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머신 공유기 제작

   조회 6395   추천 0    

광랜으로 연결관 호스트에

 

VMware나 Hyper-v 게스트 OS로 리눅스를 잡고

 

여기에서 다른 물리적 이더넷 카드 -> 허브 -> 다른 장비들

 

식으로 공유기 역활을 "시킬 수 있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 저 리눅스에 설치형 블로그 , 이메일 서비스 , FTP 서버를 구축해서 사용하면서

 

위에 언급한 기능을 구성해서 쓰고 싶은대요.

 

이경우에 게스트 리눅스의 네트워크 연결 방식을 브릿지로 해야하나요 NAT 방식으로 해야하나요?

"내가 있는곳이 내가 있어야 할 곳이고 내가 하는일이 내가 해야할 일입니다." 탐그루 "수르카 모스브루거에게
짧은글 일수록 신중하게.
ned3y2k 2011-10
브릿지로 해야 물리적으로 여러개인 랜카드가 하나처럼 되구요
NAT는 사설 IP를 부여해서 인터넷이 되게 해줄겁니다.
즉 허브가 아래 있다면 어렵게 브릿지 설정하실필요 없이 NAT 쓰시면 됩니다.
     
방효문 2011-10
게스트 아랬단에 허브 놔둿으니 NAT로 라우팅하면 된다.. 이건가요?
정희섭 2011-10
공유기 역활이라면
회선 -> 머신의 랜카드1 -> 브릿지1 -> 리얼 머신에 공인ip 한개 가상머신에 공인ip 1개해서 ip가 두개 잡힐테고...
가상머신과 연결한 브릿지2 -> 랜카드2 -> 허브 이렇게 하면 될거 같기도 하네요.
브릿지가 머시기냐... 가상 허브같이 되잖아요?

단지 서버가 필요한거면 그냥 NAT 기능으로 잡고 포트 열어줘도 되구요.
만약 리얼머신"도" 공유기 아래에 있는거라면 브릿지로 잡은다음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하면 됩니다 < 제가 이렇게 썼었습니다.


QnA
제목Page 3794/5730
2015-12   1790615   백메가
2014-05   5265617   정은준1
2013-09   9627   oracleuser
2015-02   4988   다연우혁아빠
2017-03   3973   유포리아
2011-01   8300   릴루
2022-04   5635   박문형
2018-06   3793   SamP
2020-11   3137   아구르르
2022-05   2912   옥돔참치
2019-08   2757   나너우리
2011-02   9643   이종송1
2013-10   16359   타이호
2020-11   2998   witbox
2019-08   2562   izegtob
2022-05   1678   영산회상
2011-03   6490   나그네1
2013-10   7575   걸인신홍철
2016-04   4770   건약
2011-03   9055   스카이
2015-02   4699   건전지
2013-10   6127   에이션