하지 않는 상태
일반적인 상황                                                      Unity
vmware.exe          (약)47,000K                      vmware.exe          (약)31,000K
vmware-vmx.exe (약)50,000K                      vmware-vmx.exe (약)47,000K

2. IE 실행상태 (2cpu 창 10개 실행시)
일반적인 상황                                                      Unity
vmware.exe          (약)47,000K                      vmware.exe          (약)120,000K
vmware-vmx.exe (약)44,000K                      vmware-vmx.exe (약)270,000K

1, 2번 모두 실행한 후 약 2-3분간 아무런 작업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값입니다. 이렇게 측정했던 이유가 일반모드에서 Unity 모드로 변환시 메모리 사용량이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1번 상태에서 Unity 모드의 경우 메모리 사용량이 2배 가까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후 다시 하락했으며, 2번 상태에서 Unity 모드에서는 vmware.exe는 400,000K까지, vmware-vmx.exe는 550,000K까지 상승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VMware의 버전이 8인데 저한테는 이렇게 나왔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방효문 2011-09
가끔쓸때나 이득이군요


QnA
제목Page 3804/5729
2014-05   5264845   정은준1
2015-12   1789857   백메가
2023-05   2957   akfalles
2012-12   5711   숟갈
2014-08   3858   inquisitive
2009-11   15705   서정욱
2013-01   6307   이기육
2018-01   5271   가온누리I강…
2013-01   5361   뚜뚜김대원
2016-11   5483   컴박
2018-01   4001   sffbig
2014-08   7399   집안청소
2021-10   2850   Mamette
2016-11   5257   편한세상
2019-03   3422   사랑하라
2015-12   3723   윈도우10
2014-08   4397   이유종
2020-05   2662   wguardian
2009-12   6602   사우나
2013-01   6708   이지포토
2021-10   5260   CChuYong
2009-12   13549   수퍼맨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